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 저작권 관리

Search Result 21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Case Study of Copyright Management on Digital Library (디지털도서관에서의 저작권관리에 관한 사례연구 - LC의 CORDS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 오영화;최석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6.08a
    • /
    • pp.111-114
    • /
    • 1996
  • 전자출판, 하이퍼미디어, 정보관리기술을 주요 기술요소로 한 디지털도서관이 출현하게 되어 정보의 접근과 전달의 문제는 해결하였으나, 동시에 해결해야 할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것은 디지털도서관의 대상데이터인 정보의 생산과 배포, 이용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저작권의 문제인 것이다. 디지털도서관의 저작권문제는 비디지털자료를 디지털화하는 정보의 생산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LC의 전자저작권관리시스템을 위해 수행되고 있는 CORDS(Copyright Office Electronic Registration, Recordation & Deposit System) 프로젝트를 토대로 후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자저작권관리의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

Study on Implementation of Rights Information System and its Use-process for Libraries' Digital Rights Management (디지털저작물의 저작권관리를 위한 저작권정보 구축시스템 설계 및 이용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Choi, Heung-Sik;Lee, Je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2 no.3 s.57
    • /
    • pp.163-181
    • /
    • 2005
  • In order to adapt the digital rights management community for the standardisation of expressing rights information in the libraries' content for the control of the rights of the digital work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ights information, that can build effective system of the distribution structure by the public ownership of the rights information and the interoperability of system. This research developed rights information constructing system in order to protect and enforce their rights over digital assets and embodied utilizing use-process of rights information.

XrML을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관리구현

  • Park, Jeong-Hui;Lee, Gi-Dong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523-530
    • /
    • 2005
  • 전자상거래(e-commerce)의 발달은 과거의 전통적인 상거래를 IT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시장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통한 소프트웨어, 게임, 동영상 등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에 대한 상거래가 크게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에 신뢰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즉 디지털 저작권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또는 디지털 지적 저작권관리(digital intellectual property system)에 대한 유통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하다. XrML은 권리(rights)를 명시하는 언어로써 본 연구는 XrML을 이용하여 저작권관리에 필요한 권리구조를 구현한 시스템(prototype)을 표현했다. 벤츠와 그에 따른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와 조건들을 명시해준다. XrML은 현재 디지털 저작권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DIPR)에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Rights Language이다. XrML은 ContentGuard가 개발한 DIPR 서술 언어로 전 세계 산업계 표준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파트너 회사 확대, 기능 확장, 무료 / 공개 형식으로 보급을 추진중이다.

  • PDF

콘텐트 저작권 보호 및 관리기술 표준화 동향

  • 김태중;김상국;송유진
    • Review of KIISC
    • /
    • v.14 no.1
    • /
    • pp.91-106
    • /
    • 2004
  • 인터넷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콘텐트는 인터넷 환경에서 이용 가능한 디지털 형태로 제작되어 활발하게 유통되고 있다. 향후 디지털 콘텐트의 유통 및 사용이 일반화 될 것이며, 콘텐트 유통시스템 구축이 매우 중요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디지털 콘텐트 유통체계는 저작권 및 콘텐트 사용권, 불법재생 및 복제에 대해 무방비 상태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디지털 콘텐트 유통 시 개별적인 콘텐트를 보호 및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저작권 보호 및 관리기술의 표준개발을 위하여 국내외 여러 표준화 단체들이 활발히 활동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콘텐트 저작권 보호 및 관리기술을 검토하고 표준화 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Digital Rights Management Software of Development Efficiency Quality Evaluation Metrics (디지털저작권관리 소프트웨어 효율성의 품질평가 메트릭 개발)

  • Jin, Jin-yu;Yang, Hae-So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565-566
    • /
    • 2009
  • 최근 인터넷 확산과 통신 기술의 발전은 컴퓨터 간의 상호 연결성을 증대시켜 디지털 콘텐츠를 쉽게 전파할 수 있게 되면서 디지털 콘텐츠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저작권관리 소프트웨어의 분야의 기반 기술을 조사하고 디지털저작권관리 소프트웨어 시장과 표준화 동향을 조사하며 디지털저작권관리 소프트웨어 효율성의 품질평가 메트릭을 개발하였다.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Copyright Collective Management for Digital Contents (디지털콘덴츠 집중관리를 위한 표준화에 관한 연구)

  • 조윤희;황도열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0 no.1
    • /
    • pp.301-320
    • /
    • 2003
  • The rapidly increasing use of the Internet and advancement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the explosive growth of digital contents from personal home pages to professional information service the emerging file exchange service and the development of hacking techniques . these are some of the trends contributing to the spread of illegal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s, thus threatening the exclusive copyrights of the creative works that should be legally protected Accordingly, there is urgent need for a digital copyright management system designed to provide centralized management while playing the role of bridge between the copyright owners and users for smooth trading of the rights to digital contents, reliable billing, security measures, and monitoring of illegal use. Therefore,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requirements of laws and system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to support smooth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s, and also researched on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entralized management system for copyrights. Furthermore, 1 tri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standardization of digital contents copyright management information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centralized digital contents management such as the system for unique identification the standardization for data elements, and the digital rights management (DHM) .

A Study on Geo-spatial Digital Right Management System based on u-GIS Contents (u-GIS 컨텐츠에 기반한 시공간 디지털 저작권 기술 연구)

  • Kim, Jae-Chul;Kim, Kyung-Ok;Hong, Jae-Mok;Lee, Kyu-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67-269
    • /
    • 2010
  • 본 논문은 공간정보가 포함된 u-GIS 컨텐츠에 대한 시공간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기존의 저작권 시스템이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 시간 및 사용자에 대한 권한을 부여하던 제한적인 방식을 사용했으나, 본 논문에서는 u-GIS 컨텐츠에 대해서 사용자 및 시공간적인 저작권을 부여하는 시공간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의 요소기술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Content Service Scenario, An Integrated Structure of ICN and UCI Identifier System (ICN과 UCI식별체계 연계구조 및 디지털저작물 서비스 시나리오 개발)

  • Oh, Sang-Hoon;Lee, Jung-Je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6 no.3
    • /
    • pp.317-333
    • /
    • 2009
  • The role of digital content identification system is being considered as a useful solution for the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service system. Integrated Copyright Number(ICN), only one domestic identifier to the managing of copyright, can provide the service model in the copyright industry, because it include the information of copyright between the creator and the service provider on the digital work. Universal Content Identifier(UCI), has developed on the focus of digital content service, is somewhat lacking on the copyright management, but it is expected that systematical management and distribution system for copyright and digital work to be able to build as that make up for disadvantage with each identifier's advantage by UCI associate with ICN.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can suggest the efficiency integrated structure and the service scenario. Therefore it is contribute to the efficient using and the effective running in the digital identification system.

Collective Management Systems of Copyright in the Digital Works (디지털 저작물의 저작권 집중관리제도에 관한 연구)

  • 이두영;홍재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3 no.2
    • /
    • pp.189-221
    • /
    • 1996
  • Copyright is challenged by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is study investigated a number of new copyright-related issues : electrocopying, digital transmission, legal definition of multimedia, moral right, fair use et al. To use copyright works we need licensing of rights and permissions. Then at this paper we examined the scopes and contents of permission with copyright owners or publishers, also considered relationships of copyright owners with distributors and end-users. Finally, to protect rights of copyright owners and use freely copyright works, we suggested introduction of 'collective management system of copyright' and construction of 'copyrigh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