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지털사진

Search Result 66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Digital photo management system using printed images (프린트 이미지를 이용한 디지털 사진 관리)

  • Kim, Hyun-Jin;Cho, Sung-Jung;Lee, Ho-Yul;Kim, Chang-Soo;Kim, Yun-Ba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403-408
    • /
    • 2006
  •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사용자가 사진을 찍고 보관하고 감상하는 행태가 과거의 일반 카메라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는 유지비가 거의 들지 않기 때문에 한번에 촬영하는 사진의 양이 많은 반면에 인쇄하여 보관하는 사진의 양은 매우 적은 경향을 보인다. 디지털 사진의 양이 방대하게 늘어나고, 인쇄하기 보다는 저장 장치에 보관하게 됨에 따라서 과거의 앨범에 인쇄된 사진을 보관하고 감상하던 방식과 감상하는 행태도 변화되었다. 디지털 카메라로 찍어서 하드디스크에 저장한 사진들은 각 폴더에 어떤 사진들이 들어 있는지를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앨범을 보는 것처럼 자주 감상하지 않게 되는 경향이 관찰되었고, 또 인쇄된 사진을 보고, 그 사진과 연관된 다른 사진들을 보고자 디지털로 저장되어 있는 하드디스크에 접속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촬영된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을 분류하여 보관하고 감상하는 사용자의 행태를 분석하고, 이에 적합한 새로운 디지털 사진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자연스럽게 앨범을 넘겨보다가 인쇄된 디지털 사진과 관련된 컨텍스트를 갖는 다른 디지털 사진들을 저장 매체에서 바로 찾아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감상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UI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인쇄된 사진에 사진의 컨텍스트 코드를 함께 인쇄하고, 추후에 출력된 사진의 컨텍스트 코드를 해독하여 원본 디지털 사진 및, 동일한 컨텍스트를 가지는 디지털 사진들을 자동으로 찾아서 디스플레이 하는 검색 및 감상 방식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사진을 감상하기 위해 거쳐야 했던 기존의 번거로운 과정을 단축하고 디지털 사진을 분류하여 보관하고 원하는 사진을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찾아야 하는 문제를 줄일 수 있었다.

  • PDF

How Digital Camera Has Changed Photographer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of Digital Labor (디지털 사진 이후 사진가들의 변화 현상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 Cho, In Won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84
    • /
    • pp.124-151
    • /
    • 2017
  • This study examines photographers who experienced steep changes from film to digital photography working and photography culture after using digital camera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Digital technologies have brought many transition. Most of all digital camera popularize photography among people who had no knowledge and experience about camera. On the contrary digital photography made many professional photographers difficulties. After being digital photography, most film companies and film developing and printing studios have diminished. In addition many professional photographers have to cover increasing working time by decreasing photography price. For this research researcher interviewed 12 professional photographers who is working as a digital photographer. After collecting data, researcher analyse data by phenomenological approach. This study is looking for a meaning of photographers' labor after digital photography times.

  • PDF

Digital Photogram and Possibility of Digital Photo (디지털 포토그램과 디지털 사진의 확장)

  • Kim, Mi-Ryeon;Park, N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12.05a
    • /
    • pp.308-310
    • /
    • 2012
  • 오늘날 디지털기술과 결합한 사진은 현실과 허구를 결합하는 상호 텍스트성으로서의 사진이미지로 빠르게 변모하며 예술, 과학, 산업이 혼융되어 새로운 기능과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 디지털 사진과 재현의 새로운 관계 모색을 위해 적용된 디지털 포토그램의 다양한 사례를 Scanography, 3D Scanning작품, 나노과학기술과 사진이 만나 결합한 Nanogrphy, 렌티큘러 필터를 이용한 즉석 입체영상 배경사진 촬영 등을 통해 살펴보고 다양한 문화현상을 형성하고 새로운 시각적 패러다임을 제시하면서 문화변동까지 이끌어내는 디지털 사진의 확장가능성에 대해 연구한다.

  • PDF

인화지 시장의 동향과 전망

  • Yun, Mi-Seon
    • The Optical Journal
    • /
    • s.97
    • /
    • pp.29-31
    • /
    • 2005
  • 아날로그 업체에서 디지털업체로 변신 중인 필름 메이커 이스트만 코닥의 주식 폭락은 사진관련 업계에 커다란 충격과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디지털카메라의 보급은 필름카메라의 쇠퇴와 더불어 사진인쇄 문화에도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이미지 커뮤니케이션은 생일, 졸업, 입학 등 특별한 날에만 촬영하던 개인의 역사를 일상화시켰다. 이는 기존 사진영역을 확장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진 촬영 후 인쇄라는 단순명제를 벗어나 또 다른 변화를 촉진하고 있는 것이다. 디지털카메라와 더불어 카메라 폰의 놀라운 보급력은‘손 안의 이미지세상’을 실현시키며 디지털사진의 무한한 가능성을 열었다. 이제 관련 업계의 새로운 사진인쇄문화 정착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지에서는 인화지 시장 현황 및 소비자의 소비심리, 향 후 전망을 알아보았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igital Photos Album Based on EXIF Location Information (EXIF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 디지털사진 앨범의 설계 및 구현)

  • Woo-Hyuk Choi;Jin-Ho Kim;Jin-Il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79-18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사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EXIF정보를 이용한 위치 기반의 디지털사진 앨범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촬영된 디지털사진을 과거에 일어난 사건으로 정의하고, 인간이 사건의 인지에 시간적 배경인 시간정보와 공간적 배경인 공간정보를 사용하고 있는 점을 착안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앨범의 설계와 제작을 보인다. 시스템은 대표적인 디지털사진 파일의 포맷으로 사용되는 JPEG/EXIF 포맷의 EXIF정보에 포함된 사진촬영 날짜와 GPS정보를 이용하여 설계되어 기존의 사진 관리시스템보다 효율적인 사용자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A study of N-generation digital photographic culture (N세대 디지털 사진 문화에 관한 연구 -dcinside.com의 사례분석 연구-)

  • 강홍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a
    • /
    • pp.127-131
    • /
    • 2003
  • In this study, I intend to analyze to cultural phenomenon centering around a digital photo. Especially, I consider digital camera and digital photo's culture of N-generation by studying a case of digital camera's internet silt, DCINSIDE.COM A digital photo in daily life is one of the remarkable phenomenon of digital culture. Photography that is faster to understand and more familiar than letter leads 0 digital culture. Digital photo takes charge of a group at display phone with sound. N generation who is familiar to image takes with a digital photo in every ways of communication. Recently our communication culture use a image to new communication through digital camera and development of digital photo. Digital photo deeply comes into our ordinary life when we never recognize in advance. And it let us recognize a lot of changes and communication. In this point of time, it demand that we must have a responsible attitude for development of digital photographic culture.

  • PDF

Digital Photo Clustering Algorithm Using EXIF (EXIF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사진 클러스터링 알고리즘)

  • Jang, Chul-Jin;Ju, Young-Ho;Cho, Hwan-Gu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442-447
    • /
    • 2006
  • 디지털 카메라의 대중화와 고용량 저장매체의 보편화로 인해 대중들은 손쉽게 디지털 사진 촬영이 가능하게 되었다. 디지털 사진은 필름 사진과 달리 촬영을 하는데 있어 비용이 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플래쉬 메모리의 증가로 인해 다수의 사진들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으나 그만큼 많은 사진들을 관리하고 분류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 되었다. 따라서 디지털 사진을 자동으로 분류하고 관리하는 기능은 중요한 과제가 되었지만, 현재까지 나온 방법들은 사진 내의 객체가 확대, 축소 및 이동하거나 배경이 바뀌는 영상에 있어서 정확한 유사도를 측정하여 분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어려움을 보완한 디지털 사진의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입력영상을 그리드 형태로 나누어 각 블록별로 측정한 유사도 값을 바탕으로 클러스터링하며, 이때 디지털 사진 내에 포함되어 있는 촬영정보인 EXIF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에 따라 적응적(adaptive)으로 그리드를 나누어 비교한다. 또한, 영상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분포 정도를 고려해 색상 가중치를 고려하여 사진을 비교함으로써, 영상의 고수준(high-level) 분석에서처럼 객체와 배경을 추출하여 따로 분리하지 않고도 객체의 배경이 다른 사진들을 저수준(low-level) 에서 분석이 가능토록 하였다. 제안한 방법으로 실험한 결과 객체의 크기 및 이동이나 배경에 큰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입력영상들을 클러스터링 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Constructing of Photographic Digital Archive : Focusing on the Photographs of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s (사진 디지털아카이브 구축에 관한 연구 : 민주화운동 사진기록을 중심으로)

  • Kim, Myoung-Hun;Hyun, Jong-Chul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7 no.3
    • /
    • pp.139-163
    • /
    • 2006
  • This article analyze a constructing process of photographic digital archive based on photographs of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s. After photographic digital archive defines as integrated systems in which photographic digital objects collect, classify, describe, preserve and access, this article explains metadata elements and classification schema reflecting a special quality of photograph. Especially, this article presents dynamic classification structure using subject keywords. After all, this method provides integrity and interrelationship with photographes which promote usability of photographic digital objects.

기획특집2 사진영상산업의 동향 - Digital imaging service, 디지털 포토 리테일 시대에 날개를 달다

  • Lee, Seong-Suk
    • The Optical Journal
    • /
    • s.139
    • /
    • pp.26-29
    • /
    • 2012
  • 디지털이미징서비스(Digital imaging service)가 '찍는 즐거움'에서 '보는 즐거움'으로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는 모바일 기기의 확산과 기능의 향상도 큰 몫을 차지했다.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를 합성, 보관, 전송, 인화해주는 디지털이미징서비스는 디지털 사진을 인터넷상의 전자앨범 형태로 보관하거나 친구, 가족들과 사진을 공유할 수 있고, 저렴한 가격에 일반사진과 똑같은 형태로 인화도 가능하다. '보는 즐거움'을 넘어 '체험하는 즐거움'을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사진 시대를 열고 있는 것이다.

  • PDF

2005 서울국제사진영상기자재전/디지털영상전

  • Yun, Mi-Seon
    • The Optical Journal
    • /
    • s.98
    • /
    • pp.42-49
    • /
    • 2005
  • 89년 첫 전시회 이후 해를 거듭할수록 사진인들의 물적, 인적교류의 장으로 거듭나고 있는‘2005 서울국제사진영상기자재전/ 디지털영상전’이 지난 5월 26일부터 29일까지 코엑스 태평양홀에서 성공적으로 휘날레를 장식했다. 미국‘PMA 2005’와 일본 동경에서 열린‘Photo Imageing Expo 2005’에서 선보인 최첨단사진영상기기들의 여세를 몰아 이번‘2005 서울국제사진영상기자재전/디지털영상전’에서는 18개국 200여 업체가 참가했으며 지난 전시회보다 한 층 더 보강된 신제품과 신기술로 5만명이 넘는 관람객의 발길을 사로잡았다. 이번 전시회에서 주목할 점은 디지털카메라의 보급으로 디지털사진 및 관련 업계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집중되면서 일반 참관객들의 적극적인 전시회 참여가 돋보였다는 점이다. 또한 디지털포토 및 배경, 의상, 앨범, 액자, 스튜디오기자재, 조명기기, 기타 액세서리 등에서도 소비자들의 변화된 구매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각 종 아이템들이 선보여 국내외 바이어들과 전문가, 일반인들에게 사진시장의 확대와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던 전시회로 평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