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라디오 매체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1초

매체와 정보유형에 따른 정보확산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Information Diffusion Based on the Type of Media and Information)

  • 이상근;김진화;백헌;이의방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4호
    • /
    • pp.133-146
    • /
    • 2013
  • 본 연구는 매체에 따른 정보확산차이와, 정보유형을 근접성의 정도로 분류하여 정보확산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이는 기존의 전통매체인 종이신문이나 TV, 라디오와 같이 일방적으로 전달되는 매체의 정보확산과는 달리, 온라인 뉴스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같이 쌍방향적 소통이 가능한 매체 특성으로 인한 정보확산은 차이가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직접 기사를 올리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블로그(Blog) 매체와 온라인 뉴스(News) 매체에 따른 정보확산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심리적, 지리적 근접성에 따른 정보확산차이를 보고자 정보의 유형을 세분화 하였다. 이는 수용자가 정보의 근접성이 높고 낮음의 차이 정도에 따라 정보유형에 따른 가치평가의 기준이 다를 것이라 보았다. 정보유형은 연예, 시사(국제), 제품으로 선정하였고, 세부내용은 연예와 관련된 '싸이 젠틀맨', 시사와 관련된 '중국 쓰촨성 지진', 제품과 관련된 '갤럭시 S4'를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Bass 확산모형을 이용하여 증명하고자 하였다. Bass 확산모형은 혁신효과(Innovation effect)와 모방효과(Imitation effect)로 나눠서 측정한다. 혁신효과는 서비스 초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추정가능하며, 모방효과는 서비스 초기 단계 이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구전의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첫째, 매체에 따른 정보확산 흐름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비록 두 매체의 특성에 차이점이 있을지라도, 뉴스가치 중 하나인 근접성에 따른 정보확산은 비슷한 형태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근접성에 기반한 정보유형별 정보확산에는 차이가 있었다. 수용자 입장에서 관련성이 높은 제품과 연예는 모방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시사의 경우는 모방효과보다 혁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제품관련 정보나 연예관련 정보와 같이 개인에게 심리적으로나 지리적으로 근접성이 높은 정보는, 국제 재해와 관련된 시사정보와 같이 근접성이 낮은 정보에 비해서, 개인의 모방효과가 활발히 진행된다고 볼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매체와 정보유형에 따라 정보확산 흐름변화를 고찰하여 실무에 활용한다면 도움이 될 것이라 본다. 하지만, 정보유형을 각각 하나의 기사만을 택하여 보았기 때문에 이 결과를 통한 정보확산 차이라고 규정짓기에는 sample size가 너무 작아 일반화에 어려움이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 종류를 블로그 뿐 만 아니라 다양한 소셜미디어를 추가하여 비교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정보의 유형을 근접성 측면뿐 만 아니라 다른 측면도 고려해 봐야 할 것이다.

미국에 거주하는 젊은 한국인 부모의 식사와 암에 대한 개념 조사 (Concepts about Diet and cancer of Highly Educated Korean Young Parents Residing in America)

  • Dong-Yean Park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5권6호
    • /
    • pp.518-528
    • /
    • 1992
  • 본 연구는 암의 예방에 관한 효과적인 영양프로그램을 계획하기 위해 한국의 젊은 부모들이 현재 가지고 있는 식사와 암에 대한 개념들을 조사하였다. 10살 미만의 자녀를 가진 1명이상 가진 부모 14명을 In-depth 인터뷰 하였다. 대부분 조사대상자들은 식사 또는 식품이 암의 발병에 연관 있음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몇몇 조사대상자들은 식사 또는 식품이 암의 발병 위험율을 감소 시킬수 있다고 믿고 있었다. 그들은 또한 육류, Smoked meat, cured meat, Processed food, 지방은 발병 위험율을 증가시키고 채소와 과일은 감소시킨다고 믿고 있었다. 조리법 중 grilling 또는 barbecuing은 암의 발병위험율을 증가 시키는 요인으로 인식되었다. 몇몇 조사대상자들은 특정한 영양소(Zn,Se)또는 식품들(된장, 버섯, 마늘, 인삼 등)이 발병률을 감소시킨다고 믿고 있었다. 대부분 조사대상자들은 20대와 30대가 암의 예방을 위해 중요한 시기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신문, 잡지, 라디오, TV가 건강과 영양에 대한 정보를 얻는 중요한 매체이었다.

  • PDF

고교생들의 대학진학선택에 대한 특성 (Characteristics of Highschool Students about Choosing a University)

  • 노효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964-2970
    • /
    • 2012
  • 본 논문은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학선택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11년 신입생 750명이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자기기입식으로 작성하였다. 지원한 대학의 수는 3~4개가 가장 많았으며, 고 3 시기에 대학과 전공을 주로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과에 비중을 두고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진학선택 유형에서는 가족형이 가장 많았다. 학과 선택시의 기준은 적성고려, 취업전망 순이었고, 입학하는 학과에 대해 사전 정보와 지식을 갖고 합격 가능성이 높은 곳을 선택하고 있었다. 고교교사/학교와 인터넷을 통하여 대학을 알게된 경우가 가장 많았고, TV/라디오,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경우는 적었다. 따라서, 진학선택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대학과 전공에 대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며 인터넷과 스마트폰과 같은 매체를 이용한 홍보 전략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DAB 기반의 EPG Provider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EPG Provider System based on DAB)

  • 진현준;박노경;황운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1권12호
    • /
    • pp.51-60
    • /
    • 2004
  • 디지털 오디오 방송은 기존의 AM/FM 방송에 이은 고품질의 차세대 라디오 방송으로 CD수준의 음질,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 양방향성 및 우수한 이동 수신 품질 등을 제공하며 지상파 방송, 위성 방송, 케이블 TV 및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서비스가 가능한 뉴미디어 서비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시스템이 오디오 방송뿐만 아니라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장점과 인터넷 단말기로서의 PC를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DAB 기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응용 기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개발된 EPSD(EPG Provider System on DAB)시스템은 웹 기반의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를 가지며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PC로 다양한 EPG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DAB 수신기가 보다 저렴하고 소형화될 수 있으며 인터넷과 연결되어 풍부한 데이터 서비스의 개발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고품질 영상 서비스가 가능하고 기존의 디지털 장비와의 연결 또한 수월하여 추후 홈 네트워크의 중요한 단말 장치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노령이용자의 정보 및 소셜 컴퓨팅 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Information and Social Computing Service by the Elderly)

  • 이지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75-393
    • /
    • 2012
  • 의료기술과 생활환경의 발달로 인해 급속하게 노령화 사회가 진행되면서 노년의 삶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32명의 노령이용자와의 심층면접을 통하여 정보요구와 이용행태를 파악하고 정보 접근 경로 및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면담내용 분석 결과 노령이용자들이 주로 정보를 찾고자 하는 주제들은 건강과 뉴스, 여가 및 취미 생활로 조사되었고, 주로 이용하는 매체는 TV, 라디오, 인터넷, 가족 및 친지, 그리고 신문 등이었으며, 온라인 커뮤니티,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와 같은 소셜 컴퓨팅 서비스는 현재 노령이용자층의 이용률은 낮지만 가족 및 사회 구성원과의 접촉 및 커뮤니케이션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삶에 대한 만족감과 정신적 행복감을 증가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우리나라 잡지의 패션기사를 통해 패션저널리즘의 동향 (Trends of fashion journalism - An analysis under fashion article in magazines of korea -)

  • 김영숙
    • 디자인학연구
    • /
    • 16호
    • /
    • pp.161-170
    • /
    • 1996
  • 현대사회는 정보사회이다. 오늘날의 패션산업은 정보의 산물이라고 이를 정도로 라디오, 텔레비젼 그리고 신문이나 잡지와 같은 다양한 정보매체에 의하여 전파되고 있다. 패션저널리즘이란 저널리즘의 한 분야로서 출판이나 방송 등 정보매체를 통해 패션에 관한 정보나 의견을 대중들에게 전달하는 활동을 이른다.1) 이미 영국과 같은 유럽 패션 선진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패션저널리즘이 저널리즘의 한 분야로 정착되기 시작하였고 10년 전부터는 의상디자인 학과 내에 패션저널리즘 전공프로그램이 설정되어 신문, 잡지 등 저널리즘에 종사하는 패션저널리스트를 배출하는데 큰 몫을 담당하고 있으며 아울러 실무에 종사하고 있는 기자들의 재교육 프로그램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우리 나라의 여성잡지는 패션정보의 공급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할 수 있으며 패션화보 기사를 처음 다룬$\boxDr$여원$\boxUl$을 효시로 하여 그 역사가 40년에 이른다. 본 연구는 우리 나라 패션저널리즘을 체계화할 필요성에서 시작되었으며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우리 나라의 패션관련잡지의 성향과 구성내용을 분석 하므로써 패션저널리즘의 동향을 파악하여 우리 나라 패션저널리즘의 틀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최근 간행된 패션관련잡지에 실린 패션기사를 대상으로 하여 패션기사 량, 패션이미지, 패션기사의 성격을 정량적, 정성 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잡지의 제호 변경이 패션 기사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지의 패션기사는 패션저널리즘의 역사적 발전 과정에서 점차 그 위치를 확고히 구축해 가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결론적으로 우리 나라 패션저널리즘은 정보의 전문화, 독자 연령층의 하향화, 외국잡지의 국내 정착화의 과정에 놓여 있는 것이 뚜렷이 발견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의상브랜드의 브랜드 포지션 닝을 통해서 패션저널리즘의 동향을 대상연령층과 패션이미지의 상관 관계로 정립해보고자 시도해 본 적이며 패션저널리즘 교육의 전문화와 패션저널리즘에 대한 지속적이고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서울지하철의 지능형 광고 비즈니스모델 설계 (Designing an Intelligent Advertising Business Model in Seoul's Metro Network)

  • ;임규건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4호
    • /
    • pp.1-31
    • /
    • 2017
  • 현대 기업들은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시장 진출을 위해 새로운 기술들을 채택하고 있다. 광고 업계도 전통적인 채널 (라디오, TV 및 인쇄 매체)에서 인터넷, 소셜 미디어, 모바일 기반광고와 같은 새로운 매체로 지속적인 파괴적 혁신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지하철에 지능형 광고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한 사례이다. 서울은 세계에서 가장 분주 한 지하철 중 하나로서 메트로 네트워크를 통해 마케팅 담당자가 다양한 고객과 잠재 고객 모두와 교류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될 수 있다. 현재의 광고 매체의 대부분은 공간, 조명 등 국부적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본 사례의 지능형 디지털 광고 플랫폼은 데이터로 구동되는 광고를 통해 위치기반 모바일 전자상거래를 제공할 수 있다. 등록된 지하철 카드를 통해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고 특정 고객 그룹을 타겟팅하고, 대상 소비자 그룹을 기반으로 광고 사용자를 정의하고, 동영상, 애니메이션, 쿠폰, 문자 등 다양한 광고 형식을 제공 할 수 있다. 위치 정보를 통해 다음역을 탐지하여 지하철 안의 스크린이 다음 정차 할 역의 광고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사용자 모바일에서 알림을 수신하도록 선택한 고객은 광고주의 사업장 근처에 접근 할 때 알림을 받게 된다. 또한,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통해 지하 쇼핑몰의 고객이 상점, 제품, 시설, 이벤트 등을 검색하고 광고나 추천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광고는 고객이 광고를 클릭하면 제품 설명 페이지로 연결되어 전자 상거래로 이어지도록 한다. 이 모델을 통해 개선된 고객 경험뿐만 아니라 지하상가의 중소기업 지원, 새로운 직업 기회, 비즈니스 모델 운영자에 대한 추가 매출 및 광고 유연성 등 새로운 가치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지역 고등학생의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 (Recognition of Food Additiv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 정화영;정난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17
    • /
    • 2009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식품첨가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아 고등학생들의 식생활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 소재의 남 여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56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520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 Program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일원변량분석, t 검증, Chi-Square(x2) 검증을 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 Duncan의 다중범위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변인에 따른 식품첨가물의 일반적 인식은 식품첨가물에 대해 식품 완전표시제가 꼭 필요하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식품첨가물이 식품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났다. 비싸더라도 식품첨가물이 없는 식품을 먹으려고 한다는 가정의 월평균 수입과 한달 용돈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색깔이 예쁜 과자를 보면 더 먹고 싶은 생각이 든다는 성별에 따라, 식품제조시 식품첨가물은 꼭 필요하다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햄 소시지가 왜 붉은 색인지 궁금한 적이 있다는 학년과 어머니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밀가루는 대부분 흰색인데 우리 밀은 왜 노란색인지 궁금한 적이 있다는 성별, 학년, 어머니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식품첨가물은 통제가 충분하다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 조미료가 첨가되어 있는 식품을 구분할 수 있다는 어머니 학력과 한달 용돈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식품첨가물 지식과 관련변인에 따른 지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식품첨가물에 대한 지식 정답율은 안전성 관련 지식에서는 아주 높게 나타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지만 식품 성분 표시 중 식품첨가물의 실제 지식 정답율은 아주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년과 어머니 학력에 따라 식품첨가물의 지식 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성별과 학년에 따른 식품첨가물에 대한 정보 요구도, 안전성 인식, 용도 인식은 식품첨가물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가는 여학생과 1학년이 가장 높아 차이를 나타냈으며, 식품첨가물이라는 용어를 어디에서 알게 되었는지와 식품첨가물에 대한 정보를 어디에서 얻는가는 주로 TV 라디오 신문 등의 대중매체이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그리고 2학년이 가장 높아 차이를 나타냈다. 식품첨가물에 대해 알아야 할 필요성의 정도는 남학생, 1학년이 높아 차이를 나타냈다. 식품첨가물에 대해 배우고 싶은 곳은 남학생은 대중매체를, 여학생은 학교 선생님으로 그리고 1학년은 학교 선생님, 2학년과 3학년은 대중매체로 나타나 차이를 나타냈고, 안전성 인식에서 안전성이 가장 우려되는 항목으로는 1학년은 보존료, 표백제, 착색제 순으로, 2학년이 표백제, 보존료, 착색제 순으로, 3학년은 표백제, 보존료, 조미료 감미료 산미료 순으로 차이를 나타냈다. 식품첨가물의 역할인지는 여학생, 1학년이 가장 높아 차이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살펴 볼 때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었지만, 실제로 식품을 구입할 때 필요한 식품표시 사항을 확인하는 정도가 낮았으며, 표기된 영양정보와 식품첨가물의 정보에 대해서 학생들의 수준이 아주 낮은 것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소비생활에 직접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고등학생들의 인식 제고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중국소비자의 'K-POP' 선호도가 한국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POP' Preference of Chinese Consumers on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Products)

  • 박종철;강지원;임지원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79-90
    • /
    • 2015
  • 본 연구는 'K-POP' 선호도가 한국 상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고 있으며, 특히 이들 관계를 매개하는 한국문화이벤트 참여의도와 한국문화제품 구매의도의 매개효과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나아가 이들 경로관계에서 한류 콘텐츠 이용행태별 차이에 따라 경로효과가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K-POP' 선호도는 한국문화이벤트 참여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문화이벤트 참여는 한국문화제품 구매의도와 일반제품 구매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한국문화제품 구매의도는 일반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자들은 본 연구결과를 통해 'K-POP' 선호도가 높아진다고 해서 일반제품 구매의도가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K-POP' 선호도가 높아지게 되면 이로 인하여 한국문화이벤트 참여의도가 높아지고, 그 결과 일반제품 구매의도가 높아진다는 새로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류 콘텐츠 이용행태(정보이용빈도, 정보원천, 관심분야)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매체이용 행태별 차이의 경우 인터넷을 사용하는 중국소비자들은 'K-POP' 선호도가 일반제품 구매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문화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도 일반제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보원천이 TV, 라디오, 신문 등을 주로 이용하는 중국소비자들의 경우에는, 'K-POP' 선호도가 일반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기술의 동향분석을 통한 유비쿼터스 공간의 미래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recasting for Ubiquitous Space with Analysis of Digital Technology Trends)

  • 인치호;이수현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5호
    • /
    • pp.323-334
    • /
    • 2006
  • 디지털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은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구현시켜 왔고, 이로 인해 인간의 생활환경은 새로운 변화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간의 삶을 준비하기 위해서 다가올 미래의 예측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 관련된 전문적 연구분야에서 대중적 매체에 이르기까지 미래 유비쿼터스 공간에 대한 예측이 수 없이 많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비쿼터스 공간을 이해하고 디자인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디지털 기술의 동향에 대한 올바른 분석과 이해가 필요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시각에서의 디지털 기술의 동향분석을 통해서 유비궈터스 공간의 생성을 이해하고 그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유비쿼터스 공간의 미래를 예측하고자 한다. 우선 물리적 공간에서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원활히 교류하는 주체로서 인간, 사물, 환경을 기본요소로 설정하고 디지털기술의 동향을 분석한다. 인간중심의 관점에서는 상호작용성과 인터페이스를 주제로 그 배경과 발전 동향을, 사물중심 관점에서는 라디오에서 로봇까지 제품의 진화를, 환경중심 관점에서는 상황인지, 내재성, 통합연결성을 주제로 분석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이를 적용하여 유비궈터스 공간의 미래를 예측하고 컨셉을 생성하는 연구들의 유형을 실험적 연구, 산업적 연구, 공공적 연구로 분류, 분석하여 유비궈터스 공간의 미래를 예측하여 보았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의 동향에 대한 이해와 이에 근거한 유비궈터스 공간 연구 사례들의 체계적인 분석으로서 디자이너들의 컨셉 생성과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