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라디칼

검색결과 2,312건 처리시간 0.048초

황련(Coptis Radix)으로부터 분리된 물질의 항균효능 및 화장품 약리활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the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matrial Isolated from Coptis Radix)

  • 장영아;김보애;정재식;황혜진;이진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71-279
    • /
    • 2017
  • 본 연구는 황련으로부터 분리된 fraction의 항균효능과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고 그것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황련으로부터 분리된 fraction의 항균활성은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Candida albicans 균주로 disc diffusion 방법을 통해 생육저해환(clear zone)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Fr. 1을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S. aureus와 candida. A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 하였다. 항산화 평가를 위해 황련 fraction의 농도(50, 125, 250) ${\mu}g/mL$에 따라 처리하여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과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Fr. 1, 2, 3, 4의 $250{\mu}g/mL$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이 각 11.4%, 30.3%, 42.0%, 53.1%로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동일농도에서 각 28.6%, 96.2%, 98.6%, 97.1%로 나타났다. Fr. 3, 4는 동일농도의 대조군 BHT 활성의 86.5%보다 높은 활성산소 저해능을 보였다. 황련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WST assay 결과에서 Fr. 4를 제외하고는 Fr. 1, 2, 3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황련으로부터 분리된 fraction은 항균능과 항산화 능을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좁은잎천선과 잎 추출물 유래 항산화 활성 성분의 동정 및 효능 확인 (Isolation and Evaluation of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the Extracts of Ficus erecta var. sieboldii King Leaves)

  • 박성환;김정은;염현숙;이남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21-32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좁은잎천선과 잎 추출물 및 극성별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검색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규명하였다. 좁은잎천선과 잎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우수한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활성이 좋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유효성분을 찾고자 vacuum liquid chromatography (VLC),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였으며, 분리된 화합물은 1H 및 13C NMR 데이터 분석 및 문헌치 비교를 통하여 총 5개의 화합물을 동정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은 monoolein (1), oleic acid (2), lutein (3), afzelechin (4), catechin (5)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좁은잎천선과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이다. 분리된 화합물에 대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실험 결과 afzelechin (4) 및 catechin (5)에서 활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catechin (5)의 경우 대조군인 비타민 C보다 더 좋은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HPLC 분석을 통해 좁은잎천선과 잎에서 분리된 catechin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 추출물에서 3.8 mg/g,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20.8 mg/g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좁은잎천선과 잎을 이용한 천연 항산화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콜라비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Kohlrabi)

  • 박원민;김꽃봉우리;김민지;강보경;박시우;김보람;안나경;최연욱;윤성열;안동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4호
    • /
    • pp.353-358
    • /
    • 2014
  • 본 연구는 녹색 및 보라색 콜라비 부위(껍질, 잎, 엽육)에 따른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검증하고자 물 및 95% 에탄올에서 추출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금속봉쇄력, 환원력, rancimat에 의한 산화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녹색 껍질 에탄올 추출물 및 보라색 잎 물 추출물이 각각 12.00 및 11.70 mg/mL로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가졌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보라색 잎 및 껍질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뛰어난 라디칼 소거능을 가졌으며, 금속봉쇄력의 경우 보라색 잎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금속봉쇄력을 나타냈다. 반면, 환원력 및 rancimat에 의한 항산화도의 경우 콜라비 추출물은 대조구에 비하여 낮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라색 콜라비의 잎과 껍질 부위가 항산화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미성숙 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tyrosinase 활성과 melanin 생 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nripe Apple Peel Water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Melanoma Cells)

  • 장영아;이진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8호
    • /
    • pp.900-907
    • /
    • 2018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미성숙 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시료의 항산화, 미백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의 항산화 평가는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소거능과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양이온 라디칼 소거능으로 확인하였다. 시료의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멜라노마(B16F10 cell)를 이용해 MTT assay를 통한 샘플의 독성평가, cellular tyrosinase 저해율 측정, 멜라닌 생합성량 측정 및 미백관련 단백질 및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의 $1,000{\mu}g/ml$ 농도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 활성이 77.3%, $ABTS^+$ 라디칼 소거능 활성은 동일농도에서 93.1%로 높은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미백활성 평가결과 미성숙 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농도 $50{\mu}g/ml$에서 tyrosinase 활성 억제 19.8%, 멜라닌 생합성 억제율은 17.3%로 나타냈다. ${\alpha}$-MSH로 유도된 B16F10 세포 내에서 tyrosinase,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은 감소되었고 전사인자 MITF의 활성이 저해되었다. Real- time PCR 실험 결과에서 상위신호단계에 있는 관련 유전자의 발현도 미숙사과 미성숙 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발현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미성숙 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우수한 미백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안전한 천연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삼지구엽초의 부위별 추출물에 따른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 이성현;장미란;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88-19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삼지구엽초의 뿌리, 줄기, 잎의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부위를 70% 에탄올 용액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미오글로빈 보호 효과, FRAP를 추출 농도별(1, 2, 10, 20 mg/mL)로 측정하였다. 부위별 총페놀 함량의 경우 뿌리(2.468 mg), 잎(2.307 mg), 줄기(2.277 mg) 순으로 함량이 높았으며,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뿌리(2.071 mg), 잎(1.875 mg), 줄기(0.616 mg)로 순으로 측정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미오글로빈 보호 효과 그리고 FRAP 실험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적은 줄기에 비하여 잎과 뿌리의 추출물의 활성이 좋았고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의 경우 뿌리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이는 총페놀 함량과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삼지구엽초는 주로 잎 부분이 식용으로 쓰이고 있으며 최근 지상부만을 제한적으로 식품원료로 허용하고 있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지상부 외에 지하부에서도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체 혈장에서 분리한 LDL과 LDL의 지방산 조성과 기능성의 변화 (Fatty Acid Composition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Low Density Lipoprotein and Oxidized LDL from Human Plasma)

  • Jae-Hoon Choi;Hyun-Mi Cho;Heung-Soo Son;Tae-Woong Kim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02-408
    • /
    • 1994
  • 인체의 혈장 저밀도 지단백(LDL)은 관상동맥경화 발병의 주 요인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들은, 정상적인 LDL은 산소 자류라디칼에 의해 쉽게 산화되며, 결과 LDL 수용채와 결합하지 못한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이 변형된 형태의 산화된 LDL은 macrophage scavernger receptor에 의해 인식되어 foam cell을 형성하여, 동맥혈관이 좁아지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지리과 산화에는 지방산이 중요한 작용을 하므로, 한국인의 LDL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서양인과 비교하였다. 결과, 한국인의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총 지방산 함량의 약 30%인 반면 서양인은 약 70%의 분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따라서 한국인이 서양인에 비해 LDL의 산화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동맥경화나 심장병의 발생률이 훨씬 적을 것으로 결론을 내릴 있다. 정상적인 LDL을 황산구리와 함께 배양하여, 지방의 산화를 유도하였으며 이의 정도를 지방산 산화의 생성물인 TBARS를 측정하여, LDL이 산화될 때 생성되는 자유라디칼의 양을 측정하므로서 비교하였다. 이 때, 항상화제인 비타민 C; 비타민 E와 히알우로닉산을 첨가하면 LDL의 산화가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자유 라디탈이 증가함에 따라 산화의 정도도 증가하였으며, 자유라디칼 형성의 경시적 변화는 TBARS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luminometer에 의한 자유라디칼의 정량은 TBARS에 의한 것보다 훨씬 간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ulfhydryl기와 세포막 구성성분의 대사 변화에 따른 다형핵 백혈구 기능의 변경 (Alteration of PMN Leukocyte Function by the Change of Sulfhydryl Group and Metabolism of Membrane Components)

  • 신재훈;이정수;한은숙;신용규;이광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5-85
    • /
    • 1989
  • 면역 보체가 결합되어 있는 zymosan에 의하여 활성화된 다형핵 백혈구에서 세포 투과성 물질인 N-ethylmaleiamide과 $Hg^{++}$은 superoxide 라디칼 생성, NADPH oxidase 활성도 및 lysosomal enzyme (lactic dehydrogenase, ${\beta}-glucuronidase$)의 유리를 억제하였다. 세포막 단백에 특이적인 p-chloromercuribenzoic acid와 p-chloromercuribenzenesulfonic acid는 superoxide 라디칼 생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NADPH oxidase 활성도와 lysosomal enzyme의 유리를 억제하였다. 식작용 중에 세포막과 세포내의 sulfhydryl기는 반응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N-ethylmaleiamide와 $Hg^{++}$은 세포막과 세포내의 sulfhydryl기를 모두 감소시켰다. P-Chloromercuribenzoic acid와 p-chloromercuribenzenesulfonic acid는 세포막의 sulfhydryl기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나 세포내 용해성 sulfhydryl기에는 영향을 주지않았다. Cysteine과 mercaptopropionylglycine는 superoxide 라디칼의 생성과 lysosomal enzyme의 유리를 억제하였다. Gluthathione은 superoxide생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뚜렷하게 lactic dehydrogenase의 유리를 억제하였다. N-ethylmaleiamide에 의한 superoxide 생성의 억제는 cysteine과 mercaptopropionyl-glycine에 의하여 반전되었으나 gluthathione의 영향은 없었다. N-ethylamleiamide에 의한 NADPH oxidase의 비활성화는 gluthathione, cysteine과 mercaptopropionylglycine에 의하여 저해되었다. Carbachol에 의하여 항진된 superoxide 라디칼 생성은 N-ethylamleiamide에 의하여 완전히 억제되었고, atropine에 의하여 길항되었다. 그러므로, 외부 자극에 대한 다형핵 백혈구 반응의 표현은 sulfhydryl기의 양의 변화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시사되었다. Lysosomal enzyme 유리는 세포막과 세포내의 sulfhydryl기에 의하여, 이에 반하여 superoxide생성은 세포내 sulfhydryl기에 의해서 영향받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1-[(아릴)(페닐셀레노)메틸]벤조트리아졸과 셀렌화 6-아릴-6-(벤조트리아졸-1-일)-1-헥센일 페닐의 삼부틸틴 수소화물과의 반응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Mechanistic Studies on the Reactions of 1-[(Aryl)(phenylseleno)methyl]benzotriazoles and 6-Aryl-6-(benzotriazol-1-yl)-1-hexenyl Phenyl Selenides with Tributyltin Hydride)

  • 강윤호;김경태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74-84
    • /
    • 1999
  • 벤조트리아졸을 보조체로 사용하는 유기합성법은 거의 대부분 이온성 반응 메카니즘으로 설명되며 라디칼 반응을 이용한 벤조트리아졸의 응용은 거의 없었다. 벤조트리아졸의 N-1의 ${\alpha}$위치 탄소 원자에 라디칼 중심을 만든 후 벤조트리아졸의 다섯고리를 형성하는 질소 원자중에서 질소 분자가 빠져나감으로서 생성되는 페닐 라디칼의 반응을 연구하기위해 1[(aryl)(phenylseleno)methyl]benzotriazole, AIBN, 그리고 $Bu_3$SnH을 벤젠에 용해시키고 환류시켜 주었다. 이 반응 혼합물로 부터 2-aminodiphenyl selenide (16∼29%), 2-aminobiphenyl (9∼15%), diphenyl diselenide (30∼93%), 1-(arylmethyl)benzotriazole (9∼39%), 그리고 tributyltinphenyl selenide (10∼36%)을 얻었으며, AIBN없이 과량의 $Bu_3$SnH 존재하에 같은 조건하에서 반응시키는 경우,diphenyl diselenide (53∼100%), benzotriazole (27∼35%) 그리고 1-(arylmethyl)-benzotriazole (16∼33%)와 함께 arylmethylidenaniline이 과량의 $Bu_3S_nH$에 의해 환원된 N-(arylmethyl)anilines (44∼66%)이 생성되었다. 같은 조건 하에서 6-aryl-6-(benzotriazol-1-yl)-1-hexenyl phenyl selenides, AIBN, 그리고 $Bu_3$SnH의 반응으로부터 6-aryl-6-phenylamino-1-hexene(9∼31%)과 1-aryl-1-oxo-5-pentene (15∼44%)을 얻었다. 이들 생성물의 생성 메카니즘을 제시하였으며 벤조트리아졸이 합성 보조체로 이용된 경우 $Bu_3$SnH에 의해 벤조트리아졸의 세개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다섯원자고리로 부터 라디칼 반응에 의해 질소 분자가 빠져나가는 것을 보여준 새로운 예이다.

  • PDF

효소처리와 열처리에 의한 인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Ginseng Extracts Prepared by Enzyme and Heat Treatment)

  • 김영찬;조장원;이영경;유경미;노정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482-1485
    • /
    • 2007
  • 본 연구는 효소처리와 열처리를 통하여 인삼의 추출수율과 비사포닌계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각 처리군의 항산화 활성을 시험하였다. 효소처리의 경우 pectinase(76.0%)>cellulase(44.7%)>${\alpha}-amylase$(43.1%)>protease(34.3%)의 순으로 처리효소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열처리구의 경우 $90^{\circ}C$ 처리구의 추출수율이 48.7%로 가장 낮았으며, 그 외의 온도 구간에서는 $51.1{\sim}53.1%$로 비슷한 추출수율을 보였다. 총페놀 함량은 pectinase 처리구가 2.21%로 가장 높았으며, 열처리의 경우 $90^{\circ}C$ 처리구에서 2.3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료를 100 mg/mL로 처리한 경우는 용매추출물에서 $12.3{\sim}33.2%$, 효소처리구에서 $29.7{\sim}40.3%$, 열처리구는 $57.8{\sim}75.2%$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pectinase 처리구가 60%의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여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열처리구의 경우 $175^{\circ}C$ 처리구에서 60% 이상의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으며, $150^{\circ}C$, $120^{\circ}C$, $90^{\circ}C$ 순으로 소거활성이 낮았다.

Tannase를 이용한 녹차의 생물학적 전환의 최적 조건 마련 및 라디칼 소거능 (Optimal Reaction Condition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or the Bioconversion of Green Tea Using Tannase)

  • 홍양희;연유경;정은영;신광순;유광원;김태영;서형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501-1506
    • /
    • 2011
  • 본 연구는 tannase를 이용하여 녹차의 생물학적 전환에 대한 최적 추출 조건을 확립하고 최적 추출 조건으로 마련된 녹차 추출물에 대해 라디칼 소거능 검증을 통해 항산화력의 향상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tannase의 반응은 0.5시간 내에 대부분 이루어지며 처리 1시간까지도 일부 작용이 이루어져 최적 추출물을 획득하기 위한 tannase의 반응 시간을 1시간으로 결정하였다. 기질 농도 1% 이상의 경우에서는 EC 및 EGC 전환율이 오히려 낮아져 tannase 작용을 위한 기질 농도는 1%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tannas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EC, EGC 및 gallic acid는 증가되었으며 일정 농도(30 U/mL)에서 급격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이 농도부터는 통계적으로 EC와 EGC 전환율이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tannase의 적정 반응 농도는 30 U/mL으로 판단되었다. 위의 조건으로 마련된 최적의 tannase 처리 녹차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은 tannase 처리 전 녹차 추출물에 비해 ABTS와 DPPH 라디칼에 있어 모두 유의하게 소거능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나 tannase 처리 최적 추출 조건에 의해 녹차의 항산화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