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라우르산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졸겔 법을 통한 라우르산 기반의 상변화 물질의 합성 (Synthesis of Lauric Acid Based Phase Change Materials Via Sol-gel Route)

  • 샤픽빈이신크;이한승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42-43
    • /
    • 2020
  • Lauric acid (LA) which is also known as dodecanoic acid has been selected as the phase change material (PCM) owing to eco-friendly in nature. A systematic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encapsulation of LA (core) with silicon dioxide (SiO2) as shell material. Different core-shell ratio was chosen to microencapsulate the LA with 10 ml of 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as the precursor solution for the formation of SiO2. The synthesis of microencapsulated LA was carried out at 2.5 pH of precursor solution. The synthesized microencapsulated LA are characteriz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e (FT-IR) and X-Ray Diffraction (XRD) which confirmed the presence of SiO2 shell on the surface of LA.

  • PDF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성에 관한 연구 (제3보). 슈크로오스에스테르의 합성에 관한 동력학적 고찰 (Studies on the Synthesis of Nonionic Surfactants (III). Kinetics of the Synthesis of Sucrose Esters)

  • 남기대;손주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3-290
    • /
    • 1981
  • N,N-디메틸포름아미드용매내 반응온도 50∼$90^{\circ}C$범위에서 과량의 슈크로오스와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그리고 올레산등 5종의 지방산 메틸에스테르와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서 반응속도를 측정하여 반응속도정수, 활성화파라미터등을 구하여 고찰하였다. 이 반응은 본 실험범위내에서 유사 1차반응으로 진행하고 반응의 순서는 주로 메틸에스테르의 지방산기의 구조변화에 의존하면 라우르산메틸, 미리스트산메틸, 팔미트산메틸 올레산메틸 그리고 스테아르산 메틸의 순으로 반응되기 힘들어지는 엔탈피조절반응이라 생각된다. 한편 이들 각각의 활성화에너지는 9.3, 9.9, 10.3, 10.9 그리고 11.1 kcal/mole이 얻어졌다.

  • PDF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합성에 관한 연구 (제4보). 미오-이노시톨 에스테르의 합성과 계면활성 (Studies on the Synthesis of Nonionic Surfactants (Ⅳ). Synthesis of myo-inositol Esters and their Surface Activities)

  • 손주환;남기대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9-57
    • /
    • 1982
  • 미오-이노시톨과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및 올레산등 5종의 지방산 메틸에스테르를 디메틸술폭시드 용매내에서 에스테르교환반응을 행하였다. 에스테르교환반응생성물은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 관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각각의 에스테르를 분리할 수 있고 미오-이노시톨 모노에스테르는 향류분배 방법에 의하여 잘 분리할 수 있다. 모노에스테르의 수용액에 대한 표면장력, 기포력, 유화력등을 측정하고 색소법에 의한 임계미셀농도를 추정하고 HLB값을 산정하였다. 이 결과로 미오-이노시톨모노에스테르는 계면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았다.

  • PDF

포화지방산 단분자층 LB막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of Langmuir-Blodgett(LB) Films of Saturated Fatty Acid Monolayer)

  • 박근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52-358
    • /
    • 2014
  • 포화지방산(C12, C14, C16, C18) 단분자층 LB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통하여 그 안정성을 순환전압전류법으로 조사하였다. 포화지방산 단분자층 LB막은 ITO glass에 LB법을 사용하여 제막하였다. 전기화학적 특성은 0.1 N $NaClO_4$ 용액에서 3 전극 시스템으로 순환전압전류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측정범위는 연속적으로 1650 mV로 산화시키고, 초기 전위인 -1350 mV로 환원시켰다. 주사속도는 각각 50, 100, 150, 200 및 250 mV/s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포화지방산 LB막은 순환전압전류곡선으로부터 산화전류로 인한 비가역공정으로 나타났다. 포화지방산 LB막의 확산계수(D)를 산출한 결과 각각 라우르산, $2.223{\times}10^{-3}cm^2/s$, 미리스트산, $2.461{\times}10^{-4}cm^2/s$, 팔미트산, $7.114{\times}10^{-4}cm^2/s$ 및 스테아르산, $2.371{\times}10^{-4}$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