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라이온 킹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제 2언어, 문화 및 윤리 교육 자료로서의 영화 음악 활용: 라이온 킹 OST를 중심으로 (Using Film Music for Second Language, Target Culture, and Ethics Education: With Reference to the OST of The Lion King)

  • 김혜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509-51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제 2언어와 목표 문화, 그리고 윤리 교육을 위한 학습 자료로서 영화 음악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그것의 효율적인 활용도를 고찰하는 것이다. 몇몇 교수자들은 언어 교실에서 음악이나 노래가 단지 부차적인 학습 자료라고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음악은 시대에 따라 그 나라의 언어뿐만 아니라 사상과 문화 및 다양한 관념을 반영하기 때문에 훌륭한 학습 자료가 될 수 있다. 이를 고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디즈니의 유명한 애니메이션, 라이온 킹(The Lion King) 음악을 선정하여 이를 활용한 구체적인 학습 활동을 제시하였다. 영화 음악 중 선정된 5곡은 , , , , 이다. 먼저 언어 학습 중 듣기 말하기 활동, 어휘와 문장 구조 및 문법 학습 활동, 쓰기 활동을 위해 빈칸 채우기 과업, 노래 따라 부르고 녹음하기 과업,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가사 직접 써보기 등의 다양한 과업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문화 학습을 위해 목표어의 특정 문화에 대한 토론하고 자각하기 활동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윤리 학습을 위해 주제곡들을 활용해서 자연의 섭리와 인생철학, 지도자의 자질과 조건, 그리고 행복을 즐기는 인생관 등에 대해 탐구하였다. 문화와 윤리 학습에 대해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자각도에 대해 개방형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 음악은 문화와 윤리적 가치를 자각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화 음악은 제 2언어와 목표 문화 그리고 윤리 교육을 위한 매우 효율적인 학습 자료가 될 수 있다.

<라이온 킹>에 나타난 정서표현의 시각이미지 분석 : 그레이브스 명암이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Analysis on Emotional visual image in Lion King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Graves theory)

  • 김광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5호
    • /
    • pp.73-88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시각적으로 명암이 인간의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는 그레이브스의 명암이론을 적용하여 "라이온 킹" 에서 사용된 명암의 유형을 분석하고 작품 내에서 시각적으로 표현된 명암이 내러티브에서 전개되는 정서의 흐름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에 대한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명암이 시각이미지에 끼치는 영향과 더불어 정서적인 분위기 표현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는 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애니메이션에서는 실사 영화와는 달리 내러티브상에서 전개되는 캐릭터들의 정서적 변화에 따른 이미지 연출이 더욱 강조 된다. 이는 관객들의 감정이입을 강화시키는 중요한 수단이 된다.

  • PDF

<뮬란>과 <라이온 킹>에 나타난 색채스타일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Color Style between and )

  • 김광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1호
    • /
    • pp.161-171
    • /
    • 2006
  • 색채는 시각이미지 표현의 중요한 조형요소로서 그 표현력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색채의 가변적인 특성과 함께 화면 내에서 조응하는 다른 조형요소와의 관계성은 색채의 효과적인 표현을 어렵게 한다. 디즈니사에서 제작된 <뮬란>과 <라이온 킹>에 나타난 그림스타일은 색채사용에 있어서 상당한 표현상의 차이가 있다. 두 작품의 색채사용에 대한 차이점과 그 원리를 규명하여 색채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세우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색채가 가지고 있는 표현적인 특성을 다른 조형요소들과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활성화시킬 수 있는가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결론적으로 색채는 빛의 속성 중 하나이지만 빛의 또 다른 속성인 밝고 어두움, 즉 콘트라스트(contrast)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조형의 질서를 구축하는데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하나이다. 따라서 색채의 표현적인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다른 조형요소들과의 관계를 조절해야 하고 특히 명도와 형태의 표현적인 힘을 약화시켰을 때 가능해 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