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자인 툴

Search Result 109,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The Impact of Instructors' Capacity on Technology Integrated Education in Interior Design Studios (스튜디오 수업에서 교사의 역량이 기술통합교육에 미치는 영향)

  • Cho, Myung Eun;Kim, Mi Jeong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24 no.5
    • /
    • pp.70-77
    • /
    • 2015
  • 현재 기술과 정보통신의 발전은 학생들의 학습과정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들은 주로 수업에 활용 가능한 기술개발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교사들이 수업을 위해 활용하게 되는 다양한 기술과 교수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사의 기술사용과 가치, 기술 숙련도를 이해하고 이것이 학생들의 기술통합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특히 디자인툴들이 빈번히 사용되는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의 선생님의 기술통합교육의 중요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디자인 툴을 이용하여 스튜디오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국내 7개 대학의 스튜디오 수업 담당 교사들을 대상으로 3주에 걸쳐 설문과 면접을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조사 대상 교사의 수업을 듣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법에 대한 설문을 병행하였다. 스튜디오 수업의 디자인 과정에서 학생들이 기술툴들을 다양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학습법이 매우 중요한 요소였으며, 교사들이 디자인툴의 사용에 익숙하고 그것의 활용도를 폭넓게 이해하고 있을 때 학생들의 기술통합수업이 가능하였다.

Research of the Toolkit for easy and rapid prototyping (구동형 프로토타입의 쉽고 빠른 제작을 위한 인터랙티브 툴 킷 -상용 소프트웨어와 연동이 되는 모듈 형 하드웨어 툴 킷 개발을 중심으로-)

  • Jang, Sun-Yeon;Lim, Soo-Hyun;Hahn, Min-S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020-1023
    • /
    • 2009
  • It had been longer that the design mock-up was made mainly in order to test products. These days, it seems to be main stream that the working mockup is done because designers consider not only the design but also usability. In this study, the modular hardware toolkit, complimentary with Adobe Flash, was developed so that it solves the problem, the electronic hardware which the designers should struggle to make by themselves. This result thing could help the time of the design process to be short and contribute to make robust system rapidly.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Method of Android App GUI Test Automation Tool (안드로이드 앱 GUI 테스트 자동화 툴 개발 방법에 관한 연구)

  • Park, Se-jun;Kim, Kyu-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8
    • /
    • pp.403-412
    • /
    • 2021
  • As the number of mobile apps increases exponentially, automation of tests performed in the app development process is becoming more important. Until the app is released, iterative verification is performed through various types of tests, and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GUI test among various types of tes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stable app distribution of the developer by suggesting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GUI test. To develop Android's GUI test tool, I collected basic data before presenting the development method by researching Android's UI controls and Material design guideline. After that, for the existing GUI test automation tool, two tools based on screen capture test and four tools based on source code analysis test were studied.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existing GUI test tools don't consider visual design, usability, and component arrangement. In order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tools, a new GUI test automation tool development method was presented based on the basic data previously studied.

Overseas - Parametric DesignIX (해외건축동향: 미국 - 파라메트릭 디자인IX)

  • Sung, Woojae
    • Korean Architects
    • /
    • s.568
    • /
    • pp.120-125
    • /
    • 2016
  • 오랜만에 지난 작업들을 뒤돌아 볼 기회가 생겼습니다. 누구에게나 인생의 큰 흐름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 일어나기 마련인데요, 저의 경우는 지난 근 십년간 함께 해온 파라메트릭 디자인을 접하게 된 일이 그러한 사건들 중 하나였다고 생각이 됩니다. 그런 의미에서 트레이싱지 위에 로트링펜으로 선을 처음 그었던 그 강렬했던 기억 이후로 건축 설계를 해오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한 사건을 꼽으려고 한다면 단연히 Cornell 건축 대학원 재학 당시 처음 접하게 되었던 GenerativeComponents 수업을 이야기 하고 싶습니다. 연재를 시작하면서 잠시 언급한 바가 있었던 것 같은데요, 파라메트릭 디자인이라는 미지의 영역을 알게 해준 것이 바로 Bentley 사에서 만든 GenerativeComponents 라는 파라메트릭 디자인 툴 입니다. Microstation은 Autocad와 함께 건축설계 시장에서 많은 사용자층을 확보 하였던 캐드 툴 중 하나 이었으며 자체적으로 BIM 및 파라메트릭 툴을 위한 패키지가 Rhino의 Grasshopper의 출현 이전부터 존재하여 왔을 정도로 발전된 자동화 설계 플랫폼이었습니다. 현재도 특정 건축사사무소들이 Microstation을 꾸준히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Infra structure, plant나 civil engineering 등의 건축 외 설계 분야에서는 여전히 폭넓은 사용자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건축 시장에서는 Rhino를 바탕으로 하는 플러그인 패키지 및 Autodesk의 건축설계 통합 패키지 등에 밀려서 사용자층이 얇아진 편입니다.

  • PDF

User Centered Interface Design of Web-based Attention Testing Tools: Inhibition of Return(IOR) and Graphic UI (웹 기반 주의력 검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회귀억제 과제와 그래픽 UI를 중심으로)

  • Kwahk, Ji-Eun;Kwak, Ho-Wa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9 no.4
    • /
    • pp.331-367
    • /
    • 2008
  • This study aims to validate a web-based neuropsychological testing tool developed by Kwak(2007) and to suggest solutions to potential problems that can deteriorate its validity. When it targets a wider range of subjects, a web-based neuropsychological testing tool is challenged by high drop-out rates, lack of motivation, lack of interactivity with the experimenter, fear of computer, etc. As a possible solution to these threats, this study aims to redesign the user interface of a web-based attention testing tool through three phases of study. In Study 1, an extensive analysis of Kwak's(2007) attention testing tool was conducted to identify potential usability problems. The Heuristic Walkthrough(HW) method was used by three usability experts to review various design features. As a result, many problems were found throughout the tool. The findings concluded that the design of instructions, user information survey forms, task screen, results screen, etc. did not conform to the needs of users and their tasks. In Study 2, 11 guidelines for the design of web-based attention testing tool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findings from Study 1. The guidelines were used to optimize the design and organization of the tool so that it fits to the user and task needs. The resulting new design alternative was then implemented as a working prototype using the JAVA programming language. In Study 3, a comparative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excellence of the new design of attention testing tool(named graphic style tool) over the existing design(named text style tool). A total of 60 subjects participated in user testing sessions where their error frequency, error patterns, and subjective satisfaction were measured through performance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s. Through the task performance measurement, a number of user errors in various types were observed in the existing text style tool. The questionnaire results were also in support of the new graphic style tool, users rated the new graphic style tool higher than the existing text style tool in terms of overall satisfaction, screen design, terms and system information, ease of learning, and system performance.

  • PDF

뉴미디어 시대 전문대학 디자인 교육 전략과 문제점 연구 - 커뮤니케이션 툴 학습기능을 중심으로 -

  • 명광주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2 no.3
    • /
    • pp.55-71
    • /
    • 1999
  • 본 연구는 전문대학 디자인 교육의 문제를 점검하고, 전문대학만의 차별화 된 디자인 교육을 위한 전략과 방향을 정보화에 기반한 커뮤니케이션 툴 학습기능을 중심으로 찾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방법은 주로 문헌 조사 방법을 사용 했다. 전문대학 디자인 관련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학습체제의 대안을 제시 했다.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첫째, 전문대학 디자인 교과과정은 중견 직업인 양성 목적 보다는 4년제 교과과정의 모방이며 둘째, 학과목의 연계성 부족과 과도한 학과목으로 전문성 양성과 거리가 있고 셋째, 정보화와 멀티미디어화 등에 대한 대응력에서 취약하며 넷째, 학교 시설과 교수 인력에 한계가 있다. 이에 인터넷등 네트워크 미디어를 통해 가상학교를 구축, 상호 시너지를 확보하는 전략 전개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논문은 전문대학의 현실적 디자인 교육 진단을 근거로, 국가적인 교육 정보화 정책과 세계적인 사이버 교육의 트렌드를 접합하여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 PDF

A Study on the Usage of Digital Design Tool on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건축 프로세스에서의 Digital Design Tool 활용에 관한 연구)

  • Jeon, Hyun-Woo;Choi, Jong-Chon;Kim, Khil-Cha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567-5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외 설계사무실과 국내 설계사무실의 수행 프로젝트(표1)를 디지털 디자인 프로세스에서의 디지털 도구 활용 사례조사 결과를 일련의 설계 프로세스(기획(Pre-Design), 계획 설계(Schematic Design) 중간설계(Detail Design), 실시설계(Construction Design))를 11개의 설계 단위작업((1)자료수집, (2)도서화작업, (3)의사소통/프레젠테이션, (4)협력업체와의 협업, (5)디자인 실험, (6)디자인분석/유효성 검토, (7)빌딩시스템과 자재선정, (8)자재비교/견적, (9)디자인 발전, (10)RP를 이용한 모델 제작, (11)시공/제작)으로 분류하여(설계프로세스별로 디지털 디자인 툴의 활용 빈도를 조사 분석하는 것은 프로세스별로 중복된 설계 단위작업이 진행됨으로 연구결과의 의미가 잘못 해석될 수 있다.) 그 활용에 대한 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계과정에서의 디지털 디자인 툴의 활용특성을 도출하여 실무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 PDF

An Automation of CAD Tool License Sharing Scheme Within a Design Working Group (디자인 워킹 그룹을 위한 CAD 툴 라이센스 공유 기법의 자동화)

  • Jung Sung-Heon;Jhang Kyoung-Son;Yim In-Sung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2 no.1
    • /
    • pp.1-8
    • /
    • 2006
  • Since most CAD tool companies are carrying out very expensive license policies, designers are sharing CAD tools with a limited number of licenses within a design working or research group. It is important to share and use them efficiently, because CAD tool licenses are very valuable resources. Designers should know CAD tool license information such as available number of licenses, types, and configuration methods to use CAD tools properly in their group. Usually, this information is provided by managers who administrate CAD tool license servers in the specific design group. In the previous CAD tool licenses sharing methods, designers have to get CAD tool license information manually and setup the environments with their own hands, If a new designer comes into the design working group, the designer wastes unnecessary time and effort due to these manual processes. As a result, designer's productivity and utilization of CAD tools will decrease. Besides, managers also waste their time and effort, since they should provide CAD tool license information manually to each desiEner. In this paper, we present a more efficient scheme to share CAD tool licenses based on directory service. The proposed method automates not only the communication processes between managers and designers, but also the license configuration steps. We expect this scheme will reduce time and effort of designers and managers as well as enhance the utilization of CAD tools.

Genomic Analysis Workbench Based on Parallelized Computing (병렬 컴퓨팅 기반의 유전체 분석 워크벤치)

  • Sun Choong Hyun;Yi Gwan Su;Park Hark-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244-246
    • /
    • 2005
  • 최근 바이오 데이터 분석에는 데이터 양의 급격한 증가와 이에 따른 문제의 복잡성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 결과 다양한 분석 툴들의 유연한 조합과 고성능, 고처리 컴퓨팅이 가능한 분석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병렬 컴퓨팅 환경을 이용하고 워크플로우 기반에서 다양한 생물정보 분석 툴들을 자유롭게 조합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바이오워크벤치를 소개한다. 바이오워크벤치 내에는 컴퓨팅 자원 및 작업정보에 대한 모니터링 툴, 각 툴 들과 데이터를 손쉽게 가공할 수 있도록 고안된 인터페이싱 툴 워크플로우 디자인 툴을 포함 하고 있다. 이 기능모듈을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생물정보 분석 툴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인 분석을 수행을 지원하는 바이오 워크벤치의 기능 및 아키텍쳐을 제시한다.

  • PDF

An Automated Sharing Scheme of CAD Tools and License Resources Based on Directory Service (디렉토리 서비스에 기반한 CAD 툴 및 라이센스 자원의 자동화된 공유 방식)

  • Jung Sung-Heon;Yim In-Sung;Jhang Kyoung-Son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3A no.1 s.98
    • /
    • pp.27-34
    • /
    • 2006
  • Designers should know CAD tool/license information such as available number of licenses or tools, types, and configuration methods to use CAD tools properly in their group. Usually, this information is provided by managers who administrate CAD tool and license servers in the specific design group. In the previous CAD tool/licenses sharing methods, designers have to get CAD tool/license information manually and setup the environments with their own hands. n a new designer comes into the design working group, the designer wastes unnecessary design time, because of these processes. As a result, designer's poductivity and utilization of CAD tools will decrease Besides, managers also waste their time and effort, since they should provide CAD tool/license information manually to each designer.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utomated scheme to share CAD tool/license information based on directory service. The proposed methods automate the communication processes between managers and designers that minimze unnecessary time to share CAD information. In addition, as this system maintains the consistency of CAD information automatically that remove the repeated work of managers and designers, it improves the enciency of sharing. Besides, it automates the license configuration steps using prof(y Last, we offer Executable Proxy which is proper for thin CAD application. We believe this scheme will reduce designers and managers' time and effort as well as maximize the utilization of CAD t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