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의복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Development of Custom-made Suit Production System for the Interactive Garment Design Creation (대화식 의복 디자인 생성을 위한 맞춤양복제작 시스템 개발)

  • Kim, Kwang-Tae;Kim, Ki-Hyun;Park, Hyun-Woo;Lee, Dong-Hoon;Yun, Tae-S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475-480
    • /
    • 2008
  • In this paper, I will propose a Custom-made Suit Production System. The system does not only help the customers to edit and measure their size by creating the landmarks in the 2D human body images which is taken from the camera, but it also visualizes the virtual cloth by using the landmarks and the modeling data of the virtual cloth. In this system is a new technology for the digital and the automation which is not handmade way of using Custom-made Suit industry. It will be generally useful in the various contents of the clothing industry.

  • PDF

An Implementation of The Fitting Simulation System of Digital Garment for Online Retailing (온라인 의류 판매를 위한 디지털 의류의 착장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현)

  • Choi, Ran;Yoon, Geun-Ho;Cho, Cha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515-518
    • /
    • 2011
  • 본 연구는 3차원 인체 데이터 위에 가상 의류를 착장시키는 착장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현을 소개 한다. 인체 데이터는 3차원 전신 레이저 스캐너로 계측하였으며 가상의류는 의복의 앞뒷면 촬영 영상으로 하였다. 대상 의류는 원피스, 티셔츠, 바지 등과 같은 비교적 복잡하지 않은 구조의 의류이며, 본 논문에서는 상의 및 원피스의 착장 과정과 바지의 착장 그리고 바지위에 상의를 착장하는 중첩 착장의 과정을 보여준다. 가상 착장 결과로 실제 착장과 동일한 결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치수가 자신에게 맞는지의 정보와 착장시의 어울림의 정보가 온라인상에서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제공되며, 디지털 의류의 준비도 간단하여, 본 논문의 결과로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의류 판매 방식이 제시될 수 있다.

A Study of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Smart Clothing Based on the Consumer's Lifestyle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 기반의 스마트 의류 기획을 위한 요인 연구)

  • Cho, Ha-Kyung;Kim, Jin-Sun;Lee, Joo-Hyeo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3 no.1
    • /
    • pp.11-20
    • /
    • 2010
  • According to diversity of life style, introduction of well-being trend and increase of demand based on the IT-convergence, Recently "smart clothing" study has been diversified on user applications such as entertainment, healthcare, business and sports. And the smart clothing's market has been progressed in diverse aspects. But, study of smart clothing based on consumer aspect and market diversification is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nsumer's needs on smart clothing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smart clothing based on their lifestyle that focused on digital and fashion lifestyle that be closely connected with smart clothing product developmen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ges of 20-30 who are considered to be high demand consumers on the smart clothing market. As a result of study, life style based on clothing and digital is categorized 3 types as trend-pursuit style, sensual information-pursuit style and practical function-pursuit style. we suggested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smart clothing based on consumer's needs of the smart clothing according to the customer's lifestyle types.

  • PDF

2D Image-based Virtual Wearing System : Textile Texture Mapping (2D 실사 기반 가상 착의 시스템 : 직물 텍스쳐 매핑)

  • Oh, Young-Geol;Kwak, No-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21-26
    • /
    • 2006
  • 본 논문은 가상 착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2D의류 모델 영상에서 의류 형상을 분할한 후, 분할된 의류 형상 영역의 음영 및 조명 특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선택한 새로운 직물 패턴을 가상적으로 착용시킬 수 있는 2D 실사 기반 가상 착의 시스템의 직물 텍스쳐 매핑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방법은 다양한 디지털 환경에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고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착용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수작업을 최대한 제거한 반자동화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실용성과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안된 방법에 따르면 실제 의복을 제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직물 원단의 디자인이 의복의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음에 따라 직물 디자이너의 창작활동을 도와줄 수 있고, 온라인상에서 직물 원단이나 의류를 거래할 시에 구매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해 B2B 또는 B2C 전자상거래 행위를 촉진할 수 있다. 더불어 기성복이나 맞춤복 모두에 대해 소비자가 자신의 취향에 어울리는 직물 패턴을 용이하게 선택하고 디자인하여 주문제작을 수행하는 거래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 PDF

한국 성인 여성의 손 계측연구 -장갑의 치수 설정을 중심으로-

  • 류경옥;서미아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9a
    • /
    • pp.27-29
    • /
    • 2003
  • 오늘날 첨단과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도래한 컴퓨터 및 디지털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의 생활양식, 환경, 사회가 급격히 변함에 따라 의복도 생리적, 물리적, 심미적, 기능적 요구가 다양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는 일환으로 장갑은 단순한 방한, 보호의 기능에서 각종 레저 스포츠용 장갑은 물론, 고도의 정밀한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는 특수한 장갑이 필요하게 되는 등 용도가 다양해지고, 세분화 된 기능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그 수요 또한 증가할 전망에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digitalization of apparel design process (의류 생산설계 업무의 디지털화에 과한 연구 - 여성 자켓 디자인 및 패턴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 -)

  • 송지영;천종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58-163
    • /
    • 2001
  • 본 논문의 국내 패션 업체에서 상품기획 과정 중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했던 디자인 및 패턴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key word를 통해 효율적으로 찾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여성 자켓 분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의류업체 종사자 48명과 의류학 전공 대학원생 54명, 패턴 전문가 1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여 디자인 및 패턴의 분류 기준과 의류 생산기획 업무의 디지털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의류업체에서는 상품기획시 국외패션잡지와 collection지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디자인 및 패턴 DB 프로그램에 대한 효용성 기대와 수용도 기대에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자켓 디자인 DB를 위한 구성요소 분류 기준은 7가지고 선정되었고, 이미지 형용사 분류 기준은 6가지로 선정되었다. 또한 자켓 제작을 위한 block pattern 분류 기준은 4가지로 선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자켓 디자인 선택 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한 후 실험 참가자들에게 효용성 및 사용가능성을 다시 검증한 결과, 프로그램 제시 전 조사결과보다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 데이터베이스 자료 활용시 이미지 형용사를 통한 검색보다는 구성요소를 통한 검색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Development of Digital Wearable Fashion Product for Construction of New Educational System (신 교육시스템 구축을 위한 디지털 웨어러블 패션상품 개발)

  • Lee, Jeong-Ic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82-85
    • /
    • 2008
  • 과학 기술의 발달은 그 반작용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고성능 제품을 요구하는 고객의 추세는 증대되는 실정이다. 여기에, 각각의 산업, 기술과 제품의 융합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다. 그러므로, 산업 디자인에 다른 영역에서의 융합은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다. 융합효과의 일례로 '웨어러블 컴퓨터'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옷 내부에 어떠한 의사소통 수단과 멀티미디어 기능을 가진 옷과 컴퓨터의 기능 결합이다. 웨어러블 컴퓨터는 차세대 PC 또는 다음 세대에 PC와 인터넷의 결합이라는 최종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웨어러블 컴퓨터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연구 및 개발을 통하여, 본 연구의 결과에 동반된 의복용 디지털 융합 제품이 소개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Customer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Smart Clothiong based on the customer's Lifestyle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요 경향 -패션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 Cho, Ha-Kyung;Lee, Joo-Hye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114-1121
    • /
    • 2009
  • 1990 년대 후반 이후 스마트 의류 연구는 기능성 및 인간 친화적인 측면으로의 접근 필요성이 증가됨에 따라 기능 및 사용자 중심의 연구로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 의류의 발달은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세분화되어 개발되고 있다다변하는 의류 시장에서 스마트 의류 상품기획은 기존의 의류 상품기획과 같이 소비자 트렌드 중심의 경향과 함께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그 중요성은 날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스마트 의류의 연구는 기능성, 사용성 기반의 연구자 중심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어, 소비자 중심, 마켓 중심의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의류 기획에 있어 가장 밀접한 관련이 예상되는 의복 및 의복행동 라이프 스타일과 디지털 라이프 스타일을 중심으로 라이프 스타일의 유형을 분석하고,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 수용도와 인지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스마트 의류의 수요가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20 대, 30 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스마트 의류의 수용도와 인지 여부 및 스마트 의류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그 결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은 유행추구형, 감각적 정보추구형, 실용적 기능추구형의 세 유형으로 도출되었으며, 유행추구형 집단이 스마트 의류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행추구형은 엔터테인먼트 의류군을 선호하였으며, 스마트 의류 속성 중 외관을 다른 집단에 비해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각적 정보추구형은 감성교감의류 및 생체 신호 측정의류의 선호도 및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실용적 기능 추구형은 생체 신호 측정의류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하는 의류에 대해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스마트 의류의 필요성을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마트 의류의 인식 및 선호도 등 상품화에 실질적인 평가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추후 스마트 의류의 상용화에 있어 시장 가능성 및 상품화를 위한 스마트 의류 기획 방향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 PDF

Fashion Trend Acceptance and Fashion Information Sources according to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mong Digital Generation Male Consumers (디지털세대 남성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패션트렌드 수용도와 패션정보원)

  • Kim, Yeo-Won;Choi, Jong-Myoung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17 no.2
    • /
    • pp.238-25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fashion information acceptance and fashion information source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among digital generation male consumers. The subject were 349 male who were belonging to digital generation as the digital era's new consumers familial with internet and various kinds of digital media.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 test, $\chi^2$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WIN 12.0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of digital generation males were classified into 6 factors: fashion oriented, impulse buying, aesthetic pursuit, individuality pursuit, practical type and reasonable economy. Based on the factor scores, 3 clusters were identified; independent, unconcern, high involvement. Second, the high involvement shopping group utilized various information sources. On the other hand, the unconcerned shopping group was passive in utilizing information sources. Third, the fashion information acceptance of digital generation was classified into 5 factors: searching, leading, following, non-accepting, and delaying acceptance. All fashion information acceptance factors were affected by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edia. Finally, The high involved type of shopping group accepted fashion information at its most and actively.

  • PDF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Awareness, Reception and Information Source Utilization for Purchasing Clothing (디지털소비자정보 인지도, 수용도와 의복구매 시 정보원활용에 관한 연구)

  • Jang, Su-Bin;Ryu, Mi-Hyun;Lee, Seung-Sin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29 no.4
    • /
    • pp.61-7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arget digital generation consumers and determine potential effects of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concerning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upon their characteristics in purchasing clothing. This study has its implications in the sense that it determines digital generation's awareness and reception of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and their utilization of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source, so that it can help understand digital generation consumers' behaviors of information search and the phenomena of digital market in this a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can ultimately provide reference data useful for guidance in favorable consumer life as well as consumer education based on digital de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It is found that digital generation consumers reached higher level in the awareness of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The reception of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and the utilization of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source are found as middle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can giv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consumer education: Lately, digital devices have been widely popularized into larger number of users, so that we have more chances to buy desired products on the web or mobile device. In particular, the rate of clothing purchase on the web tends to increase year by year. However, our digital consumers still lack in their ability to utilize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in terms of quantitatively increasing purchase of products on the basis of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sumers with a formulated education in their information search and shopping using digital devices, so that they will have better ability to use digital consumer information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