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카메라

Search Result 1,15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나에게 맞는 디지털 카메라 고르기!-(1)

  • Gwak, Jung-Geun
    • The Optical Journal
    • /
    • s.114
    • /
    • pp.99-101
    • /
    • 2008
  • UCC 시대의 필수품 디지털카메라. 한 해에만 수십종의 신기종 디지털카메라가 출시되고 있지만 정작 내게 딱 맞는 카메라는 어떤 카메라일까? 사진을 배우기 앞서 카메라 선택이라는 1차적인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이번 호는 포토 클리닉의 첫번째 시간으로써 나에게 맞는 카메라를 고르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 PDF

기획특집1 사진영상산업의 동향 - 카메라 시장 태풍 '미러리스' 진화하는 DSLR, 콤팩트

  • Yun, Gyeong-Seon
    • The Optical Journal
    • /
    • s.139
    • /
    • pp.20-25
    • /
    • 2012
  • 국내 디지털카메라 시장에 '미러리스 태풍'이 불고 있다. 보급형 디지털카메라 시장을 이끌었던 콤팩트 카메라를 밀어내고 디지털 일안반사식(DSLR)기능에 휴대성을 높인 '하이브리드형' 미러리스(무반사경) 카메라가 시장의 대세로 떠올랐다. 최근 신제품 경쟁도 가열되고 있다. 점점 고기능화 다양화 되는 콤팩트 디카와 DSLR 카메라까지, 디지털 카메라 시장의 각축전이 어느 때보다 치열하다.

  • PDF

1. 카메라 시장 - 35mm 카메라의 계속적인 성장 올해 디지털카메라 시장, 630억원대 성장 기대

  • 삼성테크원㈜ 광디지털시스템사업부 마케팅팀
    • The Optical Journal
    • /
    • v.13 no.3 s.73
    • /
    • pp.14-16
    • /
    • 2001
  • 국내 카메라 시장은 1997년 약 1,300억원 규모까지 성장했으나, IMF로 인해 1998년에는 775억원 규모로 -40$\%$의 역신장을 기록하였다. 1999년에는 35mm 카메라 시장규모가 1,000억원대로 회복 국면에 들어섰으며, 2000년 시장규모는 경기 침체 속에서도 1,150억원 수준에 도달해 전년 대비 성장했다. 2001년도 역시 35mm 카메라와 디지털카메라의 성장이 이어지는 가운데 디지털카메라 전체시장 규모는 약63

  • PDF

Evolution strategies of Digital Camera to cope with the progress of the Imaging Device and Web (이미징 디바이스 및 웹의 발전에 대응한 디지털 카메라의 진화전략에 관한 연구)

  • An, Ho-Seong;Byeon, Sang-Yeong;Kim, Jae-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79-82
    • /
    • 2009
  • 본 연구는 인터넷의 진화 및 이미징 디바이스 전반의 발달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진화 전략을 다룬 논문이다. 오늘날의 카메라 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해 나가고 있다. 수동 필름 카메라에서부터 최첨단 하이브리드(hybrid) 카메라에 이르기 까지 카메라는 끊임없이 진화해 왔으며 사용자 계층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디지털이 적용된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웹의 발전과 더불어 활용도가 다양해 짐에 따라서 기존에는 전문가와 비전문가 계층으로 명확하게 나뉘던 사용자 계층도 그 경계가 모호해졌으며 사용자의 수 역시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수많은 사업자들이 디지털 카메라 시장에 진출함에 따라, 높은 성장세가 지속되던 컴팩트 카메라 (compact camera)시장은 과포화기에 접어들어 성장성이 점차 감소하는 추세에 있으며, 전문가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DSLR 시장 역시 선발업체의 높은 진입장벽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후발업체의 지속적인 도전으로 인해 경쟁은 치열하고 이익은 내기 어려운 레드 오션(red ocean)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디지털 카메라가 활용될 수 있는 대표적 매체인 웹 역시 '웹 2.0' 이라는 용어가 생길 정도로 발전했다. 웹2.0시대가 본격화되어 서로 다른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컨텐츠를 공유하고 누구든지 쉽게 정보의 생산에 동참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존의 웹에서 일어나지 않았던 다양한 변화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변화의 특징들을 살펴보기 위해 웹 2.0 시대의 대표적인 컨텐츠 공유 커뮤니티로 자리매김한 야후(Yahoo)사(社) 플리커(Flickr)의 사례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 사용자들의 디지털 카메라 사용패턴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의 진화를 설명하고자 한다. 인터넷이 발전하며 디지털 카메라와 관련 되어 나타난 대표적인 변화는 일반 소비자가 진화하는 점 이라고 볼 수 있다. 컨텐츠의 공유가 자유로운 웹 플랫폼의 등장, 카메라 기술이 결합된 소형 디지털 단말기의 발전 등으로 인해 비전문가 영역에 속해있던 일반 소비자 계층에 Flickr와 같은 웹 커뮤니티에서의 활동을 통해 준전문가 계층으로 진입하려는 욕구가 생기게 되었는데, 이렇게 형성된 욕구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 시장 역시 새로운 수요를 만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쟁이 치열한 시장 상황 속에서 디지털 카메라의 향후 발전 방향을 알아보기 위해 우선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나누어 본 후, 이미징 디바이스 시장과 웹의 발전 형태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이어 본 연구에서는 분류된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을 바탕으로 웹 2.0 시대에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의 변화방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감성적 및 이성적 측면에서 디지털 카메라의 향후 전개방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가지는 논문이라고 사료된다.

  • PDF

Remediation of Digital Camera and Connection of Media (디지털 카메라의 재매개와 미디어의 연계)

  • Park, Seong-J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678-684
    • /
    • 2007
  • 미디어 융합과 포화의 문화에서 미디어의 전경과 미디어를 매개로한 문화는 과거와 다른 새롭고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하나의 미디어는 고립되어 존재하지 않으며, 다른 미디어들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고 이용자 수준에서는 다양한 미디어들과 연계를 통해 새로운 경험과 문화를 형성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카메라와 디지털 사진 이미지를 미디어와 미디어 이용의 차원에서 이론적으로 또 경험적으로 접근하고 설명하려는 한 시도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미디어로서 과거와 동시대의 다른 미디어들과의 관계 속에서 미디어 및 관련기술들의 발달에 따른 영향을 주고받으며 더 나은 카메라로 개선되고 카메라 이상의 또 다른 미디어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이용자 수준에서 디지털 카메라로 생산된 디지털 사진 이미지는 미디어들의 연계를 통해 관리, 유포, 감상, 소비되면서 다양한 유형의 경험과 새로운 이미지 문화를 형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카메라의 변화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디지털 카메라 이용자들에 대한 미디어 이용 조사를 통해 하나의 미디어로서 디지털 카메라가 다른 미디어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용자 수준에서 디지털 사진을 매개로한 미디어 연계를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미디어 융합과 포화의 문화에서 미디어 변화와 미디어 연계의 한 사례를 설명하고자 한다.

  • PDF

국내 광학부품산업의 현재와 미래-소형 폰카메라 렌즈 기술 및 시장 동향

  • 김영준
    • The Optical Journal
    • /
    • s.118
    • /
    • pp.20-24
    • /
    • 2008
  • 폰카메라는 1998년 일본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발전하여 왔다. 초기에는 화상통신용 개념으로 시작했지만 디지털카메라가 부각되면서 디지털카메라 대체용으로 폰카메라가 대량생산 되었고 경쟁적인 고화소 경쟁으로 최고 1,400만 화소까지 기획되고 있다. 현재 자동초점 카메라모듈에서 300만 화소 이상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자동초점은 기본 사양이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폰카메라에서의 렌즈도 필름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처럼 actuator가 기본적으로 장착된 제품으로 인식되어 질 것으로 확신한다. 또한 모바일폰의 동영상 기능 강화로 줌 렌즈의 요구는 커질 것으로 보여 2011년 쯤에 보편화가 되지 않을까 기대한다.

  • PDF

기획특집 2 - 브랜드별 카메라의 특징 집중 분석 - 디지털카메라의 끝없는 진화, 신기술 열전은 계속된다

  • Yang, A-Yeol
    • The Optical Journal
    • /
    • s.132
    • /
    • pp.34-40
    • /
    • 2011
  • 완연한 봄기운이 느껴지는 4월만 되면 디지털카메라 매장은 봄나들이를 가려는 사람들로 그 어느 때보다도 북적인다. 그러나 급변하는 정보기술(IT) 시장 환경변화에 따라 카메라의 진화속도도 빨라지고 있어 소비자들이 카메라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카메라는 전문적인 기능을 갖춘 DSLR부터 가볍고 편리한 기능의 콤팩트 카메라 최근엔 미러리스 카메라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카메라는 가격만 보고 구매해서는 안 되며, 쓰임새에 따라 자신에게 맞는 것을 찾는 것이 중요한데, 카메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을 때는 반드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소중한 추억을 한장 한장 담아내는 카메라. 어느덧 우리 생활 깊숙이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가운데 본 고에서는 브랜드별 카메라의 특 장점에 대해 소개한다.

  • PDF

디지털카메라ㆍ캠코더의 "원색 촬영" 신기술-CBL Lens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104
    • /
    • pp.75-78
    • /
    • 2006
  • 사용의 편리성, 신속성, 간편성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 디지털카메라가 필름카메라를 제치고 전세계적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디지털카메라는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지만 ‘왜곡된 색상’으로 인하여 필름카메라보다 못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이처럼 세계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사용자 모두가 겪는 애로점이 바로‘컬러 밸런스(화이트밸런스)’이다. 본 고에서는‘컬러 & 화이트밸런스’를 요약하여‘밸런스로’표현하고자 한다. 문제는 사용자들이 디지털카메라 사용방법에 대하여 대다수가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많은 프로들과 유저들이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은 당연히‘후 보정’을 하는 것이 정상인 것처럼 알고 있으며, 심지어 디지털 카메라는‘후 보정’을 위한 카메라인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그것이다. 그러나 좋은 사진은‘후 보정’을 하지 않고서‘원색’을 그대로 표현 할 수 있는 것이‘작품’으로서의 진정한 가치가 있고, 사진의‘예술’인 것이다.고급기종의 디지털 카메라를 보유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카메라의 복잡한 기능 메뉴에 번거로움을 겪고 있다. 보편적으로 오토, 태양, 구름, 노을, 형광등1.2, 백열등, K, 켈빈도, 프리셋 등의 기능이 있으나 대부분 커스텀에서 기본 세트메뉴인‘오토’등의 모드를 선택하여 촬영을 하고 있고, 핵심 기능인‘프리셋’은 사용방법조차 모르고 있는 유저들이 많다. 또한 커스텀 모드의 기본메뉴를 선택하여 촬영을 했을 때 색상이 왜곡되는 것을 디지털 카메라는 당연히 그런 것으로 알고 있으며, 따라서 후보정은 당연한 것으로 대부분이 인식하고 있다. 그중에서 원색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일부 사용자들만‘프리셋’기능에서 그레이 카드 등으로 밸런스를 세팅하여 촬영을 하고 있다.그러나 가장 정확한 것으로 알고 수 십 년간 사용해오던 그레이 카드 등을 이용하여 프리셋 모드에서 밸런스를 세팅하여 촬영을 할 경우에도, 카메라에 기본적으로 내장된‘커스텀 모드’보다는 색상이 다소 좋은 것을 알 수 있으나, 정확한 원색의 이미지를 얻기는 매우 어려워, 디지털 카메라의 한계라고까지 표현을 하고 있다.

  • PDF

1과 0으로 보는 세상, 디지털 카메라

  • 정기성
    • Product Safety
    • /
    • s.57
    • /
    • pp.24-27
    • /
    • 1997
  • 디지털 카메라란 일반적인 광학 카메라와 달리 렌즈를 통과한 피사체의 영상을 필름이 아닌 1과 0의 디지털 데이터로 메모리에 저장하는 첨단 카메라를 말한다. 따라서 기존의 카메라에는 필수적인 필름이 필요없게 되고 디지털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기억장치 또는 데이터를 외부의 기억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전송장치가 필요하다.

  • PDF

디지털카메라 성장과 함께 출력을 비롯한 이미징 할용 분야의 고성장 기대 - 디지털 이미징 시장의 동향 및 전망

  • 김철동
    • The Optical Journal
    • /
    • s.85
    • /
    • pp.32-34
    • /
    • 2003
  • 디지털카메라의 국내시장은 2003년 60만대, 디지털프린팅 시장은 800억 규모로 예측되고 있다. 현재 디지털 카메라 시장의 성장세는 경기 하강과도 상관 없이 상승곡선을 이어나가고 있는데 디지털 카메라의 성장은 곧 출력을 비롯한 이미징 활용분야의 성장을 의미하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발전을 계속 할 것으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