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자인 지침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6초

사설안내표지판 관리지침의 디자인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전시 사설안내표지판 디자인 관리지침을 중심으로- (Design Satisfaction of Private Signboards on the Sign Management Guideline)

  • 김영국;주연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59-169
    • /
    • 2013
  • 사설안내표지판은 공공디자인의 영역으로 시민들의 편의를 돕고 도시미관을 고려해야 하지만 제도화된 디자인 규정이 없는 행정적인 문제와 관리 주체들의 인식 부족으로 무질서한 난립을 초래하여 도시 미관을 해치고 정보 혼란을 야기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서울시를 비롯한 각 지방 도시들은 사설안내표지판 디자인 관리지침을 만들어 개선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개선 후 안내표지판의 실질적인 디자인 만족도 검증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설안내표지판의 디자인 관리지침을 만들어 개선 사업을 실시한 대전시를 중심으로 개선 후 표지판의 시각요소, 정보전달, 도시 가로환경에 대한 디자인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 시각요소, 정보전달, 도시 가로환경의 모든 항목에서 개선 후 디자인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것으로 판단되며 사설안내표지판 디자인 만족도의 실증적 조사에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고령자의 안전한 보행을 지원하기 위한 보행기 디자인지침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s of the Elderly Walker for safety walking)

  • 이현욱;양승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61-168
    • /
    • 2020
  • 본 연구는 고령자들의 안전한 독립보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행기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로, 기존 고령자용 보행기에 대한 제품 분석을 통한 문제점 파악과 사용자 관찰 실험을 통하여 사용상 문제점과 니즈를 파악하였다. 제품 분석결과 대부분의 고령자용 보행기는 기능이 우선시 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 관찰 결과 대부분의 사용자가 기능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나, 조작방법이나 안정감 등 구조적인 부분은 부정적인 결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후 도출된 문제점과 니즈를 통해 총 다섯 가지의 디자인 지침을 도출하였다. 디자인 지침은 기능적인 부분이 아닌 구조적인 문제점의 개선을 중점적인 목표로 설정하였고, 기능 우선이 아닌 안전이 우선시되도록 방향을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다섯 가지 디자인 지침은 차후 고령자용 보행기를 제작 및 디자인하는데 있어, 고령자의 관점과 니즈를 반영한 보행기 제작의 기초적인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유연 광섬유 기술을 적용한 의류 제품용 로고 디자인 방향의 제시 (A Suggestion of Guideline for designing of logo type for Apparel products based on the technology of flexible plastic optical fiber)

  • 김남희;양진희;홍순교;홍석일;이주현
    • 감성과학
    • /
    • 제15권4호
    • /
    • pp.469-47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연 광섬유의 스마트 의류용 로고 디자인을 개발하기 위한 디자인 지침을 도출하는 것이다. 로고 디자인을 위한 지침 도출의 기준은, 첫째 광섬유 전면에 걸쳐 적절한 밝기 정도를 나타내는지의 여부, 둘째 광섬유 전면에 걸쳐 비교적 균일한 밝기 특성을 나타내는가 등이었다. 이를 위하여, 실험 1에서는 광섬유사의 각도 변화와 길이에 따른 유연 광섬유의 밝기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실험 2에서는 실제 의류용 로고 디자인을 위한 지침을 도출하기 위해, 알파벳 대문자의 주요 형태소 등의 유연 광섬유 밝기 특성을 분석하였다. 두 개의 실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유연 광섬유로 구성된 의류용 로고 디자인을 위한 지침과 제한점을 도출하였다.

  • PDF

생태적 실내건축 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guideline of the Eco-Design in Interior Architecture)

  • 조현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호
    • /
    • pp.23-29
    • /
    • 2000
  • As the environmental paradigm is the major issue today, the guideline of the ecological design in the interior architectural field is needed. One on the knowledge necessary to plan the ecological interior architecture as a designer is the spectification related factors for planning, which should be applied in materialistic matters. In this paper, the knowledge of materials and products needed to design interior space considering the ecological factors is studied. And, a guideline for the eco-design is investigated for the expression of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perception.

  • PDF

소비자 감성에 기초한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 기획의 제시

  • 이주현;장진희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2권
    • /
    • pp.183-20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1) 경기용 여자 수영복의 디자인을 분석하여 대표적인 디자인 요소를 도출하고 2)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한 디자인 기획의 지침을 제시하며 3) 디자인기획의 지침을 토대로 하여 합리적인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오미겐타로의 디자인평가인자 이론을 개념적 모형으로 하여 경기용 여자 수영복의 이미지를 20개의 디자인 세부요소로 분해하여 디자인 특징을 기술하는 디자인 요소 분석 체계를 구성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디자인 요소 분석 체계를 보완하고 개발하였다. 경기용 여자 수영복디자인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의 주요 하위 차원으로는 참신함, 발랄함, 심플함, 강함 차원 등이 도출되었다. 또한 경기용 여자 수영복의 디자인 세부 요소들 중 로고와 색체에 관련된 디자인 세부 요소들은 선에 관련된 디자인 세부 요소들보다 감성에 더욱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기존의 스포츠 마케팅에서 로고를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해온 것은 타당함을 의미하였으며, 경기용 여자 수영복 디자인 기획에서는 로고 뿐 아니라 색채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의미 있는 감성 효과를 나타낸 디자인 세부 요소들은, 스포츠마케팅 및 디자인 마케팅 분야에서 경기용 수영복 디자인 제품에 대한 체계적인 소비자 평가 기준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사회복지 프로그램 구성요소개발활동의 실태 및 구성요소의 동질적인 범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 3단계 디자인 활동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Contextual Features of the Program Components during the Process of Social Work Program Design in the Social Service Agencies)

  • 서인해;공계순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3호
    • /
    • pp.237-269
    • /
    • 2013
  •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프로그램개발 활동에서 나타나는 프로그램 디자인작업의 구성요소의 특징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개별 구성요소의 디자인 작업정도가 프로그램 실행지침개발단계 및 수행 평가단계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으며, 동질적인 범주로 구성 및 변화되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분석틀은 프로그램 디자인 및 구성요소 개발과 관련된 이론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3 단계 디자인 활동' 모형 속에서 8개의 구성요소 디자인 범주에서 24개의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설정하여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전국의 복지관에서 외부 재정지원 단체의 공식적인 프로그램 공모사업에 지원 선정되어 성공적으로 수행된 실제 사회복지 프로그램 사례이며, 이에 대한 자료 수집은 해당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을 책임진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최종분석에는 195개의 사례가 포함되었으며, 통계분석방법으로는 기술 분석과 요인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2단계 실행지침개발단계에서의 프로그램 구성요소 디자인 작업은 생각보다 활발하였으나 3단계 프로그램 수행 평가과정단계에서의 구성요소 디자인 작업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프로그램 구성요소별로 디자인 활동의 정도는 편차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개입모델, 프로그램 직원교육, 개입윤리 및 가치, 개입절차 및 과정과 같은 항목은 실행지침 및 수행 평가과정 디자인활동 단계 모두에서 매우 낮은 수준의 디자인 활동을 보여주고 있었다. 프로그램 구성요소에 대한 동질적 범주성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로서는 이론적 배경에서 나온 8개의 디자인영역이 실행지침개발단계에서는 6개, 프로그램 수행 평가단계에서는 4개의 동질적인 범주(blocking)로 묶이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각 구성요소 디자인 범주의 세부적인 구성요소의 성격에서도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자들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학술적인 함의와 현장의 사회복지 구성요소 디자인 활동을 보다 체계화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이너의 인지적 모형에 대한 실증적 접근 - 디지털 나염 전용 캐드 설계를 위한 모티브 개발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Approach on Textile Designer's Mental Model focused on the Motif Development for designing CAD tool of Digital Textile Printing)

  • 송승근;이주현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0-166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오디오 프로토콜 분석 방식을 이용해서 텍스타일 디자인 프로세스 중 모티브 개발 단계에서 디지털 나염(DTP : Digital Textile Printing) 전용 캐드(CAD)와 같은 디자인 저작도구를 설계할 때 어떤 요소에 중점을 두고 개발 할 것인지에 대한 향상된 지침을 마련하는데 있다. 텍스타일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프로토콜 분석을 위해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디자인 행동 범주의 틀을 하향식(top-down)방식으로 설정하고 실제 행동 프로토콜 (action protocol) 분석을 통해 상향식(bottom-up)방식으로 세부 디자인 행동을 도출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은 선행연구의 건축디자인과는 다른 특징을 지니기 때문에 프로토콜 분석에서도 새로운 디자인 행동 범주(action category)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모델 휴먼 프로세서(Model Human Processor)이론을 근거로 디자인 행동을 모터 행동(motor action), 지각 행동(perceptual action), 인지 행동(cognitive action)의 세 가지 범주[4]로 나누었으며 텍스타일 디자인 프로세스에 적합한 코딩 스킴(coding scheme)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새로운 코딩 스킴을 토대로 디자인 저작도구에 대한 디자이너의 인지적 모형(Cognitive Model)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디자이너의 인지적 모형은 디지털 나염을 기반으로 하는 모티브 개발 단계에서 스케치와 렌더링에 대한 디자인 저작 도구의 향상된 설계지침 뿐만 아니라 방향도 시사하였다.

  • PDF

무장애 학교도서관 편의시설의 디자인 (Designing the Barrier-Free School Library Facilities)

  • 김선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21-237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교의 통합교육환경에 적합하도록 장애인 편의시설을 갖춘 무장애 학교도서관을 디자인하는 필요한 방향과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우리나라와 미국을 중심으로 공공기관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와 관련된 법률과 기준을 조사분석한 다음에, 학교도서관의 특성에 맞는 14가지의 편의시설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렇게 선정된 편의시설별로 무장애 학교도서관의 디자인 지침을 제시하였다.

  • PDF

통합놀이터 가이드라인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Inclusive Playground Guidelines)

  • 김연금;김하나;맹수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5-84
    • /
    • 2018
  • 통합놀이터는 장애인 전용 놀이터가 아닌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 모두가 함께 놀 수 있는 놀이터이며, 1960년대 미국에서 장애인들의 시민권이 추구되면서 이루어진 놀이터를 보는 사회적 인식 변화로 시작되었다. 이후 통합놀이터는 여러 나라에서 발전되었으며, 실천방식은 가이드라인의 형태로 정리되었다. 국내에서도 통합놀이터를 향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해외 사례나 가이드라인을 단편적으로 적용하는 데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나라의 통합놀이터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각의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통합놀이터의 개념, 디자인 원칙 및 세부 지침을 분석하여 국내 통합놀이터 디자인 가이드라인 작성을 위한 기초적 틀을 제공하려 한다.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목적은 구체적 설계 지침, 학문적 연구와 산업체 제품 연계, 추구 가치의 사회적 확산과 실현, 디자인 방법을 통한 추구 가치를 확장 등으로 나타났다. 목적에 따라 내용의 구성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공통적인 추구 가치는 장애인만을 위한 놀이터가 아닌 모두를 위한 놀이터로 몇몇 가이드라인에서는 이를 구현하는 방식으로 난이도를 언급하고 있다. 디자인 원칙을 살펴보았을 때 접근성 향상은 공통적이나 경우에 따라 안정성, 독립성, 편의성, 놀이성 같은 원칙을 더하고 있다. 모든 가이드라인이 디자인 지침을 제공하지 않으며, 디자인 지침을 제공하고 있더라도 구체성의 정도와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디자인 지침은 장애아동 놀이 지원과 통합놀이의 유도로 크게 구분할 수 있고, 장애아동 놀이지원은 '공간 및 시설물의 치수 및 재질 확보', '보조장치 추가', '새로운 시설물 디자인' 세 단계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다. 통합놀이 유도를 위한 디자인 지침은 '다양한 난이도와 교차 공간 조성', '협력하며 놀기의 조건 제공', '보호자의 효율적 지원을 위한 조건 제공'으로 요약된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환경에 집중하였으나, 사회적으로는 아동의 놀 권리 보장이 이루어져야 하고 장애인을 향한 사회적 태도는 배제에서 통합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또한 통합 놀이 프로그램의 개발 및 관련 종사자 양성, 놀이 환경의 유지 및 관리 등 다양한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에 통합놀이터 조성 이후의 운영과 관리를 위한 인적, 사회적 인프라 구축, 제도 정비를 다루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Academic Library Website)

  • 최상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37-155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웹사이트의 설계지침을 제공하는데 있다. 웹자원평가 기준과 도서관 웹사이트 설계 기준을 근거로 조사 기준을 설정하고, 이 기준을 적용하여 국내 23개 대학도서관 웹사이트를 권위, 정보내용, 기능성, 디자인 측면에서 조사 분석하였다. 국내 대학도서관 웹사이트는 메뉴체계, 접근편의성, 디자인 등의 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나타났으며, 연구 결과에서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설계 지침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