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스플레이 특성화

Search Result 22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반도체·디스플레이장비 창의인재양성 사업단 소개

  • Won, Yun-Jae;Jang, Yeong-Cheol;Seong, Sang-Man
    • Journal of the KSME
    • /
    • v.57 no.4
    • /
    • pp.54-58
    • /
    • 2017
  • 이 글에서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메카트로닉스공학부에서 반도체 디스플레이장비 장비분야의 특성화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운영하는 지방대학 특성화사업(CK-I) 반도체 디스플레이장비 창의인재양성 사업단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Color matching between monitor and mobile display device using improved S-curve model and RGB color LUT (개선된 S-curve 모델과 RGB 칼라 LUT를 이용한 모니터와 모바일 디스플레이 장치간 색 정합)

  • 박기현;이명영;이철희;하영호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1 no.6
    • /
    • pp.33-41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a color matching 3D look-up table simplifying the complex color matching procedure between a monitor and a mobile display device. In other to perform color matching, it is necessary to process color of image in the device independent color space like CIEXYZ or CIELAB. To obtain the data of the device independent color space from that of the device dependent RGB color space, we must perform display characterizations. LCD characterization error using S-curve model is larger than tolerance error since LCD is more nonlinear than CRT. This paper improves the S-curve model to have smaller characterization error than tolerance error using the electro-optical transfer functions of X, Y, and Z value. We obtained images having higher color fidelity on mobile display devices through color matching experiments between monitor and mobile display devices.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s, we concluded that the color matching look-up table with 64(4${\times}$4${\times}$4) is the smallest size allowing characterization error to be acceptable.

Inverse Characterization Method Based on 9 Channel Tone Response Curves for Display Device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9개 채널 계조 응답 곡선에 기반한 역 특성화 기법)

  • Im, Hye-Bong;Cho, Yang-Ho;Park, Kee-Hyon;Ha, Yeong-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2 no.5 s.305
    • /
    • pp.85-94
    • /
    • 2005
  • Display characterization, deriv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put values and the corresponding CIEXYZ tri-stimulus values, is important to reproduce the accurate color in color management system. The relationship can be estimated from the nine channel TRCs(tone response curves) and the result of this characterization method is better than that of using three channel TRCs. However, the inverse display characterization using nine channel TRCs cannot be directly inverted because the CIEXYZ values corresponding to each of RGB values are inseparable. Accordingly, inverse display characterization is usually implemented by the 3D-LUT (look-up table) method. Although the result of 3B-LUT is accurate, creating the 3D-LUT requires a lot of memory space and considerable amount of measurements. Therefore the inverse characterization method is proposed based on the modeling of channel-dependent values and nine channel inverse process based on the GOG(gain, offset gamma) model. The proposed method enhances the accuracy of display characterization and reduces the complexity and the number of measurements data required for accuracy in 3-D LUT.

Characterization Method and Color Matching Technology for Mobile Display (모바일 디스플레이를 위한 특성화 방법과 색 정합 기술)

  • Park Kee-Hyun;Ha Yeong-Ho;Lee Cheol-Hee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9 no.4
    • /
    • pp.434-442
    • /
    • 2006
  • This paper proposes a color-matching 3D look-up table that simplifies the complex color-matching procedure between a monitor and a mobile display device, where the image colors are processed in a device-independent color space, such as CIEXYZ or CIELAB, and gamut mapping performed to compensate the gamut difference. The transform from a device-dependent RGB color space to a device-independent color space is implemented by performing display characterization. The mobile LCD characterization error using the S-curve model is larger than the tolerance error since the mobile LCD has the channel-chromaticity-inconstancy and channel-dependence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we reduced the characterization error using the electro-optical transfer functions of X, Y, and Z value for R, G, B, C, M, Y, K components.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d that 64 ($4{\times}4{\times}4$) was the smallest size of color-matching look-up table that could produce an image with an acceptable reproduction error, based on a comparison of color-matched images resulting from the proposed color-matching look-up table and complex step-by-step color-matching procedures.

  • PDF

Gamut Mapping and Extension Method in the xy Chromaticity Diagram for Various Display Devices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xy 색도도상에서의 색역 사상 및 확장 기법)

  • Cho Yang-Ho;Kwon Oh-Seol;Son Chang-Hwan;Park Tae-Yong;Ha Yeong-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3 no.1 s.307
    • /
    • pp.45-54
    • /
    • 2006
  • This paper proposed color matching technique, including display characterization, chromatic adaptation model, and gamut mapping and extension, to generate consistent colors for the same input signal in each display device. It is necessary to characteri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put and output colors for display device, to apply chromatic adaptation model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reference white, and to compensate for the gamut which display devices can represent for reproducing consistent colors on DTV display devices. In this paper, 9 channel-independent GOG model, which is improved from conventional 3 channel GOG(gain, offset gamma) model, is used to consider channel interaction and enhance the modeling accuracy. Then, the input images have to be adjusted to compensate for the limited gamut of each display device. We proposed the gamut mapping and extension method, preserving lightness and hue of an original image and enhancing the saturation of an original image in xy chromaticity diagram. Since the hmm visual system is more sensitive to lightness and hue, these values are maintained as the values of input signal, and the enhancement of saturation is changed to the ratio of input and output gamut. Also the xy chromaticity diagram is effective to reduce the complexity of establishing gamut boundary and the process of reproducing moving-pictures in DTV display devices. As a result, reproducing accurate colors can be implemented when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LCD and PDP display devices

Mobile LCD Characterization using XYZ Electro-Optical Transfer Functions for RGBCMYK Components (RGBCMYK 성분의 XYZ 전광 변환 함수를 이용한 모바일 LCD의 특성화)

  • Park, Kee-Hyon;Kwon, Oh-Seol;Son, Chang-Hwan;Ha, Yeong-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3 no.6 s.312
    • /
    • pp.1-10
    • /
    • 2006
  • Most display characterization methods, such as the gain-offset-gamma (GOG) model and S-curve model, generally assume that displays have two fundamental characteristics, channel -chromaticity-constancy and channel-independence. However, these assumptions are not so applicable in the case of liquid crystal (LC)-based mobile displays. Accordingly, modifications are required to enable the application of conventional display characterization methods to mobile display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modeling of distinct EOTFs in terms of the X, Y, and Z values for each channel to consider the differences among the EOTFs resulting from channel-chromaticity-inconstancy. In addition, to overcome the poor additivity property among the channels due to channel-interaction, the proposed method also models and uses the EOTFs of the X, Y, and Z values for the inter-channel components cyan, magenta, yellow, and gray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at the mobile display color values predicted by the proposed characterization method are more accurate than those predicted by other characterization methods due to considering the channel-chromaticity-inconstancy and/or channel-dependence of the display.

튜명전자소자와 TCO 기술

  • Jeong, U-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7-7
    • /
    • 2010
  • 튜명전극소재의 개발로 21세기에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응용제품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특히, 광학적, 전기적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디스플레이, 터치패널 및 솔라셀 등에서 투명전극의 역할은 절대적이다. 한편, 최근에 투명전극소지에 이어 투명산화물반도체 소재가 디스플레이구동소자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즉, 산화물반도체 기반의 트랜지스터는 TFT-LCD의 대형화 및 고속화, AMOLED의 고집적화를 비롯하여, 저온 공정용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구동소자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Tutorial에서는 ETRI에서 개발해온 투명 산화물 전자소자와 그와 관련된 TCO 기술을 집중적으로 다룰 것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Schottky Barrier Thin Film Transistors (SB-TFTs) with PtSi Source/Drain on glass substrate

  • O, Jun-Seok;Jo, W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199-199
    • /
    • 2010
  •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 산업의 발전에 따라 능동행렬 액정 표시 소자 (AMOLED : Active Matrix Organic Liquid Crystral Display) 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있다. 기존의 TFT-LCD에 사용되는 a-Si:H는 균일도가 좋지만 전기적인 스트레스에 의해 쉽게 열화되고 낮은 이동도는 갖는 단점이 있으며, ELA (Eximer Laser Annealing) 결정화 poly-Si은 전기적인 특성은 좋지만 uniformity가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AMOLED 및 대면적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a-Si:H TFT보다 좋은 전기적인 특성을 보이며 ELA 결정화 poly-Si TFT보다 좋은 uniformity를 갖는 SPC (Solid Phase Crystallization) poly-Si TFT가 주목을 받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적용을 위해서 glass 기판위에 증착된 a-Si을 SPC 로 결정화 시킨 후 TFT를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또한 TFT 형성시에 저온공정을 실현하기 위해서 소스/드레인 영역에 실리사이드를 형성시켰다. 소자 제작시의 최고온도는 $500^{\circ}C$ 이하에서 공정을 진행하는 저온 공정을 실현하였다. Glass 기판위에 a-Si이 80 nm 증착된 기판을 퍼니스에서 24시간 동안 N2 분위기로 약 $600^{\circ}C$ 에서 결정화를 진행하였다. 노광공정을 통하여 Active 영역을 형성시키고 E-beam evaporator를 이용하여 약 70 nm 의 Pt를 증착시킨 후, 소스와 드레인 영역의 실리사이드 형성은 N2 분위기에서 $450^{\circ}C$, $500^{\circ}C$, $550^{\circ}C$에서 열처리를 통하여 형성하였다. 게이트 절연막은 스퍼터링을 이용하여 SiO2를 약 15 nm 의 두께로 증착하였다. 게이트 전극의 형성을 위하여 E-beam evaporator 을 이용하여 약 150 nm 두께의 알루미늄을 증착하고 노광공정을 통하여 게이트 영역을 형성 후 에 $450^{\circ}C$, H2/N2 분위기에서 약 30분 동안 forming gas annealing (FGA)을 실시하였다. 제작된 소자는 실리사이드 형성 온도에 따라서 각각 다른 특성을 보였으며 $450^{\circ}C$에서 실리사이드를 형성시킨 소자는 on currnet와 SS (Subthreshold Swing)이 가장 낮은것을 확인하였다. $500^{\circ}C$$550^{\circ}C$에서 실리사이드를 형성시킨 소자는 거의 동일한 on current와 SS값을 나타냈다. 이로써 glass 기판위의 SB-TFT 제작 시 실리사이드 형성의 최적온도는 $500^{\circ}C$로 생각되어 진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SPC 결정화 방법을 이용하여 SB-TFT를 성공적으로 제작 및 평가하였고,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경우 우수한 특성이 기대된다.

  • PDF

Fabrication of nano texturing on the polymer surface for transmittance property (폴리머 기판상 나노 구조 형성을 통한 광특성 제어 연구)

  • Byeon, Eun-Yeon;Lee, Seung-Hun;Kim, Do-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7.05a
    • /
    • pp.87.2-87.2
    • /
    • 2017
  • 폴리머 필름에 표면처리 및 코팅, 필름의 다층화, 원료 소재의 하이브리드화 등을 통해서 기능성을 부여한 기능성 고분자 필름은 디스플레이, 반도체, 자동차, 에너지, 포장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기능성 고분자 필름의 산업화를 위해 대면적 연속 공정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roll to roll 시스템을 이용하여 폴리머 기판상 나노 구조 형성을 위한 공정연구를 수행하였다. 재료연구소 자체 개발 선형이온소스는 0.25 keV에서 1 keV까지 에너지 조절이 용이하며, 이온빔 조사를 통해서 PET, PMMA, PDMS 등 다양한 폴리머 기판의 표면에 나노 구조화 공정을 개발하였다. 표면 나노 구조 형성을 통해서 폴리머 필름의 투과도와 Haze 제어가 가능하며, 공정 기술을 통해 저반사 및 고굴절 특성의 기능성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나노 구조화 필름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광추출효율 향상을 위한 광추출층, 저반사 디스플레이 패널 필름 등에 적용 가능한 기술이다.

  • PDF

Evaluation of the Display Quality of Mobile Phone Considering the User's JND(Just Noticeable Difference) of Visual Elements (시각 요소의 JND(Just Noticeable Difference)를 고려한 디스플레이 화질의 선호도 평가 방안)

  • Kim, Hyung-Sup;Suh, Won-Young;Kim, In-Ki;Yun, Myung-H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135-140
    • /
    • 2008
  • 최근 관련 기술의 발전과 디지털 컨버전스의 가속화로 모바일 제품이 소형화, 다기능화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높은 사양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고 있으며, 많은 업체들이 고화질,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의 개발에 경쟁적으로 매진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인지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고해상도 경쟁은 생산비용만 높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디스플레이의 설계 요소별 선호도를 분석하고, 사람이 탐지할 수 있는 두 자극 간의 최소한의 차이역(difference threshold)인 JND(Just Noticeable Difference)을 활용하여, 설계 요소의 인지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제품에 주로 사용되는 TFT-LCD 를 평가 대상으로, 30 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JND 측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디스플레이에 대한 주요 설계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한 모바일 제품의 디스플레이 설계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