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지털콘텐츠대상

검색결과 729건 처리시간 0.028초

인터렉티브 디지털 사이니지를 위한 손 인식 인터페이스 개발 (Development of Hand Recognition Interface for Interactive Digital Signage)

  • 이정운;차경애;류정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11
    • /
    • 2017
  • 카메라 영상을 분석하여 인체의 움직임을 인지하는 모션 인식에 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원거리에서의 손동작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손을 이용한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장소에서 일반인에게 노출되어 광고 효과를 기대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산업 영역에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디지털 사이니지 콘텐츠를 비접촉식 손동작을 통해서 간단히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다수를 대상으로 관심 있는 광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매출로 이어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일정 거리에서의 손의 움직임을 통한 디지털 사이니지 콘텐츠 제어 시스템은 인터렉티브 광고 매체 개발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영향요인: 베이비붐 세대와 노인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Digital Divide Influence Factors of the Elderly: Comparison between Baby Boomer and Elderly)

  • 임정훈;이혁준;이지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75-485
    • /
    • 2020
  • 본 연구는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영향요인을 베이비붐 세대와 노인세대를 중심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성별, 학력, 가구형태, 월소득, 이용동기, 이용태도, 이용성과, 정보지능사회에 대한 인식, 정보지능사회에 대한 불안감, 일상생활만족도, 사회적지지 등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18년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실시한 2017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55세 이상 장·노년층 230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베이비붐 세대는 성별, 학력, 이용동기, 이용 태도, 지능정보사회 인식,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인세대는 가구형태, 지능정보사회 인식, 삶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장·노년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관련 연구를 제고시키고, 함의 및 관련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을 적용한 중국인들의 디지털음악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모바일 디지털음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ine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f Digital Music Using an Extended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EMGB) : Focused on Mobile Digital Music)

  • 팽민;배소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332-343
    • /
    • 2020
  • 본 연구는 디지털음악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로서, 지각된 가치를 추가한 목표지향적 행동모형(EMGB)을 적용하여 태도, 주관적 예기정서, 긍정적 예기정서, 부정적 예기정서, 지각된 행동통제, 열망 등의 변인이 디지털 음악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모바일 음악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중국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총 342부의 유효 응답을 회수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제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디지털 음악 구매에 대한 태도, 부정적 예기정서, 지각된 행동통제, 과거행동 빈도는 열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가한 변인인 지각된 가치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동시에 과거행동 빈도 및 열망과 함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콘텐츠를 활용한 가정 내 온라인 평생교육이 발달장애인의 조리직무기술 습득 및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Online Lifelong Education at Home Using Contents of Lifelong Education Center Attached to the University on the Acquisition and Generalization of Cooking Task Skills of the Persons with Developmentally Disabilities)

  • 김영준;권량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37-150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콘텐츠를 활용한 가정 내 온라인 평생교육이 발달장애인들의 조리직무기술 습득 및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학교 졸업 후 미취업의 상태로 가정 내에서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발달장애인 세 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 설계 및 방법은 단일대상연구 중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의 기법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으로 참여한 세 명의 발달장애인은 대학부설 평생교육원 콘텐츠를 활용한 가정 내 온라인 평생교육을 통하여 조리직무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하였으며, 가정이 아닌 실제 식당환경에서 역시 조리직무기술의 수행을 일반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도서관 인공지능 관련 교육콘텐츠 추천 시스템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대학생과 사서의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of the AI-related Educational Content Recommendation System in the University Library: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and Librarians)

  • 김성훈;박시온;박지원;오유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231-263
    • /
    • 2022
  •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 및 업무분야에서의 활용 능력은 지식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에게 기본 역량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인공지능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은 대학 구성원들에게도 높게 인식되고 있다. 국내외 대학도서관 역시 효과적인 인공지능 콘텐츠 제공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전자 형태의 디지털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으나, 인공지능이라는 정보 기술에 특화된 이용자 맞춤형 추천은 제공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추천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관심 파악 역시 미비하다. 대학생의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도서관에서의 인공지능 관련 콘텐츠 추천에 대한 이용자의 이용의사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서비스 수립을 위한 조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인공지능 주제 분야에 특화된 디지털 교육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 대학도서관 사서들과의 서면인터뷰를 통해 각 요인별 영향력을 조사하고, 성공적 수행을 위한 제언을 수렴하였다. 연구결과, 인공지능관련 교육콘텐츠 추천시스템 사용의도는 성별, 학년, 전공계열에 상관없이 사용의사가 있다고 조사되었고, 과제적합성요인이 사용의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파악되었다. 사서들 또한 서비스의 필요성을 깊이 공감하고 있었고 현실적인 제약사항으로 예산과 콘텐츠 품질 문제를 제시하였다.

비전공자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전공맞춤형 학습 콘텐츠의 효과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ajor-friendly Contents in Software Education for the Non-majors)

  • 서주영;신승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55-63
    • /
    • 2020
  • 최근 대학의 비전공자 소프트웨어(SW) 기초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SW 비전공자에겐 학습의 어려움이 크다. 본 논문은 비전공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높여 SW교육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 SW 전공자 대상의 학습 콘텐츠를 그대로 사용하기보다 비전공자들의 흥미를 반영한 전공맞춤형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5년 이상 비전공자 SW기초교육을 운영 중인 A 대학의 사례 연구를 통해 동일한 교과과정에 대해 교육 대상의 전공에 맞춤된 학습 콘텐츠로 수업한 전, 후 학생들의 강의 만족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과학계열에선 국가의 사회, 문화 현상을 살펴볼 수 있는 공공 데이터를 이용한 콘텐츠에 학습 흥미를 느끼고, 인문계열에겐 소설, 역사서, SNS 글의 텍스트 콘텐츠가 학습 동기를 상승시켜 어렵게 느끼던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와 함께 강의 만족도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전공맞춤형 콘텐츠가 비전공자 SW기초교육에 유용함을 보여준다.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Public Awareness of Digital Healthcare Services)

  • 문세연;윤영미;한태화;이상은;장혁재;송시영;김현창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21-629
    • /
    • 2017
  • 인구구조의 고령화와 만성질환 환자 증가로 인한 빠른 의료비 지출 상승에 따라,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기존 서비스의 이용자인 환자 외에 일반인까지 수요자 범위를 확장하였으며, 이에 따라 일반인의 디지털 헬스케어 이용현황 및 요구 파악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반인 1,0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건강정보 서비스, 스마트폰 건강관리 애플리케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 유헬스 등 4개 부문에서 각각의 서비스 이용 경험, 이용 목적 및 보완점 등을 조사하고, 제공 받고 싶은 헬스케어 서비스 및 콘텐츠 유형, 이용 의사 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일반인들의 디지털 헬스에 대한 인식과 현재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및 미충족 서비스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상콘텐츠분야의 정권별 의미연결망 연구 (A Study on the Semantic Network Structure of the Regime in the Image Contents)

  • 황고은;문신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7-240
    • /
    • 2017
  • 이 연구는 영상콘텐츠분야 연구의 의제설정 경향을 분석하여, 정권별 정책과 연결되는 의미화 과정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문화산업의 도입시점인 <문민정부(1993년)>부터 <박근혜정부(2016년)>까지의 영상콘텐츠 석박사학위논문 총 2,624편의 초록에서 43,991개의 단어를 추출하고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R프로그램의 다양한 패키지를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텍스트 분석과 시각화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영상콘텐츠분야 연구는 출현빈도별, 정권순서별로 '영상', '미디어', '콘텐츠'의 순위와 순서로 진화되었다. 둘째, 정권별로는 3단계 연구흐름을 볼 수 있다. <문민정부>는 '교육'과 '표현', <국민의정부>와 <참여정부>에서는 '미디어', <이명박정부>와 <박근혜정부>에서는 '콘텐츠'관련 연구들이 중심이 되었다. 셋째, 연구대상 기간 또는 정권별 기간 내내 지속적으로 꾸준하게 진행되는 연구주제는 '방송', '디지털', '기술', '제작' 등이며, 향후에도 계속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각 정권마다 새롭게 등장한 연구대상이 있었다. <문민정부>는 '콤팩트디스크기억장치(CD-ROM)', <국민의정부>는 '워터마크', '고화질', '3D', '가상현실', <참여정부>는 '플랫폼', <이명박정부>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박근혜정부>는 '스마트'이며, '콤팩트디스크기억장치'와 '워터마크' 등은 단기에 소멸되었다. 연구의 의제설정과 산업화 과정에서 트렌드와 미래예측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매체 탐색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Media Search and Improvement Plan for Strengthening University Competitiveness)

  • 이경락;이상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067-1078
    • /
    • 2017
  • 기존의 중국 유학생의 대학생활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 재학 중인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지만, 중국 유학생들은 한국 대학에 대하여 소속감과 대학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고 있어서 객관성이 심히 우려된다. 이에 본 논문은 중국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학생 유치와 관련한 매체탐색을 수행하였다. 외국인 유학생 모두가 한국어에 능숙한 것은 아니다. 심지어 한국어 교육원에서 1년 이상의 교육을 이수하거나 한국어능력시험(TOPIK) 고급을 합격한 학생들조차, 일상생활에서 말하기와 학위를 취득하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국내 대학들은 외국학생 유치를 위해서, 한국어능력이 부족한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에서의 문화적응과 정보습득이 능숙하게 할 때까지, 그들의 모국어로 유학생활에 필요한 학업정보나 일상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다국어가 지원되는 콘텐츠 서비스를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상파 TV 콘텐츠에 나타난 음주 : 황금시간대 고시청률 드라마 분석과 수용자 인식조사 (Representation of Drinking in Cultural Contents: Analysis of Television Drama Texts)

  • 양정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53-264
    • /
    • 2010
  • 본 연구는 기존의 매체 경계를 허물면서 IP TV, PMP, 온라인 등을 통해 그 도달 범위가 날로 확산되는 티비 드라마가 은주를 어떤 방식으로 재현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기존 연구들이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할애했던 음주의 맥락과 그 사회적 함의에 중점을 두면서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최신 인기 드라마 텍스트를 분석해 음주가 재현되는 방식을 살펴보고; 둘째, 수용자 인터뷰를 통해 드라마를 적극적으로 시청하는 수용자들이 음주 현실에 대해 어떤 인식을 형성해 있는지 알아보았다. 2008년부터 2010년 현재까지 지상파 3사에서 방영된 시청률 20% 이상 현대물 드라마 12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텍스트 분석한 결과 술 마시기는 일상의 정서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서, 남녀 간 이상적인 로맨스 매개물로서 제시되는 양상이 지배적이며 인간관계에서 갈등, 어색함을 풀고 화해와 이해를 끌어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음주자 성별 면에서는 여성 음주자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지만 드라마 속 여성 음주는 대부분 남성의 보호 하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대중문화 산물이 구성하는 음주 현실은 가부장적 가치관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음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수용자 인터뷰 결과 응답자들이 직접적으로 경험해보지 못한 유형의 음주에 대해서는 드라마 속 음주가 관찰학습의 대상이 되고 모방욕구를 창출한다는 것이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