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 지형모델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ccumulation of Streamflow in Complex Topography by Digital Terrain Models (복잡한 지형에 있어서 디지털 지형모델을 이용한 유출량 계산)

  • 전무갑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38 no.5
    • /
    • pp.47-54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지표면유출과 중간유출의 수문학적과정을 함께 모의발생 시키는 합성 유역모델이 제시되었다. 본 모델은 디지털지형모델과 상호 연결되도록 하였으며 지형이 복잡한 지역에서도 유출이 시간과 공간적으로 누가계산되어 이 분야의 조사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모델을 이용 유역의 불투수층 위에 분포해있는 토양의 중간계층과 토양수분의 계산 및 침투/용탈의 과정을 모의 발생시킬 수 있다.

  • PDF

Development of Registration Post-Processing Technology to Homogenize the Density of the Scan Data of Earthwork Sites (토공현장 스캔데이터 밀도 균일화를 위한 정합 후처리 기술 개발)

  • Kim, Yonggun;Park, Suyeul;Kim, Se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5
    • /
    • pp.689-699
    • /
    • 2022
  • Recently, high productivity capabilities have been improved due to the application of advanced technologies in various industries, bu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productivity improvements have been relatively low. Research on advanced technology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being conducted quickly to overcome the current low productivity. Among advanced technologies, 3D scan technology is widely used for creating 3D digital terrain models at construction sites. In particular, the 3D digital terrain model provides basic data for construction automation processes, such as earthwork machine guidance and control. The quality of the 3D digital terrain model has a lot of influence not only on the performance and acquisition environment of the 3D scanner, but also on the denoising, registration and merging process, which is a preprocessing process for creating a 3D digital terrain model after acquiring terrain scan dat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terrain scan data processing performance. This study seeks to solve the problem of density inhomogeneity in terrain scan data that arises during the pre-processing step. The study suggests a 'pixel-based point cloud comparison algorithm' and verifies the performance of the algorithm using terrain scan data obtained at an actual earthwork site.

Elevation Restoration of Natural Terrains Using the Fractal Technique (프랙탈 기법을 이용한 자연지형의 고도 복원)

  • Jin, Gang-Gyoo;Kim, Hyun-J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5 no.1
    • /
    • pp.51-56
    • /
    • 2011
  • In this paper, we presents an algorithm which restores lost data or increases resolution of a DTM(Digital terrain model) using fractal theory. Terrain information(fractal dimension and standard deviation) around the patch to be restored is extracted and then with this information and original data, the elevations of cells are interpolated using the random midpoint displacement method. The results of the proposed algorithm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bilinear and bicubic methods on a fractal terrain map.

A property of good TIN for an analysis of a digital terrain model (디지털 지형 모델 분석을 위한 효과적인 TIN의 속성)

  • 정성훈;김시완;최미나;이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202-204
    • /
    • 2002
  • 디지털 지형 모델은 크게 세가지로 구분되는데 이들을 이용하면 여러 가지 분석 작업을 할 수 있다. 그 중 하나인 TIN은 데이터 양이나 계산의 정확도 면에서 커다란 장점을 가진다. 그런데 TIN을 구성하고 있는 삼각형이 기형적인 모형을 하고 있거나 분석 작업에 필요한 정보가 제대로 구성되지 않으면, 정확한 분석 작업을 수행 할 수가 없다. 특히 등고 데이터로부터 점 데이터를 추출해 TIN을 구성하게 되면 그러한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TIN을 생성할 때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좋은 TIN이 가져야 하는 속성을 나열하고 그러한 속성을 가질 때 어떤 점에서 좋은지 서술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f the ITU-R Recommendation P.1812 for Urban Environments (도심 환경에서의 ITU-R P.1812의 구현과 분석)

  • Lee, Chang-Hoon;Sung, Yu-Suk;Kim, Se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55-158
    • /
    • 2009
  • 원활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손쉬운 방송망 구축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서비스 하 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과 환경에 맞는 전파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다. 적절한 전파 모델을 선택하여 수신 전계 강도를 정확하게 예상함으로써 효율적인 방송망을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방송망 주파수 대역에서 전파 분석 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모델은 ITU-R 권고안 P.1546 모델이다. 이 모델은 기존의 Okumura 나 Hata 모델처럼 측정을 기반으로 하여, 송신단 높이, 수신단 높이, 주파수, 거리, 시간율, 공간율 들을 고려하여 완성한 점대 영역 경로 손실 예측 모델이다. 측정을 기반으로 완성된 경로 손실 모델이기 때문에 실제 환경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계강도 예측 지역의 수신 환경 특성을 반영한 보정값을 더해줘야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ITU-R 연구 3그룹은 지형 프로파일에 기반한 새로운 모델들을 개발하였다. 송, 수신단 사이의 지형 데이터가 고도화되면서 좀 더 정밀한 송, 수신단 사이의 지형 프로파일을 추출해 낼 수 있으며 이는 정확한 전계강도 예측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에 연구 3그룹은 고도화된 디지털 지형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유 공간에서 경로 손실, 지형에 의한 회절 손실, 대류권 산란 손실 그리고 ducting 현상을 반영하여 전계강도를 산출해 내는 ITU-R P.1812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ITU-R 권고안 P.1812를 분석 구현하고 기존의 대표 모델인 P.1546 모델과의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ydrologic simulation system using the digital twin-based SWAT model (디지털 트윈 기반의 SWAT 모델을 활용한 수문 모의 시스템 개발 및 평가)

  • Yechan Jeong;Seoro Lee;Gwanjae Lee;Yeonji Jeong;Yonghun Choi;Sangjoon Bak;Kyoung Jae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24-224
    • /
    • 2023
  • 국내·외로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델은 유역 단위에서 유출 및 수질을 예측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SWAT 모델의 결과물은 데이터 테이블 형식으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모델 사용자가 유역 내 하천별 수문 모의 결과물을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3D 가상환경을 구축하는데 디지털 트윈 기술의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다. 디지털 트윈 기술은 현실의 공간을 가상환경으로 구축해 실시간 현실의 상황을 파악하여, 의사결정 지원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트윈 기술과 SWAT 모델을 연계하여, 모델의 결과값을 가상환경 3D 지도인 CESIUM에 실시간으로 표출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기반 SWAT 모델 수문 모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3D 지형에 SWAT 모델을 통해 모의 된 하천의 수위 및 SS에 대한 표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후나 유역환경에 따른 유역 내 수문 변화를 시·공간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된 디지털 트윈 기반 SWAT 모델 수문 모의 시스템은 홍수 및 가뭄과 같은 재해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역 및 하천관리 대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디지털 TV 방송을 위한 3차원 지형 전파전파 예측 모델 개발

  • 서춘길;고형화;오상훈;명로훈;신철호;이형수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1 no.3
    • /
    • pp.11-21
    • /
    • 2000
  • 을 합하여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선 추적법을 적용한 해석적 방법은 디지털 방송의 수신 영역을 결정하는 중요한 두 요소인 수신 전계강도 및 다중 경로 간섭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환경에서 동일채널 중계기로 인한 방송 수신 영역의 확대 또는 축소를 예측할 수 있으며, 중계기의 최적화 위치를 찾는 데 활용할 수 있다.

  • PDF

3-D Topographical Modelling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Digital Photogrammetry (수치사진측량의 효율적 적용을 위한 3차원 지형모델링)

  • Bae, Kyoung-Ho;Yun, Bu-yeol;Shon, Ho-Wo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9 no.4
    • /
    • pp.371-376
    • /
    • 2006
  • Digital high resolution cameras are widely available, and are increasingly use in digital close-range photogrammetry. And photogrammetry instruments are developing rapidly and the precision is improving continuously. The building of 3D terrains of high precision are possible and the calculation of the areas or the earthwork volumes have high precis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technique of the spatial information system using computer. Using the digital camera which has capacity of keeping numerical value by itself and easy carrying, we analyze the positioning error according to various change of photographing condition. Also we try to find a effective method of acquiring basis data for 3D modeling of high-accuracy in pixel degree through digital close-range photogrammetry with bundle adjustment for digital elevation model generation.

  • PDF

Analysis of Radio Propagation Environment in Busan Area for DTV Service (디지털 TV서비스를 위한 부산지역 전파환경 분석)

  • Sung Tae-Kyung;Weon Young-Su;Cho Hyung-Rae;Kim Ki-Moo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8 no.10 s.96
    • /
    • pp.869-874
    • /
    • 2004
  • Digital TV broadcasting's resolution or tone quality is very excellent than analog broadcasting and has many advantages including various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home shopping, home banking, internet search, telecommuting, VOD, etc. In this study,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regional electromagnetic environment before Digital TV broadcasting, and therefore we analyzed Busan area's limitation using ETRI propagation model. For maintaining high-quality Digital TV signals, we measure electric field intensity wide and far in Busan including mountains area and high-rise buildings. Generally, it has lower value by a standard ETRI propagation model than simulated value about standard model, but distribution pattern are similar with it. Compared theoretical values with the measured results, they have similar values for flat area but very different values for crowded city area and mountains area So we conclude that ETRI propagation model and theoretical model are not suitable for Busan in a free space.

Study on The Next Generation Cockpit Display System (차세대 항공기 조종석 디스플레이 시스템 연구)

  • Oh Chang-Geun;Kim Sang-Soo;In Ho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553-555
    • /
    • 2005
  • 본 논문은 모든 항전장비 가운데서도 조종사의 신속한 상황인식과 수많은 정보의 처리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조종석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량형 설계를 제안한다. 현재 항공기 조종석 시스템은 아날로그식 계기판과 함께 다수의 2-D 컬러 디스플레이를 배열한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차세대 조종석을 위해 제안하는 시스템은 미공군에서 개발 중인 방식을 도입하여 3-D와 2-D를 흔용한 소수의 대형 디스플레이로 디지털 신호만을 사용한 시스템에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소자를 적용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상용칩을 수용한 고성능의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초당 50,000개의 3-D triangle을 최신화하여 밝은 지형과 어두운 지형 투명도, 지형특성, 비가시적 지형을 시현한다. 본 설계의 구현을 통하여 고성능의 신호 집약적 시스템 설계의 우수성과 차세대 소자로 각광받는 OLED 디스플레이 채택을 통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상의 가시도 향상 및 중량감소 등의 효과가 있어 조종석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실용도가 개선들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