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딥러닝모델

Search Result 1,79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dversarial Attack against Deep Learning Based Vulnerability Detection (딥러닝 기반의 코드 취약점 탐지 모델의 적대적 공격)

  • Eun Jung;Hyoungshic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4.05a
    • /
    • pp.352-353
    • /
    • 2024
  • 소프트웨어 보안의 근본적인 문제인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딥러닝 기반의 코드 취약점 탐지 모델은 취약점 탐지에서 높은 탐지 정확도를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딥러닝 모델은 작은 변형에 민감하므로 적대적 공격에 취약하다. 딥러닝 기반 코드 취약점 탐지 모델에 대한 적대적 공격 방법을 제안한다.

Accuracy Assessment of Land-Use Land-Cover Classification Using Semantic Segmentation-Based Deep Learning Model and RapidEye Imagery (RapidEye 위성영상과 Semantic Segmentation 기반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의 정확도 평가)

  • Woodam Sim;Jong Su Yim;Jung-Soo Lee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3
    • /
    • pp.269-282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land cover maps using a deep learning model and to select the optimal deep learning model for land cover classification by adjusting the dataset such as input image size and Stride application. Two types of deep learning models, the U-net model and the DeeplabV3+ model with an Encoder-Decoder network, were utilized. Also, the combination of the two deep learning models, which is an Ensemble model, was used in this study. The dataset utilized RapidEye satellite images as input images and the label images used Raster images based on the six categories of the land use of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as true value.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blem of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dataset to enhance the accuracy of deep learning model and constructed twelve land cover maps using the combination of three deep learning models (U-net, DeeplabV3+, and Ensemble), two input image sizes (64 × 64 pixel and 256 × 256 pixel), and two Stride application rates (50% and 100%). The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the label images and the deep learning-based land cover maps showed that the U-net and DeeplabV3+ models had high accuracy, with overall accuracy values of approximately 87.9% and 89.8%, and kappa coefficients of over 72%. In addition, applying the Ensemble and Stride to the deep learning models resulted in a maximum increase of approximately 3% in accuracy and an improvement in the issue of boundary inconsistency, which is a problem associated with Semantic Segmentation based deep learning models.

A Study on Deep Learning Privacy (딥러닝 프라이버시에 관한 연구)

  • Si-Hyeon Roh;Byoung-Young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4.05a
    • /
    • pp.207-209
    • /
    • 2024
  • 딥러닝은 선형 연산과 비선형 연산을 조합하여 목표로 하는 시스템을 잘 표현할 수 있는 함수를 찾기 위해 사용하며, 이미지 분류 및 생성, 거대 언어 모델 및 객체 인식의 영역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딥러닝 연산을 위해서는 모델과, 연산을 수행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하나의 공간에 저장되어야 한다. 모델과 데이터를 데이터 소유자가 관리할 경우, 데이터 소유자가 모델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으며, 이는 모델을 적대적 예제 생성 공격에 취약하도록 만드는 원인이 된다. 한편 모델과 데이터를 모델 소유자가 관리할 경우, 모델 소유자는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여 데이터 소유자의 정보를 악의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모델과 데이터의 프라이버시를 모두 보호하기 위해 주어진 딥러닝 모델의 암호화와 복호화를 수행하는 EncNet 을 구현하였으며, MNIST 와 Cifat-10 데이터셋에 대하여 실효성을 테스트하였다.

Radiation Prediction Based on Multi Deep Learning Model Using Weather Data and Weather Satellites Image (기상 데이터와 기상 위성 영상을 이용한 다중 딥러닝 모델 기반 일사량 예측)

  • Jae-Jung Kim;Yong-Hun You;Chang-Bok Kim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25 no.6
    • /
    • pp.569-575
    • /
    • 2021
  • Deep learning shows differences in prediction performance depending on data quality and model. This study uses various input data and multiple deep learning models to build an optimal deep learning model for predicting solar radiation, which has the most influence on power generation prediction. did. As the input data, the weather data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 clairvoyant meteorological image were used by segmenting the image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gency. , comparative evaluation, and predicting solar radiation by constructing multiple deep learning models connecting the models with the best error rate in each model. As an experimental result, the RMSE of model A, which is a multiple deep learning model, was 0.0637, the RMSE of model B was 0.07062, and the RMSE of model C was 0.06052, so the error rate of model A and model C was better than that of a single model. In this study, the model that connected two or more models through experiments showed improved prediction rates and stable learning results.

딥러닝 기반 얼굴인식 모델에 대한 변조 영역 제한 기만공격

  • Ryu, Gwonsang;Park, Hosung;Choi, Daeseon
    • Review of KIISC
    • /
    • v.29 no.3
    • /
    • pp.44-50
    • /
    • 2019
  • 최근 딥러닝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놀라운 성능을 보여주고 있어 많은 서비스에 적용되고 있다. 얼굴인식 또한 딥러닝 기술을 접목하여 높은 수준으로 얼굴인식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딥러닝 기술은 원본 이미지를 최소한으로 변조시켜 딥러닝 모델의 오인식을 발생시키는 적대적 예제에 취약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 얼굴인식 시스템에 대해 적대적 예제를 이용하여 기만공격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제 얼굴에 분장할 수 있는 영역을 고려하여 설정된 변조 영역에 따른 기만공격 성능을 분석한다.

합성곱 신경망에서 동적 가지치기 모델 구현 및 적용

  • 주조령;조인휘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4.05a
    • /
    • pp.582-585
    • /
    • 2024
  • 이 연구는 컴퓨팅 자원이 제한된 환경에서 딥러닝 모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합성곱 신경망(CNN)에서 동적 가지치기 모델의 적용을 탐구한다. 첫째, 동적 가지치기 모델의 원리와 방법에 대해 기존 방법과의 비교를 소개한다. 둘째, 기존적인 방법 동적 가지치기 모델의 구현 과정 및 결과 분석을 포함한 실험 단계를 자세히 설명한다. 실험 결과는 동적 가지치기 모델이 적절한 훈련에서 모델의 분류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강력한 일반화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딥러닝 방법과 기존 방법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분석하고 요약하여 실제 적용에서 딥러닝 모델 배치에 유용한 탐색과 참고 자료를 제공한다. 이 연구는 딥러닝 분야에서 동적 가지치기 모델의 적용을 추가로 탐색하기 위한 중요한 이론 및 실습 기반을 제공한다.

Embedded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development for action estimation on construction site (사용자 행동예측을 위한 임베디드 인공지능 엔진 및 시스템 기술 개발)

  • Song, Hyok;Choi, Inkyu;Ko, Minsoo;Yoo, Ji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1.06a
    • /
    • pp.226-227
    • /
    • 2021
  • 딥러닝을 활용한 영상 분석 기술은 GPU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인하여 소프트웨어 기반 처리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였고 기존 패턴 분석 기술 대비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고 있다. PC나 특정 하드웨어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기반 영상분석기술은 적용분야의 한계가 발생하였다. 신경망 기술을 하드웨어로 구현한 NPU(Network processing unit)의 개발로 고가의 플랫폼이 아닌 임베디드 플랫폼에서의 딥러닝 구현이 가능해졌다. 반면에 하드웨어에서 활용 가능한 네트워크가 제한적임으로 인하여 구현 가능한 딥러닝 모델의 크기, 메모리 등의 한계가 있으며 시시각각 변하는 딥러닝 기술에 기반한 최신모델 또는 고성능 모델을 구동하기에는 한계가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Distillation 기법을 적용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에 기반한 딥러닝 모델의 구현 및 상황에 따른 가변적 딥러닝 모델의 적용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Deep Learning-Based House-Tree-Person Test Analysis Model (딥러닝 기반 집-나무-사람 검사 분석 모델의 개발)

  • Cho, Seung-Je;Cho, Geon-Woo;Kim, Yo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11a
    • /
    • pp.558-561
    • /
    • 2021
  • 심리학에서 사람의 심리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사용되는 검사 방법 중, 집-나무-사람 검사(HTP Test)는 피실험자가 그린 집, 나무, 사람을 포함하는 그림을 사용하여 피실험자의 심리를 분석하는 투영 검사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모델을 이용해 HTP Test 에 사용되는 그림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제안하며, 성능 평가를 통해 심리학에서의 딥러닝 모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또한 그림 데이터 분석에 적합한 사전 훈련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ImageNet 과 스케치 데이터셋으로 사전 훈련하여 성능을 비교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크게 감정 분석을 위한 이미지 객체 추출부, 추출된 객체로 피실험자의 감정을 분류하는 감정 분류부로 구성되어 있다. 객체 추출과 이미지 분류 모두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기반의 딥러닝 모델을 사용하며, 이미지 분류 모델은 서로 다른 데이터셋으로 모델을 사전 훈련한 후, 훈련 데이터셋으로 전이 학습하여 모델의 성능을 비교한다. 그림 심리 분석을 위한 HTP test 스케치 데이터셋은, HTP Test 와 동일하게 피실험자가 3 개 클래스의 집, 나무, 사람의 그림을 그려 자체 수집하였다.

Predicting water temperature and water quality in a reservoir using a hybrid of mechanistic model and deep learning model (역학적 모델과 딥러닝 모델을 결합한 저수지 수온 및 수질 예측)

  • Sung Jin Kim;Se Woong C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50-150
    • /
    • 2023
  • 기작기반의 역학적 모델과 자료기반의 딥러닝 모델은 수질예측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각각의 모델은 고유한 구조와 가정으로 인해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딥러닝 모델은 우수한 예측 성능에도 불구하고 훈련자료가 부족한 경우 오차와 과적합에 따른 분산(variance) 문제를 야기하며, 기작기반 모델과 달리 물리법칙이 결여된 예측 결과를 생산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상수원인 댐 저수지를 대상으로 수심별 수온과 탁도를 예측하기 위해 기작기반과 자료기반 모델의 장점을 융합한 PGDL(Process-Guided Deep Learninig) 모델을 개발하고, 물리적 법칙 만족도와 예측 성능을 평가하는데 있다. PGDL 모델 개발에 사용된 기작기반 및 자료기반 모델은 각각 CE-QUAL-W2와 순환 신경망 딥러닝 모델인 LSTM(Long Short-Term Memory) 모델이다. 각 모델은 2020년 1월부터 12월까지 소양강댐 댐 앞의 K-water 자동측정망 지점에서 실측한 수온과 탁도 자료를 이용하여 각각 보정하고 훈련하였다. 수온 및 탁도 예측을 위한 PGDL 모델의 주요 알고리즘은 LSTM 모델의 목적함수(또는 손실함수)에 실측값과 예측값의 오차항 이외에 역학적 모델의 에너지 및 질량 수지 항을 제약 조건에 추가하여 예측결과가 물리적 보존법칙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penalty를 부가하여 매개변수를 최적화시켰다. 또한, 자료 부족에 따른 LSTM 모델의 예측성능 저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보정되지 않은 역학적 모델의 모의 결과를 모델의 훈련자료로 사용하는 pre-training 기법을 활용하여 실측자료 비율에 따른 모델의 예측성능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PGDL 모델은 저수지 수온과 탁도 예측에 있어서 경계조건을 통한 에너지와 질량 변화와 저수지 내 수온 및 탁도 증감에 따른 공간적 에너지와 질량 변화의 일치도에 있어서 LSTM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역학적 모델 결과를 LSTM 모델의 훈련자료의 일부로 사용한 PGDL 모델은 적은 양의 실측자료를 사용하여도 CE-QUAL-W2와 LSTM 보다 우수한 예측 성능을 보였다. 연구결과는 다차원의 역학적 수리수질 모델과 자료기반 딥러닝 모델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모델링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며, 자료기반 모델의 훈련자료 부족에 따른 예측 성능 저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역학적 모델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딥러닝을 활용한 선박가치평가 모델 개발

  • Choi, Jung-suk;Kim, Dong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108-11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딥러닝 기법의 하나인 인공신경망 모델을 활용하여 선박의 가치평가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선박의 가치는 해운시장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경기 변동성이 크고 시장 민감성이 높은 해운시장의 특성상 가치의 불확실성 역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선박가치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적으로 선박가치평가의 체계 개선 및 평가모델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딥러닝 방법을 통해 선박의 가치를 산출하는 새로운 평가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치평가의 대상은 중고 VLCC선이며, 선행연구를 통해 선박의 가치 변화를 유발하는 주요 요인들을 선별하여 변수를 설정하고 2010년 1월부터 현재까지의 해당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교차검증을 통해 파라미터들을 추정하여 인공신경망의 최적 구조를 식별하고 이에 대한 객관성과 신뢰성을 검증한 결과 인공신경망 모델의 가치평가 정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선박가치평가의 전통적 방법론에서 탈피하여 기계학습 기반의 딥러닝 모델을 활용한 측면에서 독창적인 의미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