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신호

검색결과 2,323건 처리시간 0.037초

스펙트럼 기반 여기신호 추출을 통한 HMM기반 음성합성기의 음질 개선 방법 (Spectrum Based Excitation Extraction for HMM Based Speech Synthesis System)

  • 이봉진;김성우;백순호;김종진;강홍구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2-9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HMM기반 음성합성시스템에서 합성음의 음질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 스펙트럼 정보에 기반한 여기신호 추출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스펙트럼 정보와 여기신호를 함께 통계적 모델로 만든 후에 합성 과정에서 스펙트럼 정보를 기반으로 여기신호를 추출해 냄으로써 스펙트럼 파라메터에 가장 적합한 여기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으로 합성음의 음질을 MUSHRA 테스트 및 WB-FESQ점수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비슷한 조건에서 기존에 사용되는 STRAIGHT 방법을 이용한 합성음보다 좋은 음질을 얻을 수 있었다.

디지털 고주파 기억 장치에서의 스퓨리어스 신호 저감 방법 (A Method for Reduction of Spurious Signal in Digital RF Memory)

  • 강종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669-67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고주파 기억 장치(DRFM: Digital RF Memory)의 스퓨리어스 신호 저감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스퓨리어스 특성은 디지털 고주파 기억 장치의 성능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이다. 제안한 방법은 입력되는 IF 신호에 랜덤 위상값을 가지는 LO 신호를 혼합하여 샘플링하여 스퓨리어스 신호를 저감하였으며, 랜덤 위상을 가지는 LO 신호는 직접 디지털 합성기(DDS: Direct Digital Synthesizer)의 고속 위상 제어 특성을 이용하여 생성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적용하여 5~10 dB의 스퓨리어스 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광대역 디지털 고주파 신호 복제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Wideband Digital Radio Frequency Signal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 채규수;임중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401-406
    • /
    • 2005
  • 디지털 신호 기억회로는 반도체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매우 빠른 속도로 발달되었다. 그러나 수 백 MHz 대역폭의 광대역 고주파 신호를 저장하였다가 복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기술이다. 고주파 신호의 기억을 위해서 과거에는 아날로그 방식의 주파수 기억루프가 사용 되었으나, 광대역 신호 변환기와 광대역 주파수 증폭기 등이 개발 되면서 디지털 고주파 신호 기억 장치에 대한 설계가 가능해 졌다. 본 논문에서는 주파수 대역이 600MHz 이상 되는 광대역 디지털 고주파 복제회로를 사다리 회로를 이용하여 설계하고 그 결과를 모사하였다.

  • PDF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송수신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Digital Broadcasting Modulation / Demodulation system using Software-Defined Radio)

  • 류영빈;이현;김재윤;박창민;지영근;오혁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96-60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Xilinx 사(社)의 Spartan-6 FPGA 와 Analog Devices 社의 Transceiver 칩인 AD9361 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정의 라디오 장비인 Universal Software Radio Peripheral(USRP) B210 를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표준인 ATSC 의 실시간 영상 송수신 시스템을 신호 처리 소프트웨어인 그누 라디오로 구현하였다. ATSC 에서 사용하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 영상 신호가 송신부에서 소프트웨어로 디지털 신호 처리되고 Digital-to-Analog Conversion(DAC) 과정을 거쳐 영상 신호가 송출된다. 본 논문은 디지털 방송 수신부에서 핵심 기능을 하는 등화기 알고리즘을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하여 신호의 왜곡을 보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수신부에서는 신호를 수신하여 튜너, 매치 필터, 위상 고정루프, 등화기, 비터비 복호 알고리즘 등의 과정을 거쳐 수신한 후 영상을 확인하였다.

  • PDF

하이브리드 디지털 RDA 시스템의 설계와 평가 (Design and Evaluation of Hybrid Digital Retrodirective Array Antenna System)

  • 박해규;유흥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9A권5호
    • /
    • pp.251-257
    • /
    • 2014
  • 디지털 RDA 시스템은 입사된 신호의 방향으로 신호를 전송 하는 시스템이다. 디지털 RDA 시스템은 멀티패스 환경에서 신호가 동시에 수신될 경우 각 경로 신호의 벡터합의 형태로 수신되기 때문에 수신신호를 경로 별로 분리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디지털 RDA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2가지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하나는 디지털 RDA 모드. 두번째는 디지털 빔포밍 모드이다. 디지털 RDA 모드는 멀티패스의 영향이 적을 경우에 적용되게 되고 멀티패스의 영향이 큰 상황에서는 디지털 빔포밍 모드가 동작하게 된다. 디지털 빔포밍 모드로 동작하게 될 경우에 우리는 MUSIC 알고리즘을 통해서 신호의 입사 방향에서 최적의 경로를 찾고 최적의 경로를 통해서 통신을 하게 된다. 제안된 시스템을 통해서 우리는 멀티패스 환경에서 디지털 RDA가 가지게 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PON 기반 광가입자망에서 방송 신호 전송을 위한 단일 LD을 이용한 디지털/SCM 신호 동시 변조기술 (Simultaneous modulation of digital/SCM signal using a single LD for broadcasting in PON based optical access network)

  • 김태영;김경현;한상국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5호
    • /
    • pp.1-6
    • /
    • 2006
  • PON기반 광가입자망에서 방송신호 전송을 위한 방법으로써 단일 LD를 이용한 디지털/SCM신호 동시 변조방식의 성능을 파장이 다른 두개의 LD에 디지털 및 SCM신호를 각각 변조한 방식과 비교하였다. 실험을 통해, 변조를 위해 인가되는 전류의 최소값이 LD의 threshold 전류의 약 1.5배 이상인 경우 디지털 및 SCM신호의 상호간섭이 최소화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LD의 anode 단자와 cathode 단자에 각각 디지털 및 SCM신호를 인가함으로서 효율적으로 회로설계가 가능한 광송신기 구조를 제안하고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광대역 디지털 수신기 동적 범위 확장을 위한 A/D 변환모듈 연구 (A/D Conversion Module for Dynamic Range Expansion of Wideband Digital Receiver)

  • 고민호;김형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9권12호
    • /
    • pp.986-991
    • /
    • 2018
  • 본 논문은 광대역 디지털 수신기의 동적 범위 개선을 위한 A/D 변환 모듈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동적 범위 확장을 위한 A/D 변환 모듈은 입력신호 레벨에 따라 정상 경로와 증폭 경로로 신호를 분기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제작 및 측정 결과, A/D 변환 모듈의 정상 경로는 입력 레벨 -57 dBm~-12 dBm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 경로는 입력 레벨 -30 dBm~+12 dBm 신호를 왜곡 없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69 dB의 입력 동적 범위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순시 대역폭 100 MHz에서 일정한 출력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디지털 방식 FM 합성 신호 발생기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 digital FM composite signal generator)

  • 정도영;김대용;유영갑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349-1359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FM 스테레오 합성 신호 발생기(FM stereo composite signal generator)의 구현 결과를 제시하였다. 직접 디지털 주파수 합성기(DDFS)를 응용하여 단일 칩으로 디지털화 하였으며, $1.0\mu\textrm{m}$ CMOS 게이트­어레이 기술로 구현하였다. 설계 결과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신호 발생 과정을 검증하였고, 디지털 칩을 실장한 평가용 인쇄회로기판을 제작하여 신호 발생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 결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비트 수가 12비트일 때 신호 대 잡음비가 74dB가 측정되었으며, 이는 아날로그 회로보다 14dB 더 우수한 것이다. 범용 스테레오 입출력으로 16비트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사용할 경우 아날로그 방식보다 훨씬 우수한 스펙트럼 순수도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디지털 FM 스테레오 합성 신호 발생기는 신호 대 잡음비, 정확도, 튜닝 안정성,그리고 집적도측면에서 기존의 아날로그회로보다 우수한 특성을 보인다.

  • PDF

위성탑재 영상레이다 디지털 수신기에서의 양자화 영향성 분석 (Digitization Impact on the Spaceborne Synthetic Aperture Radar Digital Receiver Analysis)

  • 임성재;이현익;성진봉;김세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9권11호
    • /
    • pp.933-940
    • /
    • 2021
  • 위성탑재 영상레이다 시스템은 마이크로파를 방사하여 지상에서 되튕겨온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신호는 영상레이다 수신경로의 마지막에 위치한 디지털 수신기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필터링, 압축 및 포맷팅 과정을 거친다. 디지털 수신기의 신호처리 과정은 두 차례의 양자화로 수행된다. 첫 번째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이고, 다른 하나는 BAQ를 이용한 압축과정이다. 양자화는 높은 비트에서 낮은 비트로 변환하는 과정으로 양자화 오차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SNR 저하의 관점에서 디지털 수신기에서 수행되는 양자화의 영향성을 분석하였다.

디지털 교통신호제어기 통신체계 개발 (Development of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a Digital Traffic Signal Controller)

  • 김민성;고광용;이철기;정준하;허낙원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10
    • /
    • 2013
  • 지금 사용되는 제어기의 제어방식은 220V 고전압을 일대 일로 직접 신호등에 전달하는 스위치방식이다. 이 방식은 감전위험, 누설전류, 보행공간 침해, 미관 저하 등 많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교통신호기의 제어방식이 디지털로 전환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신호등과 신호기와의 디지털 통신 체계가 그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디지털방식의 신호제어를 위해 필요한 통신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신호등을 포함한 다양한 신호기 주변장치와 특별한 메시지에 대하여 CAN 식별자(ID)를 할당하였다. 또한 이 할당된 식별자(ID)기반으로 신호등에 대한 제어정보를 전달하고 제어상태 피드백을 수집하는 CAN 기반 신호제어 프로토콜을 구성하였다. 이 통신체계의 검증을 위해 소프트웨어 모의실험시스템을 제작하여 신호제어에 활용 가능함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