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자인 프로토타입

Search Result 21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the Meaning of Prototypes and Prototyping Strategy in User Interface Design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프로토타입의 의미와 프로토타이핑 전략에 대한 연구)

  • 박정순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3
    • /
    • pp.145-152
    • /
    • 2000
  • Since interactive systems that the user interaction is important factor can be very complex, its design process may have various testing and feedback based on continuous prototyping. The prototypes in this process function as medium to explore design problem and communicate opinions with another expert of project team. So prototyping strategy may be needed to enhance the design quality by focusing on the goals of project. This study clarifies critical issues around the proto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active system to understand broad meaning of prototypes. And prototype model proposes as a framework for establishment of prototyping stategy.

  • PDF

An Explorative Research for Possibility of Digitalwear Based on Motion-detective Input Technology as Apparel Product and a Suggestion of the Design Prototypes (I) (동작인식형 (Motion-detective) 디지털웨어(Digital Wear)의 의류 상품화 가능성 탐색과 디자인 프로토타입 (Design Prototype)의 제안 (I))

  • 박희주;이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366-372
    • /
    • 2002
  • 본 연구는 제 1보와 2보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1) 동작 인식형 입력기술에 기반한 디지털웨어(이하, DMDI로 약칭함)의 의류상품화 가능성을 탐색하고, 2) 소비자의 잠재적 수요에 기초하여 DMDI의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제 1 보에서는 소비자의 DMDI 에 대한 잠재수요를 고찰하기 위하여, 디자인 에스노 그래피적 견지에 기초하여 개발된 심층면접 방식 및 범주분석 방식을 취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DMDI를 위한 7가지의 가능성있는 애플리케이션 영역과 DMDI의 6가지 디자인 방향이 제안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디자인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한 기본형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제 2보에서는 제 1보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DMDI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본 학술발표는 제 1보의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DMDI에 대한 소비자 수요의 분석결과와 DMDI를 위한 기본형 디자인을 주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a Design Prototype of Wearable Computer For a Daily Life-based Application (실생활 응용서비스를 위한 웨어러블 컴퓨터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개발)

  • 양은실;조현이;이주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41-147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용성과 평가에 기초하여 사용성과 착용성 평가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컴퓨터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실증적 자료를 토대로 하여 웨어러블 컴퓨터의 디자인 적합성 및 물리적 인터페이스 속성을 개선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웨어러블 컴퓨터에 디자인 시안 1종을 실물로 제작하고 컴퓨팅에 능숙한 일반 사용자 10명과 택배직에 종사하는 전문 사용자10명을 대상으로 디자인 시안을 사용하게 한 후, 디자인 시안의 사용성과 착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도출된 문제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외관’, ‘관리의 용이성’, ‘컴퓨팅 기기 위치의 적절성’, ‘와이어 경로의 적절성’, ‘조작의 용이성’, ‘위험성’, ‘유용성’, ‘인지적 변화’, 의 9가지 항목별로 정성적, 정량적 분석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디자인 시안의 세부적인 디자인 수정안을 도출하였으며, 사용성과 착용성 평가를 바탕으로 한 현재의 기술을 통해 구현 가능한 웨어러블 컴퓨터의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기본형을 그래픽 시뮬레이션으로 제시하였다.

  • PDF

Research of the Toolkit for easy and rapid prototyping (구동형 프로토타입의 쉽고 빠른 제작을 위한 인터랙티브 툴 킷 -상용 소프트웨어와 연동이 되는 모듈 형 하드웨어 툴 킷 개발을 중심으로-)

  • Jang, Sun-Yeon;Lim, Soo-Hyun;Hahn, Min-S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020-1023
    • /
    • 2009
  • It had been longer that the design mock-up was made mainly in order to test products. These days, it seems to be main stream that the working mockup is done because designers consider not only the design but also usability. In this study, the modular hardware toolkit, complimentary with Adobe Flash, was developed so that it solves the problem, the electronic hardware which the designers should struggle to make by themselves. This result thing could help the time of the design process to be short and contribute to make robust system rapidly.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rototype in Graphic User Interface Development Process -through the Case Study of Developing Multi-User Educational Multimedia Product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프로세스에서의 프로토타입 활용에 관한 연구 - 다중참여 교육용 멀티미디어 제품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 김성곤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3 no.3
    • /
    • pp.181-190
    • /
    • 2000
  • As human-centered design has become new paradigm in the whole field of design, they make an effort to understand users in the field of graphic interface design. However, there are not much of study to systematic process for human-centered approach in graphic interface design. Therefore, in this paper,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pplication methodology of prototype in the graphic user interface design process. The study consists of three sections. first, definition, types and application methods are introduced by secondary research. Second, all the knowledge gathered above by secondary research are integrated in the newly proposed Prototype-based interface design process. There are many types of prototype from idea sketches on the paper to final working prototype realized by computer. It is needed to develop and test appropriate prototype with appropriate techniques by objectives of the stages. Finally, the proposed prototype-base design process is verified and exemplified through the process of using prototype in the development of multi-user educational multimedia product.

  • PDF

터치폰 감성 프로토타입 개발 사례

  • Lee, Byeo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44.2-44.2
    • /
    • 2009
  • 본 제품 개발 사례는 날로 사용자가 증가되는 Touch Phone의 감성 디자인을 위한 선행 감성 평가 프로토타입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 감성 프로토타입은 Touch Phone에 근접한 형태로 디자인 했으며, 기본적인 평가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특히, 본 감성 프로토타입은 다양한 Touch Phone의 GUI 및 Graphic Motion에 대한 감성에 대한 평가를 PC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도록 Dual Monitor 환경으로 개발하였으며, 차세대 Touch Phone UI의 화두인 Multi-Touch를 위한 10개의Multi-Touch가 가능한 터치패널을 적용하였다. 이에 본 개발 사례를 활용 함으로써, Touch Phone의 다양한 감성적인 Motion 알고리즘 및 연구 및 평가검증이 PC환경에서 Touch Phone과 동일한 사용환경으로 평가하고 실험할 수 있는 환경의 구축이 가능하다.

  • PDF

Research on difference between interfacing virtual prototype and real prototype of a wireless phone (가상 프로토타입과 실제 프로토타입에서의 인터페이스 차이에 대한 연구 - 무선전화기 중심으로 -)

  • Hyeon, Hye-Jeong;Hwang, Min-Cheol;Lee, Byeo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2-175
    • /
    • 2007
  • 본 연구는 인터페이스 연구에 이용되는 가상 프로토타입에 대한 인터페이스가 실제크기모형(mockup)과 가까운 실제 프로토타입(real prototype)에 대한 인터페이스와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휴대폰 중심으로 프로토타입을 가상의 그래픽을 구축하고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을 이용한 실제 프로토타입(real prototype)을 구축하였다. 휴대품에 대한 감성 평가 모델을 구축하여 두 프로토타입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두 프로토타입의 인터페이스 면에서의 차이는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적용되는 제품 평가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것이다.

  • PDF

An Explorative Research for Possibility of Digitalwear Based on Motion-detective Input Technology as Apparel Product and Suggestion of the Design Prototypes(II) (동작인식형 디저털웨어의 의류 상품화 가능성 탐색과 디자인 프로토타입의 제안(II))

  • 박희주;이주현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5 no.2
    • /
    • pp.35-5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1) to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DMDI(Digitalwear based on motion-detective input technology) as an apparel product and 2) to develop designs of DMDI based on consumers' demand. This research consists of part I and part Ⅱ. In partⅠ, six design guidelines for designing of DMDI and five feasible applications were suggested as the result of an empirical study. In part Ⅱ of this research, two basic directions for designing of DMDI were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n part Ⅰ. Total 5 design prototypes of DMDI were developed, for which ‘wearability as an apparel product’ and ‘usability as an physical interface’ were intensively considered.

  • PDF

A Study on the Prototyping for Developing Computer Game (컴퓨터게임 제작을 위한 프로토타입에 관한 연구)

  • Tak, Hwa-Eun;Kim, Sung-Kon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7 no.4
    • /
    • pp.129-140
    • /
    • 2004
  • The process of game development is contained of many steps that is hard to forecast success or failure. In order to develop successful game, the development period should be shorter, which could reduce development cost. In order to reduce development period and cost, it is needed to make a communication among planners, programmers, graphic designers and investors lively with a prototype as a communication tool. In this study, the concrete examples are demonstrated how to use prototypes as a tool for communication and feedback of team members, in the process of game development. This paper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types of prototypes according to types of game contents. This paper demonstrated two types of prototype according to development stage, one type is a prototype to gather feedback in the planning stage, the other is a prototype to make team members cooperate and communicate in the stage of production stage.

  • PDF

Design Evaluation of Mobile Devices Using Virtual Reality Based Prototypes (가상현실 기반 프로토타입을 이용한 모바일 장치의 디자인 평가)

  • Jo, Dong-Sik;Yang, Ung-Yeon;Son, Wook-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683-684
    • /
    • 2007
  •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 프로토타입을 이용한 모바일 장치의 디자인 평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장치의 디자인 요소 분류, 3 차원 데이터의 고품질 가시화 기법, 제품 기능과 동작에 대한 사용자 상호작용의 구현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