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디스프로슘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Double Salt Precipitation Behavior of Rare Earth by Sodium Sulfate in Sulfuric Liquor of Waste Permanent Magnet Scrap (폐 영구자석 스크랩 황산침출용액으로부터 황산나트륨에 의한 희토류 원소 복염침전 거동 고찰)

  • Yoon, Ho-Sung;Kim, Chul-Joo;Chung, Kyeong Woo;Kim, Ji-Hye;Lee, Eun-Ji;Yoo, Seung-Joon
    • Resources Recycling
    • /
    • v.26 no.5
    • /
    • pp.39-47
    • /
    • 2017
  • In this study, the precipitation of rare earth-sodium sulfate with sodium sulfate was conducted in order to separate rare earth from Fe in rare earth sulfate solution. Neodymium (Nd) was easily precipitated as Nd-sulfate salt with sodium sulfate, on the other hand, excessive sodium sulfate was needed for the precipitation of Dy-sulfate salt. Also neodymium not only promoted the precipitation of dysprosium sulfate salt but also increased recovery of dysprosium sulfate salt in sulfuric acid solution. At the condition of $60^{\circ}C$ precipitation temperature, 3 h reaction time, 7 equivalents sodium sulfate, the recovery of neodymium and dysprosium sulfate salt was 99.7% and 94.3% respectively from the sulfuric acid solution containing Nd of 23.39 mg/ml and Dy of 8.67 mg/ml. Lastly, from the results of separation of Dy to Nd by the method of sulfate double salt, the effect of salting out with NaCl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grade of Dy, and 98.7% of Dy grade could be obtained in this study.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Critical Raw Materials (신재생에너지와 Critical Raw Materials)

  • Kim, Yujeong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11a
    • /
    • pp.155-155
    • /
    • 2011
  • 신재생에너지 수요가 확대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관련 제품에 소요되는 물질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다. 이들 물질은 공급리스크가 존재하는 희유금속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 등의 high tech 기술 확대로 인한 희유금속의 수요 및 공급을 전망하고 있는 미국의 critical raw material 관리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은 2010년 12월 미국 에너지성(DOE : Department of Energy)에서 위기 물질 전략(Critical Materials Strategy)에 관한 리포트를 공표하였다. 클린 에너지 기술 4개 분야(영구자석, 선진 전지, 태양전지 박막, 형광 물질)에서 핵심이 되는 물질(희유금속 등)의 수급 불균형이 일어날 가능성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여 리스크 평가하여 단기, 중단기로 구분하여 위기물질을 선정하였다. 클린 에너지 기술 4개 분야에서 핵심이 되는 물질(네오디움, 디스프로슘, 코발트, 리튬, 랜턴, 세륨, 테룰, 인듐, 갈륨, 유로피움, 테르비움, 이트륨)의 12광종 수급을 2025년까지 전망한 결과 전체적으로 단기(2010년~2015년)보다 중기(2015년~2025년)에 공급 부족이 확대한다고 예측되었다. 단기적으로는 인듐이 약간 부족하는 것 외에 디스프로슘과 이트륨에 관해서도 공급 부족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중기적으로는 코발트(전지 기술에 사용)와 유로피움(고효율 조명용의 형광 물질에 사용) 외 대상이 된 다른 모든 물질은 공급 부족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를 종합하여 단기적으로는 디스프리슘, 유로피움, 인듐, 테르븀, 네오디움, 이트륨 등이, 중기적으로는 디스프리슘, 유로피움, 테르븀, 네오디움, 이트륨 등이 위기물질(Critical Material)로 분석되었다. 에너지성은 위기물질을 공급원다각화, 대체물질개발, 리유즈, 리사이클링 등을 국제적 파트너와 함께 추진하여 리스크를 관리할 것이며, 2011년까지 최신정보를 구축하여 위기물질 전략을 재설정할 예정이다. 체계적인 위기물질 선정 및 관리전략 등을 참조하고, 신재생에너지기술 변화에 따른 원재료의 중요성 및 리스크 관리현황을 기초로 우리나라에 적합한 위기관리 물질 선정 및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Studies on Preparation of Dysprosium-165 Metallic Macroaggregates for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용 디스프로슘-165금속 응집입자($^{165}Dy-MA$)의 제조에 관한 연구)

  • Park, Kyung-Bae;Kim, Jae-Rok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28 no.2
    • /
    • pp.227-233
    • /
    • 1994
  • Irradiation of 20mg of natural $Dy(NO_3)_3$ in a neutron flux of $2{\times}10^{13}n/cm^2$ sec for 4 hours gave 5.76 Ci of $^{165}Dy$(specific activity, 610mCi/mg Dy) with high radionuclidic purity (>99.9 %). $^{165}Dy-MA$ was prepared in a quantitative yield by reacting the aqueous solution of $^{165}Dy(NO_3)_3$ with sodium borohydride solution in 0.2N NaOH. Coulter particle analyzer exhibited mean particle size of $2.6{\mu}m$ (range $1{\sim}6{\mu}m$), Even though the $^{165}Dy-MA$ suspension in saline was stored at $37^{\circ}C$ for 24 hours or autoclaved at $121^{\circ}C$ for 30minute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particle size and leakage problem indicating the prepared $^{165}Dy-MA$ is sufficiently stable. In-vivo reten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by administering $^{165}Dy-MA$ into the knee joint space of normal rabbits. Gamma camera analysis showed high retention in joint space of normal rabbits. Gamma camera analysis showed high retention in joint space even at 24 hours after administration (> 99.9%). The ease with which the $^{165}Dy-MA$ can be made in the narrow size range and their high invitro and vivo stability make them attractive agents for radiation synovectomy.

  • PDF

Luminescence Properties of $BaNb2O6:RE^{3+}$(RE=Eu, Dy) Phosphor Powders

  • Gang, Dae-Min;Jo, Si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172-172
    • /
    • 2013
  • 최근에 디스프로슘 이온이 도핑된 형광체의 백색 발광 현상 때문에 백색 발광 소재의 제조에 관한 연구가 상당한 관심을 끌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u^{3+}$$Dy^{3+}$ 이온의 몰 비를 변화시키면서 $BaNb_2O_6:RE^{3+}$ (RE=Eu, Dy) 형광체 분말을 합성한 결과를 보고한다. 특히 활성제 이온인 $Eu^{3+}$$Dy^{3+}$ 이온의 몰 비에 따른 $BaNb_2O_6$ 형광체 분말의 결정 구조, 입자의 모양과 크기, 흡광과 발광 스펙트럼의 변화를 관측하였고, 최적의 합성 조건을 제시하고자 한다. 파장 393 nm로 여기 시킨 $Dy^{3+}$ 이온의 몰 비에 따른 $BaNb_2O_6$ 형광체 분말의 발광 스펙트럼은 580 nm에 주 피크를 갖는 황색 스펙트럼이 관측되었다. 이 발광 신호는 $^4F_{9/2}-^6H_{13/2}$ 전이 신호이다. $Dy^{3+}$ 이온의 몰 비가 0 mol인 경우에는 발광 신호가 검출되지 않았다. $Dy^{3+}$ 이온의 몰 비가 0.10 mol일 때 발광 피크의 세기는 최대이었으며, $Dy^{3+}$ 이온의 몰 비가 더욱 증가함에 따라 발광 스펙트럼의 세기는 계속 증가하지 않고 갑자기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Dy^{3+}$ 이온의 몰 비가 임계값을 초과하여 더욱 증가하면 모체 격자들 사이에 치환 고용되어 있는 $Dy^{3+}$ 이온들 사이의 거리가 더욱 가까워져서 $Dy^{3+}$ 이온들이 서로 용이하게 결합함으로써 내부 산란에 의하여 발광의 세기가 감소함을 의미한다. 흡광 스펙트럼의 경우에, $Dy^{3+}$ 이온의 몰 비가 0.01 mol일때 형광체 분말은 두 종류의 흡광 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첫째는 $Dy^{3+}$ 양이온과 $O^{2-}$ 음이온들 사이에 발생한 전하 전달 밴드에 의해 발생하는 310 nm를 정점으로 하여 280~340 nm 영역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흡광 신호가 관측되었으며, 둘째는 $Dy^{3+}$ 이온의 $4f^9$ 전자 배열 내에서 발생하는 4f-4f 전이 신호로서, 이것은 350~500 nm 영역에 걸쳐서 비교적 밴드폭이 좁은 다수의 흡광 신호가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는 다섯 개의 피크를 갖는 흡광 신호가 검출되었는데, 이중에서 제일 강한 주 피크인 393 nm의 흡수 파장은 모체 격자 내에 있는 $Dy^{3+}$ 이온의 바닥 상태인 $^6H_{15/2}$ 준위에서 여기 상태인 $^4F_{7/2}$ 인 에너지 준위로 전이하면서 발생한 신호이며, 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흡광 세기가 약한 370, 432, 458, 370 nm의 흡수 파장이 관측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