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 감산 혈관 조영술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삼차원 조영증강 자기공명혈관조영술을 이용한 내경동맥 협착에 대한 평가: 디지털감산혈관조영술과의 비교

  • 한동복;최충곤;박지강;이정현;이호규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2001년도 제6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139-139
    • /
    • 2001
  • 목적: 경동맥 분지부에서 내경동맥 협착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삼차원 조영증강 자기공명혈관조영술의 정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삼차원 조영증강 자기공명혈관조영술(3D Contrast-enhanced MRA)과 디지털감산혈관 조영술(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을 모두 시행한 35명의 환자, 68예의 내경동맥을 분석하였다. 내경동맥 협착의 측정은 North American Symptomatic Carotid Endarterectom Trial (NASCET) 기준을 이용하였다. 두 가지 검사에서 협착 정도를 경도(mild:0-29%), 중등도(moderate:30-69%), 심한 협착(severe:70-99%), 완전 폐색(occlusion:100%)등 네 그룹으로 나누었다. 두 명의 관찰자(A,B)가 DSA에서 측정한 협착 정도를 기준으로 3D Contrast-enhanced MRA에서 측정한 협착 정도를 비교하여 두 검사 방법간에 판정 일치율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 PDF

경동맥 MRA 영상을 이용한 새로운 내경 측정 방법 (New Carotid Artery Stenosis Measurement Method Using MRA Images)

  • 김도연;박종원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12호
    • /
    • pp.1247-1254
    • /
    • 2003
  • 현재 경동맥 내막절제술 시행을 위한 경동맥 협착증의 정도 측정에는 디지털감산조영술(DSA), 회전조영술(rotational angiography), 컴퓨터단층조영술(CTA) 및 자기공명조영술(MRA)로부터 얻어진 경동맥의 투영 영상을 이용하여 북미, 유럽 표준 및 총경동맥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기계적인 측경기를 이용하는 전형적인 경동맥 협착 측정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고, 측정자간의 변화율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기공명조영술의 단면 영상을 사용하고 컴퓨터화한 새로운 협착증 정도 측정 방법을 개발하였다. 영상 분할에 사용되는 방법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효율적인 명암값 임계치 방법을 사용하여 경동맥 및 동맥의 내강을 분할하였다. 또한, 각 증례의 측정된 총경동맥의 혈관두께를 사용하여 분할된 경동맥으로부터 혈관을 제거 하였고, 혈관이 제거된 경동맥을 혈류 영역과 플라그 영역으로 분할하였다. 각 단면 영상에서의 경동맥 협착증 정도 측정은 (분할된 플라그 영역/혈류영역 및 플라그를 합한 면적) * 100% 식으로 계산된다.

디지털 혈관 조영술 영상의 3차원적 해석 (Three-Dimensional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 이승지;김희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3-71
    • /
    • 1983
  • 본 논문에서는 디지탈 감산 기법을 이용한 양면 혈관 조영술 영상에서의 대응점 결정을 위하여 조영제 말단 추적 알고리즘을 사용하였고, 이 대응점 정보로부터 혈관의 3차원 영상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확립하였으며, 개를 이용한 실험 결과도 포함되어 있다. 저자들에 의해 개발된 본 방법의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해 사각에서 잡은 혈관 조영상과 계산을 통해 재구성된 영상을 비교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 본 논문에서는 3가지의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 또는 응용하였는바, 첫째는, 순차적인 영상에서 조영제의 말단은 어느 투영면에서도 동일한 형태를 갖게 되므로, 상호 상관 계수의 접합법을 이용하여 조영제 말단을 추적해 가는 알고리즘이고, 둘째는, 기준좌표계에서 시선좌표계로의 전환을 4×4행렬 하나로 표시한 단순화 투시 변환 행렬의 구성이며, 셋째는, 조영제 말단 추적법이 적용될 수 없는 작은 혈관 영상에서의 대응점 확립을 위한 보조알고리즘의 적용이 그것이다. 또한 본 방법은 3차원 공간상에서의 조영제 말단 이동거리에 대한 정보로부터 혈류속도의 측정에도 이용될 수 있다.

  • PDF

족부혈관 평가에 있어서의 3차원 Gadolinium 조영증강 자기공명혈관조영술의 유용성 :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과의 비교 (Usefulness of 3-Dimensional Gadolinium-enhanced MR Angiography for the Evaluation of Pedal Artery. : Comparison with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 지연상;이봉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4권2호
    • /
    • pp.23-2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3-dimensional MR angiography(MRA) with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DSA) for the evaluation of pedal artery. MR angiography was performed using three-dimensional FISP acquisition before, and four sequential acquisitions after the injection of gadolinium(0.2 mmol/kg, 3 ml/sec). MRA was compared with DSA for a correct identification of the arterial segment. Out of 168 segments, 32 segmints were invisible in both MRA and DSA. At the level of ankle, 48 segments were visible in both examinations, and 18 segments were visible only in MRA. In the foot area, 34 segments were visible in MRA, but not in DSA. Three arterial segments were visible only in DSA. 3D MRA is comparable to DSA for the evaluation of pedal artery, thus it gives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planning of treatment in lower extremity artery.

  • PDF

조영증강 자기공명 혈관조영술을 이용한 대동맥궁 위 혈관의 협착 및 페쇄 질환 평가: 전산화 단층 혈관조영술 및 디지털 감산혈관조영술과의 비교 (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for Evaluation of the Steno-occlusive Disease of the Supraaortic Arteries: Comparison with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and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 제수경;김범수;정소령;안국진;신용삼;이관성;김영인;이광수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3권2호
    • /
    • pp.152-160
    • /
    • 2009
  • 목적: 대동맥궁 상부의 두개강내외 동맥의 협착을 평가함에 있어 3차원 조영증강 자기공명영상 혈관조영술(contrast-enhanced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CE-MRA), 전산화 단층 혈관 조영술(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CTA),그리고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의 진단 정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 대동맥궁 상부의 두개강내외 동맥에 대해 CE-MRA (화소크기: $0.66{\times}0.66{\times}1.1$ 혹은 $1.2\;mm^3$), CTA (화소크기: $0.42{\times}0.42{\times}0.63\;mm^3$), 그리고 DSA를 모두 시행한 28명의 환자(남자20명, 여자 8명, 나이: 53-79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세 영상검사는 40일 이내에 모두 시행되었다 (중앙값 19일, 1-40일). 두명의 경험 있는 영상의학 전문의가 영상에 대한 평가 및 미리 설정된 15개 구간의 동맥 직경의 측정을 후향적으로 시행하였다. 결과: 총 420 구간의 동맥에 대한 평가가 CE-MRA, CTA및 DSA에서 가능하였다. DSA에서 34부위의 협착 혹은 폐색 병변이 관찰되었으며, 이중 19예는 두 개강외에 15예는 두개강내에 위치하였다. DSA를 기준으로 평가하였을 때, 두개강외 혈관에서 70%이상의 혈관협착을 진단하는데 있어 CE-MRA는 민감도 94.7%, 특이도 98.7%, 양성 예측도(PPV) 90.0%, 음성예측도(NPV) 99.3% 였고, CTA는 각각 94.7%, 99.3%, 94.7%, 99.3% 였다. 두개강내 혈관의 50% 이상 혈관 협착을 진단하는데에는 CE-MRA의 민감도가 93.3%, 특이도 98.3%, 양성예측도(PPV) 77.8%, 음성예측도(NPV) 99.6%였고, CTA에서는 각각 86.7%, 97.9%, 72.2%, 99.1%였다. 결론: 대동맥궁 상부의 두개강외와 두개강내의 동맥 협착을 진단함에 있어 CE-MRA는 CTA와 비슷한 정도의 신뢰성을 보이며, 두개강내외의 의미있는 동맥 협착에 대한 선별검사로 효과적이다.

  • PDF

상소뇌동맥영역을 공급하는 지속성 원시 삼차신경동맥 변이 (Persistent Trigeminal Artery Variant Terminating in the Ipsilateral Superior Cerebellar Artery)

  • 박태영;이병훈;황윤준;이지영;배석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184-188
    • /
    • 2022
  • 지속성 원시 삼차신경동맥은 퇴화하지 않고 남아있는 내경동맥-기저추골동맥 문합이다. 변형 지속성 원시 삼차신경동맥은 드문 비정상적인 문합으로, 내경동맥과 기저동맥의 연결 없이 내경동맥에서 직접 혈관이 분지 되어 소뇌 동맥의 영역에 혈액을 공급한다. 본 연구진들은 그중에서도 변형 지속성 원시 삼차신경동맥이 동측의 상소뇌동맥 영역에 직접 혈액을 공급하는 특히 드문 증례를 발견하였다. 시행된 전산화단층촬영 혈관조영술, 디지털감산 혈관 조영술, 자기공명 혈관조영술 사진을 이용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진들은 지속성 원시 삼차신경동맥과 변형 지속성 원시 삼차신경동맥의 발생학과 임상적 의미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뇌혈관 검사 시 최적의 영상 진단장치 선정에 관한 연구: MRA, CTA, DSA, 영상 진단장치 중심으로 (A Study on Selection of Optimal Imaging Diagnostic Device for Cerebral Angiography: Focusing on MRA, CTA, and DSA Imaging Diagnosis Devices)

  • 변정수;구은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637-645
    • /
    • 2017
  • 뇌혈관을 관찰할 수 있는 영상 진단장치 중 MRA, CTA, DSA 3장비 영상에 관한 SNR과 CNR을 비교, 분석하여 뇌혈관 검사 시 최적의 검사기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6년 11월부터 2017년 5월까지 뇌혈관 진단 검사를 받은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측정부위는 Rt MCA, Lt MCA, ACA Image J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정량적 분석 결과 MRA의 평균 SNR은 254.87 CNR은 178.13, 신호강도는 326.81, CTA의 평균 SNR은 74.75, CNR은 62.2, 신호강도는 356.66, DSA의 SNR은 26.85, CNR은 25.89, 신호강도는 4400.69로 평가되었다(p<0.05). 결과적으로 SNR과 CNR 모두에서 MRA>CTA>DSA 순으로 측정 되었다. 유의성 평가 방법으로 SPSS 통계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NOVA 분석을 하였고, 사후분석으로 bonferroni method를 사용하여 p<0.05 일 때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 뇌혈관 질환 환자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평가하였을 때 최적의 영상진단 장비로 MRA, CTA, DSA의 결과를 얻었다.

2D 혈관조영술에서 직접 측정한 혈관 직경과 MR 영상에서 단면적 기반 환산 직경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Directly Measured Diameter in 2D Angiography and Cross-Sectional Area-Converted Diameter in MR Image)

  • 이기백;김미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6권5호
    • /
    • pp.427-433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quantitatively compare the diameters measured directly from the coronal plane or sagittal plane of 2D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DSA) and the cross-sectional area-converted diameters calculated from contrast-enhanced MR (CE-MR) imaging.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20 patients who underwent both 2D DSA and CE-MR imaging. Firstly, the venous diameters of the superior sagittal sinus (SSS) and transverse sinus (TS) were directly measured from 2D DSA. Subsequently, the axial planes for SSS diameter and the sagittal plane for TS in CE-MR imaging were utilized to calculate cross-sectional area-based converted diameters. The numerical values obtained from 2D DSA and CE-MR imaging were compared pairwise at each location. For SSS, the diameter measured by 2D DSA was 27% larger than the conversion-based diameter from CE-MR imaging (9.8±1.4 mm vs. 7.1±1.3 mm, P<0.05). Similarly, for the right TS, the difference was 16% (8.8±3.2 mm vs. 7.4±2.0 mm, P<0.05), and for the left TS, the difference was 22% (8.4±2.8 mm vs. 6.6±1.3 mm, P<0.05). In conclusion, the diameter measured directly in conventional 2D DSA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converted based on the cross-sectional area. Therefore, when selecting the size of the stent, it is crucial to make precise determinations while keeping this fact in mind.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에 대한 혈관부착 비골 이식술 후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 소견 (Findings of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after Vascularized Fibular Grafting for Osteonecrosis of Femoral Head)

  • 이기행;김윤수;이해규;옥지훈;김배균;김형민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3권2호
    • /
    • pp.130-135
    • /
    • 2004
  • Purpose : To observe the patency of anastomosis site and the findings of circulation of grafted fibula in osteonecrosis of femoral head treated with vascularized fibular graft by use of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 17 cases of 11 patients who underwent vascularized fibula graft for osteonecrosis of femoral head. We performed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DSA) for them at second week postoperatively in 12 cases, at sixth week in 1 case, at sixth month in 2 cases, at twelfth month in 1 case, and eighteenth month in 1 case which had been got DSA at second week before. We observe the patency of pedicle, and the circulation of grafted fibula such as periosteal and intraosseous vessels with time. Results : All cases except one which were thought failure of selective angiogram showed good passage of blood flow through anstomosed pedicle on DSA. We found the differences in appearance of circulation of grafted fibula with time. DSA at 2nd and 6th week postoperatively revealed both of periosteal and intraosseous vessels along the fibula and blood pooling at the tip of fibula. DSA at 6th month showed maintenance of periosteal and intraosseous vessels along the fibula but did not clearly reveal blood pooling at the tip of fibula. The findings of DSA at 12th and 18th month were similar each other. The periosteal vessels were not seen as the grafted fibular bone were incorporated into surrounding femoral bone but intraosseous vessels were still seen. Conclusion : It was thought that DSA could be used for evaluation of the status of pedicle including anastomsed site and vessels of grafted fibula with time. The periosteal vessels of fibula were decreased with time but intraosseous vessels were still seen until 18th month after vascularized fibula graf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