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자인스톰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C vs DC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6 s.157
    • /
    • pp.75-83
    • /
    • 2006
  • 사람들은 지하철에서 다운로드 받은 모바일게임을 휴대전화로 즐기며, 인터넷에서 방송중인 동영상UCC로 스포츠를 시청하기도 한다. 온라인 속 자신의 또 다른 분신인 아바타 꾸미기에 심혈을 기울이고, 휴대전화 MP3로 좋아하는 음악을 듣는다. 이렇듯 DC는 이제 우리네 일상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 잡으며 단기간에 국내 중추 산업으로 성장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수많은 국내 DC 기업들의 도전과 꿈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 이번 창간 특집 DC vs DC에 서는 때론 경쟁하면서 때론동반자로 DC 산업의 성장을 이끈 업체들을 비교∙분석했다.

  • PDF

A Study on the Extended Design of Intelligent Brick System Toy (인텔리전트 브릭 시스템 완구의 디자인 확장성에 관한 연구)

  • Kwon, Hyo-Jeong;Kim, Chee-Yo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69-75
    • /
    • 2006
  •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우리는 연령과 계층을 막론하고 실생활 측면에서 사용자 환경의 변화, 디자인 시각의 변화 등 많은 변화의 사례들을 인지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 유아들의 전유물이었던 완구 시장이 학생, 성인들 대상으로 마케팅이 확장되면서 기존에 없었던 보다 지능적인 시스템과 다양한 콘텐츠를 보유하고 혁신적인 인터페이스를 갖춘 디지털 인텔리전트 브릭(Digital Intelligent Brick)완구가 시장을 빠르게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처럼 아날로그 브릭에서 디지털 브릭으로의 새로운 변화를 주도한 대표적인 예로는 MIT와 공동연구로 개발된 로보틱스 인벤션 시스템(Robotics Invention System)인 레고(Lego)의 '마인드스톰'을 들 수 있다. 인텔리전트 브릭 시스템 완구는 Stud와 Tube의 Elements로 이루어진 기본적이고 반복적인 재료의 속성에서 시스템의 무한한 가변성과 사용자의 다양한 조건에 맞춘 인터페이스를 적용함으로써 창의적 결과물로의 확장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중심 콘텐츠 속성을 지닌 인텔리전트 브릭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구조 가변성 및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확장성, 그리고 사용자 인터랙션 측면에 관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인텔리전트 브릭 시스템이 향후 디지털 디자인 산업의 다양한 측면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초를 제시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고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 Fun Factor in the MOBA Game Genre (MOBA 게임 장르에서의 캐릭터 재미 요소에 관한 연구)

  • Hong, Min-Gi;Park, Jong-Beom;Kim, Hyo-Na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209-212
    • /
    • 2020
  • 게임에서의 캐릭터는 플레이어와 게임을 연결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더 나아가 게임의 재미를 느끼는 데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대표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MOBA 장르의 게임인 리그 오브 레전드, 오버워치,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사이퍼즈 총 4개 게임의 캐릭터와 역할에 대한 재미를 분석하여 공통적인 재미 요소를 정리하고 설문 조사를 통해 유저들의 선호도를 파악하여 앞으로 게임 캐릭터 기획 제작에 대해 도움을 주고자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the reading assistance system using mobile device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독서 보조 시스템 구현)

  • Youn, Je-sik;Seo, Eun-Hee;Park, S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317-319
    • /
    • 2009
  • The physical disabled are using various types of assistive devices and reading assistance device is have been researched and development. After all reading assistance device which being marketed present for the physical disabled's features is simply limited to turing the page. In this paper, Implemented prototype model of the read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physical disabled that is have designed to modify to improve the success rate of turing page and conjunction with mobile devices such as PDA to provide more convenient and useful features. And not only for the disabled then take a look at Universal design concept of view of the tool can be useful the public als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