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 방송 시스템

Search Result 797,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DTV 모니터링 시스템

  • 이상주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7 no.2
    • /
    • pp.4-11
    • /
    • 2002
  • 지난 96년 7월 국내 최초로 위성 디지털 시험방송을 시작한 KBS는 2001년 12월에 한국디지털위성방송 컨소시움인 스카이라이프에 참여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상파방송에서도 1년여 기간동안의 시험방송을 끝으로 2001년 11월부터 디지털 본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방송 시대를 준비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KBS 기술연구소에서는 98년 디지털 위성방송의 송출 및 수신상태 및 스트림의 이상 유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위성방송용 모니터링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지난 2000년에는 지상파 디지털방송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지상파 DTV 방송용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두 가지 시스템은 앞으로 본격화될 디지털방송 시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본 고에서는 지상파 디지털방송 모니터링 시스템의 특징과 기능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디지털 DBS 방송 시스템 기술

  • Son, 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3 no.7
    • /
    • pp.40-50
    • /
    • 1996
  • 본고에서는 디지털 DBS 방송시스템 기술을 설명하는데 있어 먼저 국제적 추세를 논하고 나서 무궁화호 위성을 위한 디지털 위성방송 시스템에 관한 구조를 송신국, RSMS 및 수신기로 나누어 논한 뒤 디지털 DBS 방송시스템 기술에 대해서는 비디오 기술, 오디오 기술, 데이터 기술, 변조 및 채널 부호기술 및 링크 분석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디지털 DBS 방송시스템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 논하였다.

  • PDF

Design of Digital Broadcasting system based on MPEG-2 (MPEG-2를 기반으로 한 디지털 방송시스템 설계)

  • 문준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1998.06a
    • /
    • pp.47-57
    • /
    • 1998
  • NTSC 전송신호 품질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디지털 장비를 방송 제작에 도입하던 추세가 최근 몇 년 동안 서버(Server)와 네트웍(Network)을 이용한 디지털 제작 환경이라는 새로운 시도로 변화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는 앞으로의 방송환경의 변화--다채널·다매체·고화질시대에 맞는 제작 환경의 필요성--와 지상파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되면서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제작 환경의 변화에 맞는 방송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첫 번째 네트웍 환경의 제작 시스템 구성을 위하여 방송용 테이프(Tape) 기반의 자료실을 대용량 서버로 대체할 때 도입해야 하는 디지털 저장매체에 저장된 신호 규격(Format)을 결정하기 위한 MPEG2 Generation Loss Test를 진행하였으며, 두 번째로 결정된 신호 규격을 현재의 제작 시스템에 적용시키기 위한 방안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방송 자료의 저장, 송출, 편집 등 제작 전과정이 일관된 흐름으로 처리될 수 있는 서버와 네트웍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DSP Applications on Broadcast Technology (방송기술에서 디지털 신호처리 응용)

  • 김기수;윤대희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 no.1
    • /
    • pp.61-74
    • /
    • 1996
  • 디지탈 오디오 방송(DAB)과 디지털 텔레비전(DTV), 고선명 텔레비전(HDTV) 방송의 실용화가 다가오면서 대용량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주관적인 왜곡없이 압축, 복원할 수 있는 고음질 오디오 부호화 방식이 방송음향 기술전반에 응용되고 있다[1][2]. 또한 방송 채널에 있어서도 기존의 스테레오에서 다채널 오디오 시스템으로 진전하면서 가상 현실, 입체음향 등에 필수적인 음장재생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3][4]. 위와 같은 기술은 디지털 오디오 신호처리 기술의 발전이 가져온 결과로 미래의 방송기술을 변화시키고 있다. 본 고에서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의 응용 분야를 살펴보고 새로운 기술을 소개하기로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Embedded Digital Set-top box/PVR (내장형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PVR 개발)

  • Song, Jae-Jong;Lee, Seok-Pil;Jang, Se-Jin;Park, Seong-J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11c
    • /
    • pp.284-287
    • /
    • 2004
  • 본 논문의 목표는 일체형 디지털 TV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과 방송 컨텐츠를 녹화, 저장, 재생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만간 시작될 데이터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내장형 디지털 방송수신 및 개인 비디오 저장 시스템 Platform 개발이다. 디지털 방송과 데이터방송 수신이 가능한 Set-Top Box 기능, 수신된 방송의 저장 및 재생이 가능한 PVR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조를 설계하였다. 고품질 디지털 방송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디지털 방송 수신기와 PVR 기능이 복합된 제품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고성능 복합시스템은 필수적일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시스템 제어를 위한 CPU로는 PMC-Sierra 사의 MIPS Architecture에 기반을 둔 RM5231을 채택하고, Teralogic 사의 TL811 System Controller을 채택하여 시스템을 이루고 있는 각종 디바이스를 구성하고, MPEG-2 Demux/Decoding을 위해 Teralogic TL851 Graphics & Display Processor을 채택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현재 각 방송사들의 시험 방송을 수신하고 PVR 기능을 테스트하였다.

  • PDF

Event Recommend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디지털 방송에서의 이벤트 추천)

  • 김준형;조상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87-192
    • /
    • 2001
  • 디지털 방송은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압축하여 전달하기 때문에 같은 대역폭에 아날로그 방송보다 더 많은 방송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불가능하였던 여러 데이터 정보를 포함하여 방송을 할 수 있다. 디지털 위성 방송의 경우,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이벤트의 개수가 많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유용한 프로그램의 선택을 도와주는 이벤트 추천 시스템은 디지털 방송에서의 유용한 기능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은 디지털 방송에서 지원하는 SI(Service Information) 데이터 중에 DVB에 정의된 EIT를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경험적으로 사용자의 성향을 판단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이벤트를 자동으로 추천해 주는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일본의 디지털 지상TV방송 도입을 위한 현장시험

  • 김성권
    • TTA Journal
    • /
    • s.51
    • /
    • pp.94-96
    • /
    • 1997
  • 일본의 주요 연구소들은 디지털 지상방송 시스템의 개발을 위하여 변조방식을 중점으로 기본적인 현장시험을 공동으로 시작할 예정이다. 이 현장시험은 디지털 지상 TV방송의 조기도입을 촉진하도록 1998년까지 잠정적인 방송시스템의 설정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 PDF

A Scheduling System for MPEG-2 Digital Broadcasting (MPEG-2 디지털 방송을 위한 송출 스케줄링 시스템)

  • Bang, Jin-Suk;Hwang, Kyung-Min;Jung, Hoe-Ky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2
    • /
    • pp.240-246
    • /
    • 2008
  • It has able to be possible that expression and store visual image from analog to digital without picture quality damaged via improvement of video compression technology. And also, It is possible to broadcasting digital image via transmission of digital image on MPEG-2 standardization. For this reason, the broadcasting business owners have converted broadcasting service from analog to digital. But, local SO(System Operator) has a difficult point which secure HD(High Definition) broadcasting program.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Scheduling System for MPEG-2 Digital Broadcasting which gather HD broadcasting program from major broadcasting business owners and broadcast them.

A Study on the Design of STL/TTL Link Radio System GUI Simulator for M/W Band Digital Broadcasting Relay (M/W대역 디지털 방송중계용 STL/TTL 링크 무선전송 시스템 GUI 시뮬레이터 구현에 관한 연구)

  • 이양선;강희조;김윤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4.05b
    • /
    • pp.112-11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M/W 방송중계용 주파수 공유방안에 관한 기초연구로써 디지털 방송중계용 STL/TTL 링크 무선전송 시스템을 모델링하고 다중경로 페이딩 채널 환경에서 시스템 특성 및 성능 분석이 가능한 M/W대 디지털 방송중계용 STL/TTL 링크 무선전송 시스템 시뮬레이터를 GUI 환경으로 구현하였다. 국내 방송 중계용의 경우 디지털화 진행이 추진되고 있는바, 본 연구에서 구현한 디지털 STL/TTL 링크 무선전송 시스템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향후 M/W 대역 방송중계용 주파수 재배치를 위한 채널 성능 및 간섭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국내 방송중계용 표준화에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Research for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System (디지털 위성방송에 대한 연구)

  • 류신호;변혜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523-525
    • /
    • 2001
  • 방송의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신호방식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화, 소수 지상파 방송에서 다채널 방송, 단방향에서 쌍방향 등 디지털 위성방송이 사회적 이슈가 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유료방송인 디지털위성방송에 대한 이해와 컨포넌트 시스템을 정의해 보고 이에 필요한 기술과 향후 가능한 디지털 위성방송 서비스 및 비즈니스를 제시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