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자인선

Search Result 449,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사임당 화장품 포장용기 디자인

  • 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108
    • /
    • pp.190-193
    • /
    • 2002
  • ㈜사임당 화장품은 1995년 자연사랑, 고객만족, 자아실현을 3대 사훈으로 최고의 품질을 만들겠다는 각오와 고객 만족의 실현에 중점을 두고 설립된 한방전문 화장품 회사이다. 여성용 중저가 브랜드인 로생시리즈 16품목, 남성용 브랜드인 선시리즈 2품목과 정일품, 여성용 기능성 브랜드인 사로매시리즈와 사임당 시리즈 15품목 등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본지에서는 사임당 화장품의 화장품 용기디자인 변천사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Stretch Aesthetic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현대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스트레치의 미(美)연구)

  • Cho, Kyou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46
    • /
    • pp.67-88
    • /
    • 1999
  • 텍스타일의 발전에 있어서 진보적 기술혁신은 합성섬유의 잠재력을 높이는데 큰 촉매 역할을 해왔는데 그 중 가장 두드러지게 성공적인 분야는 바로 스트레치 직물 분야이다. 스트레치는 그자체의 다양한 종류와 변화무쌍한 특성과 함께 스포츠 웨어, 캐주얼웨어 뿐 아니라 최근에는 정장류 남성복에 이르기 까지 그 사용범위와 미적 표현이 크게 증가되고 다양해졌다. 스트레치의 미는 기능적이고 편안하면서도 직물자체의 유동적인 특성과 함께 인체와 더불어 표출되는시각적 이미지가 현대미에 새로운 개념을 더하고있다는 데에 그 가치가 있다. 본 연구목적은 현대 패션디자인에 표현되어진 스트레치의 미적 개념과 가치가 무엇인가를 발견하는데 있다. 특히 섬유과학기술의 진보로 인한 스트레치 직물의 다양함과 그에대한 디자이너들의 패션철학과 디자인의 다양한 변화를 강조하고 나아가 다음세기를 위한 보다 나은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같다. 1, 스트레치의 가장 두드러지는 현대적 미는 편안함과 기능성에 있다. 특히 스트레치 직물 자체가 더욱 가벼워지고 강해지면서 현대생활과 미래생활에서 가장 크게 중시되고 있는 comfortable & functional 의 이상적인 개념을 충적시켜 주고 있다. 2. 스트레치 직물의 유동적특징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난 스타일은 바디스트인데 이것은 스트레치 자체의 신축성이 기본적으로 인체곡선 위에서 표현되어진 것으로서 거의 비슷한 스타일의 uniformity 현상을 낳게 되었고 또한 인체선의 드러남으로 인해 'healthy'이미지 추구라는 현대미의 새로운 개념을 가져왔다. 2. 더욱 정교해진 스트레치는 결국 transparent look을 낳았고 또한 비치는 직물들을 겹쳐입는 layering 현상을 가져왔는데 이것은 현대적 순수미와 여성미가 시감각적 이미지로 표현되어진 것이라 할수 있다. 4. 스트레치가 되므로서 생기는 긴장은 다른 디자인 요소들에 대해서는 극히 단순한 것을 요구하면서 결국 simplicity를 동반하게 되었다. 5. 스트레치는 디자인 구성 요소들의 보다 작은 개념을 낳았는데 즉 더욱 좁아진 형과 작아진 사이즈 없어지거나 줄어든 다트와 구성선 그리고 그에따라 줄어든 공정과 낮아진 가격이다. 이 개념은 현대미의 minimalism의 한 현상으로 해석되어지며 스트레치 직물은 여기에 가장 부합되는 소재가 되었다. 6. 스트레치의 시각적 이미지는 그자체가 'easy' 'free'느낌과 함께 보편적이면서 미래적이다. 이상으로 볼 때 미래의 패션은 보다 진보적인 섬유과학발전에 힘입어 21세기의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 할 수 있는 합리적이면서도 미적 가치가 내포된 인간에게 보다 친숙한 디자인으로 전개되리라고 생각되어진다.

  • PDF

User Interface Development for PCS Phone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한 개발 사례 (PCS Phone을 사례로))

  • 홍군선;한경하;이동연;박영목;신창범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1999.05a
    • /
    • pp.10-11
    • /
    • 1999
  •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를 설계한다고 하면 화면의 그래픽을 아름답게 하거나 기능을 단순화하는 작업이라는 인식을 가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인터페이스를 설계한다고 하는 것은 '사용함'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자제품 등의 '사용함'의 설계는 기능의 구조, 조작의 흐름, 조작의 방법, 피드백, 레이아웃 및 그래픽 등을 모두 포함한다. (중략)

  • PDF

A case study on usability analysis a car interior I (자동차 인테리어의 사용성 분석에 관한 사례연구I ­운전석을 중심으로­)

  • 양수선;김병길;김철수;박영목;박종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2000.11a
    • /
    • pp.8-9
    • /
    • 2000
  • 기존의 자동차 인테리어 디자인은 인간공학적이나 스타일링을 위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운전자의 '사용성' 이라는 측면에서 운전부를 중심으로 운행에 관계된 이그니션콘트롤(ignition control), 멀티펑션스위치(multi function switch)와 차량의 상태를 알려주는 클러스터게이지(cluster gauge)를 중심으로 조사해 보았다. (중략)

  • PDF

Study on the modern design application of traditional formative beauty of Korea - Focused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lines and patterns observed in the necessities of Joseon society - (한국 전통 조형미의 현대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 조선 사회의 실용품에 나타나는 선(線)과 문양(文樣)의 조형적 특성을 중심으로 -)

  • Jung, Min-hee;Kim, So-hyung;Yoon, Se-hwan
    •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 /
    • v.59
    • /
    • pp.298-308
    • /
    • 2017
  • In the modern society in which globalization is ongoing in the overall culture social culture,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by each country around the world in order to search for the distinctive cultural identity and creativit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Korean' tradition, South Korea is also actively engaged in researches to develop design utilizing it and to apply it in real life. Here, developing Korean design does not simply refer to borrowing and imitating the traditional form or color but refers to generating a new, original and ethnic aesthetic consciousness that conform to the era that we are currently living in based on the unique ideology and sentiment inherent in its formativeness. Despite the fact that research on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s continu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considered that such phenomenon continues to take place because th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Korean culture identity is still insufficient. There, research on various fields based on new understanding with regards to our culture and the development of design utilizing it is in dire ne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aid usage form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possibility of modern application focused on the lines and patterns which are most frequently mentioned when discussing about the Korean traditional formative beauty of Korea.

선과 면, 그리고 빛의 조화를 꿈꾸다-건축 & 인테리어 디자이너 김종호

  • Lee, Geum-Hui
    • 주택과사람들
    • /
    • s.201
    • /
    • pp.70-71
    • /
    • 2007
  • 철저한 시장 조사와 트렌드 스터디를 통해 유니트한 공간을 창조해내는 건축 & 인테리어 디자이너 김종호. 국내 최고가로 평가받고 있는 현대산업개발의 삼성동 I-Park 펜트하우스, 호텔에 새로운 공간 개념을 도입한 Park Hyatt Hotel, 서초 아크로비스타 등이 모두 그의 손길을 거쳐 탄생되었다. 선과 면, 빛을 통해 공간을 그려내는 (주)디자인스튜디오의 김종호를 만나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