• Title/Summary/Keyword: 러닝센터

Search Result 20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stimation of regional Low-flow Indices Applicable to Unmetered Area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미계측지역에 적용가능한 지역화 Low-flow indices 산정)

  • Jeung, Se Jin;Kang, Dong Ho;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9-39
    • /
    • 2020
  • Low-flow 하천에서의 최저수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유황곡선의 갈수량(Q355)를 대표적으로 사용한다. Low-flow는 물 공급 관리 및 계획, 관개용수, 생태계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Low-flow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기간의 유량자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토의 70%가 산지지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하천과 1급하천을 제외한 산지유역은 수위관측소가 부재하거나 결측으로 인해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Low-flow분석에 한계가 있다. 이에 과거에는 미계측지역의 갈수량을 예측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 ARIMA 모형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였지만, 최근들어 머신러닝 모형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는 머신러닝 기법인 DNN기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DNN기법은 ANN기법의 단점인 학습과정에서 최적 매개변수값을 찾기 어렵고, 학습시간이 느린 단점을 보완한 방법이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머신러닝 기법인 DNN기법을 통해 미계측지역에 적용 가능한 지역화 Low-flow indices를 산정하고자 한다. 먼저, Low-flow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수집하고 인자들간의 상관분석, 다중공선성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를 선정하여, 머신러닝 모형에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의 갈수량 예측기법인 다중회귀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머신러닝 기법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A Study on Prediction of EPB shield TBM Advance Rate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and TBM Construction Information (머신러닝 기법과 TBM 시공정보를 활용한 토압식 쉴드TBM 굴진율 예측 연구)

  • Kang, Tae-Ho;Choi, Soon-Wook;Lee, Chulho;Chang, Soo-Ho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30 no.6
    • /
    • pp.540-550
    • /
    • 2020
  • Machine learning has been actively used in the field of automation due to the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AI technology. The important thing in utilizing machine learning is that appropriate algorithms exist depending on data characteristics, and it is needed to analysis the datasets for apply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In this study, advance rate is predicted using geotechnical and machine data of TBM tunnel section passing through the soil ground below the stream. Although there were no problems of application of statistical technology in the linear regression model,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was 0.76. While, the ensemble model and support vector machine showed the predicted performance of 0.88 or higher. it is indicating that the model suitable for predicting advance rate of the EPB Shield TBM was the support vector machine in the analyzed dataset. As a result, it is judged that the suitability of the prediction model using data including mechanical data and ground information is high. In addition, research is needed to increase the diversity of ground conditions and the amount of data.

Towards Carbon-Neutralization: Deep Learning-Based Server Management Method for Efficient Energy Operation in Data Centers (탄소중립을 향하여: 데이터 센터에서의 효율적인 에너지 운영을 위한 딥러닝 기반 서버 관리 방안)

  • Sang-Gyun Ma;Jaehyun Park;Yeong-Seok Seo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2 no.4
    • /
    • pp.149-158
    • /
    • 2023
  • As data utiliz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recently, the importance of data centers is also increasing. However, the data center is a problem in terms of environment and economy because it is a massive power-consuming facility that runs 24 hours a day. Recently, studies using deep learning techniques to reduce power used in data centers or servers or predict traffic have been conduc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However, the amount of traffic data processed by the server is anomalou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nage the server. In addition, many studies on dynamic server management techniques are still required.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dynamic server management technique based on Long-Term Short Memory (LSTM), which is robust to time series data prediction. The proposed model allows servers to be managed more reliably and efficiently in the field environment than before, and reduces power used by servers more effectively. For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model, we collect transmission and reception traffic data from six of Wikipedia's data centers, and then analyze and experiment with statistical-based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of each traffic data.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is helpful for reliably and efficiently running servers.

Effective Payload-based Anomaly Detection Method Using Pre-trained Model (사전학습 모델을 활용한 효과적인 Http Payload 이상 탐지 방법)

  • LEE, Unggi;KIM, Wo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228-230
    • /
    • 2022
  •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상 탐지 방법에도 딥러닝이 적용되었다. 네트워크 트래픽으로부터 요약 및 집계된 Feature 를 학습하는 방법과 Packet 자체를 학습하는 등의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모두 정보의 제한적으로 사용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Http Request에 대한 사전학습 기반의 효과적인 이상 탐지 방법을 제안한다. 사전학습에 고려되는 토큰화 방법, Padding 방법, Feature 결합 방법, Feature 선택 방법과 전이학습 시 Numerical 정보를 추가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각 실험을 통해 최적의 방법을 제안한다.

K-means를 활용한 항로표지 센서 데이터 군집화

  • 김두환;성상하;최형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54-55
    • /
    • 2022
  • 해양에 설치된 항로표지는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위해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항로표지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다양한 해양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하지만 항로표지는 육지와 멀리 떨어진 해상이라는 특수한 작업환경으로 인해 항로표지 유지보수를 위한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현재 항로표지에 부착된 센서를 통해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지만, 정상 데이터와 비정상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가 없어 고장진단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로표지 센서 고장진단을 위해 머신러닝 비지도학습 중 하나인 K-means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정상 데이터와 비정상 데이터로 군집화하였으며, 분류가 잘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연구방향으로는 2개의 클러스터로 구분된 데이터가 실제로 정상 데이터인지, 비정상 데이터인지에 대한 비교·분석이 필요하다.

  • PDF

Basic Study on the Generation of Maritime Traffic Information (해상교통정보 생성에 관한 기초 연구)

  • Kim, Hye-jin;Oh, Jaeyong;Park, sek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287-288
    • /
    • 2016
  • 선박과 선박간의 사고 위험도를 예측하는 교통정보 생성 기술을 해상교통관제센터에 적용하기에는 위험도 정보의 정확성에 한계가 있다. 또한 대상 해역에 대한 교통 패턴을 파악하는 밀집도 및 혼잡도와 같은 교통정보 생성 기술은 위험 우선순위 선박을 도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복잡한 교통 패턴을 보이는 해상교통관제 해역에서 위험 선박을 인지하여 관제사의 관제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관제대상해역의 교통 상황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위험 선박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는 교통정보 생성을 위해서 기계학습 기법을 검토하였으며, 기존의 인공지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딥러닝 프레임워크 도입을 검토하였다. 해상교통관제센터의 이미지, 메시지, 음성 등 다양한 형태의 연속적 자료들을 통합하고 이를 토대로 총체적인 분석을 통해 관제 업무를 지원할 수 있는 교통 상황 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빅데이터 기반의 기계학습은 보다 의미 있는 상황 인지 정보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한 관제 센터의 각종 데이터 통합이 필요하다.

  • PDF

A Comparative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in Active Learning Classroom vs. Fixed Classroom (Active Learning Classroom과 고정식 강의실에서의 플립러닝 비교 사례연구)

  • Lee, Sang-Eun;Song, Bong-Shik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4 no.2
    • /
    • pp.295-303
    • /
    • 2022
  • This study compares two cases in which flipped learning is applied in the active learning classroom (ALC) and fixed classroom of advanced engineering education. To this end, the difference in pre-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between ALC and fixed classroom flipped learning were compared.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in ALC flipped learning watched more video lectures for pre-learning than those in the fixed classroom flipped learning and achieved higher scores on final tests, though they obtained lower points on midterm exam. In addition, examination of class satisfaction with questions about class factors, instructor factors, and overall satisfaction revealed that ALC flipped learning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all factors than the fixed classroom flipped learning. This case study suggests that the ALC environment, a learning space built to facilitate learner-centered activities, is more effective for flipped learning that requires active interaction in the classroom.

A Study on the Cooling Energy Saving System for Data Centers Using Multi-Machine Learning (다중 기계 학습을 활용한 데이터 센터의 냉방 에너지 절감 시스템에 관한 연구)

  • Jang, Hyu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458-460
    • /
    • 2019
  • 최근 클라우드 시스템 환경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데이터 센터(IDC) 구축이 점차 늘어나가고 있다. 데이터 센터는 최근 부각하고 있는 4 차 산업 영역에서 사물 인터넷(IoT), 자율주행차 등 에서 처리될 대용량 데이터로 인한 이를 처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운영에는 대량의 에너지가 필요하다. 수 많은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처리하기 위하여 대량의 전력 냉방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다. 냉방 공조 운영은 데이터 센터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유는 많은 컴퓨터를 가동하는 비용보다 부대 시설로 운영되는 냉방 에너지를 보다 많이 소비하는 현상까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최근 데이터 센터 냉방 공조 운영을 효율화하는 것에 연구를 맞추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냉방 공조 운영 효율화 하도록 하기 위해서 다중 기계 학습을 활용한 데이터 센터의 냉방 에너지 절감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단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머신 러닝의 모델구현 방식이 아닌 다중의 기계 학습을 통하여 최적화된 모델을 일일 배치로 생성하여 예측을 하는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을 통하여 사전에 최적화된 냉방 운영을 하여 기존 데이터 센터의 운영되는 과다 냉방을 감축 시켜 에너지를 절감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논문 시스템 연구 결과는 폭발적으로 늘어가고 있는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고, 클라우드 사업에서 경쟁력을 줄 수 있는 운영 시스템 방안을 제시한다.

Development of Fire Detection Model for Underground Utility Facilities Using Deep Learning : Training Data Supplement and Bias Optimization (딥러닝 기반 지하공동구 화재 탐지 모델 개발 : 학습데이터 보강 및 편향 최적화)

  • Kim, Jeongsoo;Lee, Chan-Woo;Park, Seung-Hwa;Lee, Jong-Hyun;Hong, Chang-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2
    • /
    • pp.320-330
    • /
    • 2020
  • Fire is difficult to achieve good performance in image detection using deep learning because of its high irregularity. In particular, there is little data on fire detection in underground utility facilities, which have poor light conditions and many objects similar to fire. These make fire detection challenging and cause low performance of deep learning model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fire detection model using deep learning and estimated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The proposed model was designed using a combination of a basic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Inception block of GoogleNet, and Skip connection of ResNet to optimize the deep learning model for fire detection under underground utility facilities. In addition, a training technique for the model was propos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method, the trained model was applied to fire images, which included fire and non-fire (which can be misunderstood as a fire) objects under the underground facilities or similar conditions, and results were analyzed. Metrics, such as precision and recall from deep learning models of other studi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proposed model to estimate the model performance qualita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odel has high precision and recall for fire detection under low light intensity and both low erroneous and missing detection capabilities for things similar to f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