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젤후처리장치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Animal fat biodiesel separation and washing (동물성 오일 바이오디젤의 분리 및 세정 방법 연구)

  • Kim, Deogkeun;Kim, Sumgmin;Lee, Joonpyo;Park, Soonchul;Lee, JinSu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13.2-113.2
    • /
    • 2011
  • 동물성 오일을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 반응 후 미반응된 메탄올과 염기촉매의 처리에 관한 연구로써 바이오디젤의 순도에 영향을 미친다. 메탄올과 염기촉매는 바이오디젤 생산 반응 후 상층인 메틸 에스터 층과 하층인 글리세롤 층에 각각 포함되어 있다. 1차적으로 각각의 층에서 메탄올을 증발하게 되며 메탄올 증발은 감압 증류 장치를 이용해 분리하게 된다. BD100을 기준으로 하여 메탄올의 함량은 0.2% 이하여야 하며 수분 함량은 0.05% 이하를 유지해야 한다. 메탄올 증발은 메탄올의 끓는 온도인 $65^{\circ}C$를 기준으로 하여 끓는점 보다 낮은 온도와 높은 온도에서 각각 증발을 실시하고 각각의 메탄올 증발 제거에 따른 FAME 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FAME 함량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메탄올 증발 후 증류수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내 잔류 촉매 및 자유 글리세린 세정 제거에 대해 조사하였다. 증류수 양과 증류수 온도 및 세정 시간에 따른 FAME 함량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세정 후 증류수 증발에 따른 FAME 함량 변화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을 통해 동물성 오일을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 후처리 공정인 메탄올 증발 및 세정, 수분 증발 공정의 최적 조건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Influence of Aftertreatment System on the Size Distribution of Diesel Exhaust Particulate Matter (후처리 장치에 의한 디젤엔진 배출가스의 미세 입자 입경분포 변화)

  • 권순박;김민철;이규원;류정호;엄명도;김종춘;정일룩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7 no.7
    • /
    • pp.113-121
    • /
    • 1999
  • Diesel particulate matter is known to be one of the major harmful emissions produced by diesel engines. Diesel particulates are subject to diesel emission regulations and have lately become the focus in the diesel emission control technology. Thus, the aftertreatment system is adopted at the diesel engine exhaust to reduce the particulate emission. Although this benefit is recognized, it is not clear how the aftertreatment system influences quantitatively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distribution. In this study,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s of diesel exhaust were measured using the 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 with and without the aftertreatment system. There results showed that the diesel particulate filter and plasm system reduced the number of emitted particles by more than 90% and about 80% respectivley in the particle size range of 20nm∼600nm.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effect of the diesel oxidation catalyst on the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was detected.

  • PDF

Automotive Catalytic air Pollution Control System

  • Yeo, Gw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72.2-72.2
    • /
    • 2013
  • 대기 환경의 오염에 크게 영향을 주는 자동차용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함과 강화되고 있는 배기가스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한 최첨단의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세계 많은 연구진이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가솔린 차량과 디젤차량분야 에서 배기가스 저감을위한 후처리 장치용 촉매 개발동향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표에서는 가솔린, 디젤 차량 적용 촉매의 기본 원리 및 규제 대응 신기술 개발 동향으로 TWC, DOC, DPF, SCR, LNT등의 기술과 후처리 시스템의 개발 동향을 설명한다.

  • PDF

Development of Dilution System for Measuring the Diesel Exhaust Particles (경유자동차 입자상 오염물질 측정을 위한 희석장치 개발)

  • 정정선;권순박;이규원;류정호;엄명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299-300
    • /
    • 2001
  • 디젤엔진을 이용한 자동차는 연료의 효율성 및 경제성 등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버스, 트럭 등의 대형 경유자동차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디젤 입자상 물질(DPM; Diesel Particulate Matter), NOx 등이 대기 환경을 크게 악화시키고 있다. 경유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입자상 물질과 NOx등의 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켜 근본적으로 오염물질을 줄이는 방법과 후처리 장치를 개발하는 방법이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Reduction of Diesel Particulates Using Ceramic fiber filters (섬유헝 세라믹 필터를 이용한 디젤 입자상물질 저감에 관한 연구)

  • 주용남;홍민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361-363
    • /
    • 2000
  • 디젤 자동차는 가솔린 자동차에 비하여 연료소비효율이 높고, 경제성이 좋으며 고출력을 낼 수 있어 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디젤엔진에서 배출되는 매연과 가스로 인한 오염도 심각한 수준에 달하였다. 엔진의 전자화, 고압분사기술등 여러 자동차 관련기술의 발달로 배출오염물질의 저감에 큰 발전을 이루어 왔으나, 계속적으로 강화되어지는 배출규제에 맞추기 위해서는 입자상 물질 후처리 장치의 개발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기되고 있다. (중략)

  • PDF

Study on Estimation of PM Mass in DPF from Pressure Drop in 3L Diesel Engine (3L급 디젤엔진의 배압이용 DPF 매연포집량 예측에 대한 연구)

  • Kim, Hong-Suk;Lee, Jin-Woo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4 no.5
    • /
    • pp.499-504
    • /
    • 2010
  •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exact soot mass in a DPF system in order to control the timing of PM regeneration. The soot mass accumulated in a filter can be estimated from the pressure drop in the filter and the exhaust gas flow rates. In this study, the soot index is defined as the pressure drop in the DPF divided by the pressure drop in a DOC. An effective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determining the soot index is proposed; the results yielded by this method indicate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soot index and the amount of soot loaded into the filter for both steady-state and transient-state operating conditions in a 3L diesel engine for passenger vehicles.

Effect of Particulate Matter and Ash Amount on Pressure Drop and Flow Uniformity of Diesel Particulate Filter Reduction System (입자상물질과 Ash양이 디젤매연여과장치 내의 배압 및 유동균일도에 미치는 영향)

  • Kim, YunJi;Han, DanBee;Seo, TaeWon;Oh, KwangChul;Baek, YoungSoon
    • Clean Technology
    • /
    • v.26 no.1
    • /
    • pp.22-29
    • /
    • 2020
  • Recently, as the fine dust is increased and the emission regulations of diesel engines have been tightened, interest in diesel soot filtration devices has rapidly increased. There is specifically a demand for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higher diesel exhaust gas after-treatment device efficiency. As part of this, many studies were conducted to increase exhaust gas treatment efficiency by improving the flow uniformity of the exhaust gas in the diesel particulate filter (DPF) and reducing the pressure drop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of DPF.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pressure drop by the flow rate and temperature of exhaust gas, DPF I/O ratio, Ash, and PM amount in diesel reduction device were simulated via a 12" diameter DPF and diesel oxidation catalyst (DOC) using ANSYS Fluent. As the flow rate and temperature decreased, the pressure drop decreased, whereas the PM amount affected the pressure drop more than the ash amount and the pressure drop was lower in anisotropic DPF than isotropic DPF. In the case of DPF flow uniformity, it was constant regardless of the various variables of DPF. In ESC and ETC conditions, the filtration efficiency for PM was similar regardless of anisotropic and isotropic DPF, but the filtration efficiency for PN (particle number) was higher in anisotropic DPF than isotropic DPF.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Diesel Nano-Particle by Diesel Particulate Filter (매연여과장치에 의한 경유미세입자 저감 특성)

  • 임철수;엄명도;류정호;김예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327-328
    • /
    • 2003
  • 경유자동차는 연료 특성상 매연을 포함한 입자상물질을 다량 배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디젤입자상물질은 인체에 유해한 발암성 및 돌연변이원성 물질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호흡 등을 통한 인체 유입시 건강에 매우 유해하다. 그러므로 디젤입자상물질을 저감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들 중 발생된 배출가스가 배기관을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되기 전에 엔진 연소실과 배기관 사이에 후처리장치와 같은 기술들을 이용하여 이를 저감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후처리장치들 중 세라믹필터에 백금과 같은 산화성이 우수한 촉매를 코팅하여 만든 촉매식 매연여과장치(DPF ; diesel particulate filter, SK제공)를 사용하였을 때 입자저감성능 및 입자크기별 분포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도시대기오염 저감대책을 기초자료 및 환경학적, 보건학적 연구에 적극 활용하고자 한다. (중략)

  • PDF

유류오염토양 정화를 위한 Phytoremediation 이용에 관한 연구

  • 심지현;이준규;장윤영;심상규;황경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11a
    • /
    • pp.146-150
    • /
    • 1998
  • 현재 세계적인 토양환경복원의 추세는 단기간의 높은 처리효율을 기대하는 장치위주의 복원기술적용에서 좀 더 처리시간은 걸리나 저비용의 효율적인 처리기술선택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 무리한 투자에서 발생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취해지고 있는 변화로 식물을 이용한 환경복원기술(phytoremediation)은 이러한 변화에 가장 잘 부응하는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은 미래 복원기술 가운데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hytoremediation을 이용하여 디젤로 오염된 토양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먼저 대상오염물에 대한 정화능을 나타내는 식물을 선별하기 위해 알팔파, 옥수수, 피, 물피의 오염농도별 생장 률을 살핀 결과 알팔파가 오염농도에 따른 성장저해를 가장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알팔파의 발아 test를 거친 후 실제상황을 모사하기 위한 column test를 실시하여 디젤의 제거효율을 살펴보았다. 1)외부로부터 pipe line을 따라 공기를 주입하여 산소를 보충한 처리구와 2)알팔파를 심은 처리구, 3)알팔파와 공기를 넣어준 처리구를 설계하여 디젤의 제거과정을 알아본 결과 제거효과가 가장 높은 처리구는 공기와 알팔파를 함께 넣어준 처리구였다. 이를 통해 유류로 오염된 토양에서 산소가 미생물활동에 커다란 제한요인이라는 것과 공정에 공기주입구를 장착함으로써 식물만으로 처리할 때 대두되는 시간적 제약의 문제를 다소 경감시킬 수 있음이 밝혀져 앞으로 이의 활용가능성이 주목된다.

  • PDF

Effects of Regeneration Parameters on Oxidation of Particulate in a Diesel Particulate Trap System (디젤 입자상물질 후처리 장치에서 입자상물질의 연소에 미치는 재생 인자의 영향)

  • Kim, J. U.;Cho, H.;Kim, H. U.;Park, D. S.;You, C.;Kim, E. S.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6 no.2
    • /
    • pp.168-177
    • /
    • 1998
  • The effects of the regeneration parameters such as inlet gas temperature, space velocity, oxygen concentration of the exhaust gas, and initial particulate loading on the oxidation of the particulate inside ceramic cordierite filter have been investigated through an engine experiment. As the inlet gas temperature increases, the remarkable filter temperature occurs owing to the rapid combustion rate. Though the higher space velocity affirms the safe regeneration, it also requires much fuel consumption of the burner. For that reason, the space velocity should be compromised considering the fuel economy. The excessive accumulation of the particulate may cause undesirable regeneration temperatures inside filer even under the optimized regeneration condition. The inlet gas temperature should be selected to overcome the variation of the oxygen concentration which is inherent feature of the diesel engine. I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regeneration control techniqu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