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자인선호

Search Result 83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Consumers′ Preference for the Formative Images of Products (제품의 조형 이미지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 분석)

  • 김관배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Design Studies Conference
    • /
    • 1999.05a
    • /
    • pp.58-59
    • /
    • 1999
  • 오늘날 소비자에게 있어 제품의 이미지는 제품을 선택하는 중요 기준이 되고 있으며, 기업의 제품개발에 있어서도 제품의 이미지는 품질과 성능 못지 않게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디자이너의 입장에서 성공적인 제품디자인의 개발을 위해서는 소비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 이미지를 디자인에 충분히 반영해야 할 것이다. (중략)

  • PDF

Effects of Expression in Packing Designs of Drinks on Consumers' Preference for Brands - Focusing on expression of ingredients in juice (Realistic : Unrealistic) - (음료의 포장디자인 표현방법이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과즙 음료 원재료의 표현방법 (사실적 표현 : 비사실적 표현)을 중심으로 -)

  • Shin, Hae-Yong;Kim, Duk-Yong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8 no.2 s.60
    • /
    • pp.69-78
    • /
    • 2005
  • In order to attract consumers in the advertisement media and large discount marts, there needs to be a strong brandimage with a competitive and distinctive packing design. This stud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acking designs and investigated consumers' preference for brands depending on packing designs of drinks in order to draw out consumers'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brand. The consumers feel that there are more fruit content in the drink that expresses its ingredients realistically than the drink that expresses its ingredients unrealistically on the packing design. The study also examined the consumers' preference for brands depending on their interests in well-being and the expression in the packing designs. In result,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udy investigated the most preferred container for drinks was glass bottles and the most preferred orange juice was the fruit 100% content. Therefore, the expressions of ingredients of drinks and their interests in well-being were the difference in consumers' preference in brands and purchase intention. It had effects on the fruit content.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preference and aesthetic elements, and the importance of aesthetic elements in product design - With relevance to Electrical Home Appliances - (제품디자인에 있어 사용자 선호와 심미적 영향요소의 상호관계와 디자인 고려 요소에 관한 연구 - 가전제품을 중심으로 -)

  • Jeong, Su-Kyoung;Hong, Jung-Pyo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8 no.2 s.60
    • /
    • pp.123-132
    • /
    • 2005
  • In the highly developing industrial society, design has been playing the central role in the managerial strategy of a company and has been one of the central agendas in determining the economical competence of a country, and has also been regarded as a means to acquire sustainable superior competence. Thus, these trends suggest that the aesthetic value of a product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its technological function.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oretically esthetic factors influencing the preference and the evaluation of a product and made a list of eight esthetic factors based on various referential studies which include simplicity, balance, unity, rhythm, style, novelty, typicality, and proportion. We investigated the esthetic factors affecting consumers preferences and the basis for evaluating a product. Conclusively, this study aimed at providing materials for developing product design by presenting an esthetic guideline and to put these materials to practical use. The study also investigated other considered elements classified by manufactures and the importance of esthetic factors and its influence on consumer tastes.

  • PDF

한국 여대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복식문양 선호 특성

  • 남기선;한명숙
    • Proceedings of the Costume Culture Conference
    • /
    • 2003.04a
    • /
    • pp.37-39
    • /
    • 200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하고 있는 복식문양의 이미지 차원이 어떠한 구조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MBTI 성격유형에 따라서 선호하는 복식스타일의 문양을 파악하고, 또한 그러한 선천적인 성격유형에 따라서 선호하는 복식 문양의 디자인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범위에 포함하였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Domestic Older People's Color Preference for Silver Product (국내노인의 실버용품 색채선호도에 관한 연구)

  • Lee, Mi-Ran;Lee, J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79-18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고령화 시대에 발맞춰 실버산업의 한 분야인 실버용품 디자인 시 계획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인 색채에 대해 다루었다. 현재 국내 노인 관련 색채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실버용품을 위한 색채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버용품 사용주체인 국내 60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색채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향후 실버용품 색채 계획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실버용품의 색상 및 색의 3속성(색상, 명도, 채도)에 대한 노인들의 심리적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남녀 모두 명도가 높은 밝은 색상을 선호하였고, 여성의 경우 무려 89%가 수수한 무채색 보다는 원색인 화려한 색상을 선호하였으며, 남자들 또한 52%가 화려한 색을 선호하였다. 이 결과는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실버용품이 무채색인 흰색, 회색, 검정색이 대부분인 것을 감안하면 실버용품의 색채계획이 노인의 실제 선호색과는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사된 색채선호도는 향후 실버용품 색채계획 시 주요한 고려사항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Influence of Aesthetic Elements on Preference to Product Aesthetics (제품 심미성에 있어서 선호도에 대한 심미적 요소의 영향)

  • 형성은;오정화;홍정표;양종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85-188
    • /
    • 1999
  • 디자인에 관련된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품 심미성이 소비자 선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부인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자인 분야에 있어서 제품 심미성에 관한 연구는 아주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그것은 제품 심미성에 관한 연구가 제품의 심미적 요소 평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주고 또한 제품 심미성이 소비자 선호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나름대로 지대한 공헌들이 있었지만 제품 심미성을 어떻게 평가하고 그것들이 소비자 선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들은 아직 형성단계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품의 어떤 측면들이 소비자들로 하여금 선호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되는 지를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프레임 ?을 제공하는 것이다.

  • PDF

Assumption based on Recommending Harmonious Colors (예측기반 색 조화 추천방안)

  • Park, Eun-Young;Park,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478-1480
    • /
    • 2011
  • 경제가 발전할수록 디자인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디자인을 이루는 여러 요소들 가운데 색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은 매우 높다. 하지만 일반인은 조화로운 색을 선택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들은 다양한 색상 추천 방법을 제안하고 있지만 개인이 어떠한 배색을 더 선호하는 가에 관한 사용자 선호도는 고려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협업필터링의 유사도 측정 방법을 컬러조화 추천 방법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성향을 고려한 맞춤형 색 조화 추천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색상별로 선호하는 색 조화 간의 유사도를 가중치로 사용하기 때문에 새로운 사용자의 선호도 예측 및 추천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향후 색과 조화를 선정하는 기본 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저장된 선호도는 유사한 성향을 지닌 사용자의 선호도 예측 및 각종 제품 마케팅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A Study on Leggings for Athletic Leisure (애슬레저용 레깅스에 관한 연구)

  • Cha, Su-J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323-324
    • /
    • 2021
  • 본 연구는 애슬레저 레깅스의 주 소비층인 20대 여성의 체형에 적합한 레깅스 패턴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연구로,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레깅스의 착용실태를 알아보고 애슬레저 레깅스의 선호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대 여대생 18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레깅스는 운동용으로 착용하고 검은색의 발목까지 오는 밀착되는 기본 레깅스 디자인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며, Y존 부위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동작 시에는 허리가 노출되는 것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았다. 선호 브랜드는 아디다스가 가장 많았고 레깅스에 몸매 보정 기능이 추가되기를 원하였다. 선호하는 브랜드를 구매했을 경우 디자인, 치수, 소재, 활동성, 내구성 등 대부분 항목에서 만족도가 높았다. 원단을 고려하여 레깅스를 구매한 경우에는 봉제상태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브랜드를 고려하여 구매한 경우 가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 주의하여야 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좀 더 포괄적인 연령대와 남성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study on mobile web design for efficient delivery of information (효율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모바일 웹 디자인에 관한 연구)

  • Bae, Yoon-Su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2 no.3
    • /
    • pp.263-270
    • /
    • 2011
  • The importance of effective delivery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web is increasing in Korea, due to the growing number of smart-phone users. In this study, I took a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devices and the mobile web, and after researching Korea's portal websites' mobile web designs, we figured out the users' preferences of mobile web designs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To provide compressed information on a small screen, it is ideal for significant contents to show up in the state that does not require scrolling. Users preferred compact and neat designs, and menus that were made with icons that are easy to touch with fingers, in the mobile web. When receiving delivered information, users preferred not only texts but texts that were provided together with photograph images. If usability evaluations and examination of preferences are achieved together, I think it will serve as a mobile web guideline that enables efficient delivery of information in the mobile web.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Factor Influencing Robot Design's Preference Response (로봇디자인에 대한 선호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조형요소의 특성)

  • Heo, Seong-Cheol;Jung, Jung-Pil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1 no.4
    • /
    • pp.511-520
    • /
    • 2008
  • The fundamental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combined relations of formative element factors that compose robot's face based on a result of preference response from robot's design. Also, in order to improve preference from the analysis result, this study intended to inquire into possibilities of suggesting design guideline. For these, pictures of 27 different kinds of robot face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stimuli, and experiments of preference response and association response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s, various characteristics were achieved such as robot's eye shape having greater influences than facial structure, etc. Based on the result, formative element factor characteristics that could positively influence preference response on robot's face could be drawn and a basic design guideline could also be suggested. An eye should be oval so that the length-to-width ratio may be 1.67:1. The distance between both eyes should be 35% of the facial width. Also, eyes should be above the central latitude of the face so that they may be visually stable. It is advisable to round the face generally. Eyes should be harmonious with the face so that the robot may seem cute and charm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