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 케이블

Search Result 21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양방향 디지털 케이블 방송기술의(DVB-C/RC, Open Cable) 비교분석 및 플랫폼 구현에 관한 고찰

  • 홍인화;홍성희;김찬규;정하중;조위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2.11a
    • /
    • pp.307-313
    • /
    • 2002
  • 전 세계 디지털 방송환경은 유럽 과 미국의 디지털 위성방송 서비스의 성공을 계기로 지상파 방송 및 케이블방송에서 빠르게 디지털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케이블 방송은 단일 인프라에서 방송과 인터넷 서비스의 동시 제공성 때문에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디지털 케이블 방송기술은 크게 유럽의 DVB-C/RC 표준과 미국의 Open Cable 표준으로 양분되며, 미들웨어의 경우도 MHP(유럽), OCAP(미국)으로 양분되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양대 디지털 케이블 방송기술을 비교 분석하고, 양방향 디지털 케이블 방송용 STB 여러 가지 요구사항을 기술하고 또한 이를 만족할 수 있는 케이블 셋탑박스를 구현하도록 하였다.

  • PDF

디지털 케이블TV기술 및 향후 전망

  • Han, Un-Yeong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5 no.9
    • /
    • pp.58-69
    • /
    • 2008
  • 디지털 케이블TV서비스는 헤드엔드(Head-End)센터로부터 QoS (Quality of Service)가 보장되는 케이블 HFC(Hybrid FiberCable)망을 통해 디지털 영상 방송이나 양방향서비스를 가입자 단말까지 제공하는 방송 통신 융합서비스이다. 본 고에서는 디지털 케이블TV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케이블 네트워크 기술에 대해서 설명하고, 디지털 방송 및 양방향 서비스를 송출하는 방송센터시스템과 디지털 방송 기술에 대해 알아본 후 마지막으로 디지털 케이블TV의 향후 전망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 PDF

Analysis of Channel Zapping Delay and Method of Optimizing Channel Zapping Time in Digital Cable Broadcasting (디지털 케이블 방송 서비스의 채널 변경 지연 요소 분석 및 채널 변경 속도 향상 기법)

  • Choi, I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11a
    • /
    • pp.36-38
    • /
    • 2014
  • 디지털 케이블 방송 시스템은 기존의 아날로그 케이블방송과 달리 하나의 6MHz 주파수 대역에 여러 방송채널들을 전송하고 있다. 즉, MPEG2 또는 H.264/AVC 등 비디오 압축 방식으로 인코딩된 여러 방송채널들과 각 채널의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PSI 정보를 생성하여 멀티플렉싱하여 6MHz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디지털 케이블 방송에서는 방송채널 변경 시 QAM Tuner의 주파수 Locking 및 디멀티플레싱, PSI 정보 파싱을 통한 채널 정보 획득, 비디오 및 오디오 디코딩을 위한 RAP(Random Access Point) 획득, 스크램블채널을 위한 ECM 획득 등의 시간 지연이 발생함에 따라 아날로그 케이블방송과 비교하여 상당한 채널 변경 지연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디지털 케이블 방송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채널 변경 시간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채널 변경 지연 요소들을 분석하고, 채널 변경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 PDF

The Study on the digital conversion present situation and consideration regarding an issue of analogue cable broadcast (아날로그 케이블 방송의 디지털 전환 현황과 쟁점에 관한 고찰)

  • Kim, Hee-Kyung;Kim, Dug-M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6
    • /
    • pp.1-9
    • /
    • 2013
  • The digital signal is terminated on Dec.31, 2012. But most of the analog cable subscribers are faced with the difficult reception of the digital because the government has defined the terrestrial broadcast as digital transition obligation operators. It is estimated that half analog of the total pay-TV subscriber that is approximately 10million households that are directly receiving terrestrial signal must hold the digital TV or DtoA convertor to transit digital. But cable system subscriber should buy Set-top box that are expensive and pay the expensive rates. The cast of analog cable subscribers has been classified as a group that can cause the most damage after digital switch. This study investigate the problem, and cause, solution of the analog cable subscribers that are placed in the blind spots of the digital switch.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Welding System based on the Digital Technology (디지털 용접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Yu, Sang-Hun;Kim, Jong-Cheol;Kim, Jae-Gwon;Ji, Yeong-Eun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9-9
    • /
    • 2009
  • 기존 아날로그 SCR 타입의 용접시스템은 케이블 길이가 변화함으로써 신호 왜곡에 따른 와이어 송급이 일정하지 못하였다. 또한 신호선의 과다로 케이블의 무게와 보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런 단점을 디지털 통신을 이용하여 모터제어의 신뢰성을 확보하여 정밀제어가 가능한 와이어 피더 및 통신선을 이용한 싱글케이블 단순화을 이루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케이블 길이에 따른 와이어 송급제어(송급모터 속도 제어)의 왜곡을 최소할 수 있는 디지털 통신기반의 용접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디지털 모터제어 및 용접기와의 통신장치를 개발하여 용접성능 테스트를 수행하면서 기능 보완 작업을 수행하였다. 성능테스트에는 송급모터 제어기능, 용접기와 통신 신뢰성, 용접 시��스 제어, 제어기의 신뢰성 및 용접 테스트가 포함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디지털 기반의 송급시스템을 당사 $CO_2$ 용접시스템에 적용하여 용접품질 향상, 케이블 경량화 및 신뢰성을 확보하여 타 용접 시스템에 확대 적용하고자 한다.

  • PDF

Trends in Transmission Technology for Digital Cable Broadcasting (디지털케이블방송 전송기술 동향)

  • Kim, T.K.;Hyun, E.H.;Ra, S.J.;Jung, J.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3
    • /
    • pp.10-19
    • /
    • 2017
  • 전국대비 90%를 웃도는 홈 패스율을 유지하는 케이블 방송망은 본격적인 디지털방송 전환과 맞물려 빠른 속도로 스마트 방송 서비스를 전 국민적으로 확산할 수 있는 유력망으로 거론되고 있다. 케이블 방송망은 고품질 방송 서비스뿐만 아니라 양방향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수용하는 통합망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신규 융합방송 서비스 및 실감방송 서비스 등의 도입이 가속화됨에 따라 IP 기반 고용량 데이터 송수신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망 인프라를 기반으로 미래의 방송 통신 융합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케이블방송의 전송기술 개발 및 표준화 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매체별 디지털 데이터방송 규격 비교 -지상파, 위성, 케이블 중심으로-

  • 장호연;문남미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8 no.3
    • /
    • pp.30-39
    • /
    • 2003
  • 디지털 경제에서는 세계표준을 따르는 것이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인 것이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표준또한 필연적으로 준수되어져야 하는 규격인 것이다. 최근 방송환경이 매체별(지상파, 위성, 케이블)로 디지털방송으로 전환 중이거나 전환을 완료하여 서비스중에있다. 데이터방송 또한 매체별로 실험서비스 혹은 본방송이 진행중이다. 데이터방송은 디지털 방송에 양방향 서비스를 가늠하게 하는 개념으로서 국내의 지상파 데이터방송 표준 규격이 ATSC (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DASE (D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 위성의 경우 DVB MHP (Digital Video Broadcasting - Multimedia Home Platform), 케이블은 OpenCable-OCAP(OpenCable Common Application Platform)으로 결정되었다. 이와 같이 국내에서 채택하고있는 데이터방송 규격은 매체별로 서로다른 규격을 따르고있으며 규격 표준화 진행은 완료되었거나 진행중에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지상파, 위성, 케이블 데이터방송 표준동향과 매체별 데이터방송 표준 규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디지털로 무장한 케이블 사용자 확대 '정조준'

  • Park, Hyeon-Su
    • Digital Contents
    • /
    • no.10 s.161
    • /
    • pp.30-34
    • /
    • 2006
  • 급변하는 통ㆍ방 융합 시대를 맞아 케이블방송이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그 동안 경쟁매체라고 해봐야 지상파와 위성방송 채널 정도였지만 이제 통신과 방송의 융합이라는 거대 조류 속에서 IPTV, TV포털 등 새로운 개념의 방송 서비스와 경쟁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경쟁자들이 속속 진입하고 있는 방송 시장에서 과연 케이블방송 업계가 수성에 성공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PDF

Impact of Pay TV Market Structure and Competition on Digital Switch Over of Cable TV (유료방송의 시장구조와 경쟁이 케이블 TV의 디지털 전환에 미치는 영향)

  • Do, Joonh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6 no.3
    • /
    • pp.145-153
    • /
    • 2016
  • Cable TV with largest subscription base in pay TV market has difficulty in managing the task of digital switch over.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 delay of cable TV switch over and examined the impact of pay TV market structure and competition. The delaying factors turned out to be the lack of incentives and resources of cable TV operators, insufficient policy measures and acceptance tolerance issues of subscribers. Since cable TV operators with monopolistic status in pay TV market had continuous profit from analog service, they were not responsive to digital switch over which requires additional investment. Policy measures including support for the low income household and mandatory cut-off point for stopping analog broadcasting. Subscriber's willingness to accept digital broadcasting in terms of price sensitivity and preference for convenient operation also played a role. Introduction of IPTV in pay TV market influenced the speed of digital switch over of cable TV operators. MSOs with economies of scale showed higher digital switch over rate than independent SO.

IP-TV와 디지털케이블TV의 유사성 분석

  • Hwang, Bu-Gun;Kim, Yong-Gyu;Kim, Mi-Jeong;Choe, Seong-Jin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2 no.1
    • /
    • pp.24-39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는 IP-TV 정의 및 매체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IP-TV의 개념을 분명히 하였다. 또한 IP-TV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플랫폼, 네트워크, 콘텐츠 및 IP-TV 성패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소들을 디지털케이블 TV와 비교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디지털케이블 TV와 IP-TV는 물리적 측면이나 서비스 제공 콘텐츠 측면에서 거의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