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디메틸 에테르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8초

CFC 대체 산업세정제로의 HFEs의 적용가능성 연구 (A Study on Applicability of Hydrofluoroethers as CFC-Alternative Cleaning Agents)

  • 민혜진;신진호;배재흠;김홍곤;이현주
    • 청정기술
    • /
    • 제14권3호
    • /
    • pp.184-192
    • /
    • 2008
  • 불소계 화합물인 삼불화에탄올(2,2,2-trifluoroethanol, TFEA)와 수소화불화에테르(hydrofluoroether, HFE)는 성층권의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으며, 수소화불화탄소(hydrofluorocarbon, HFC) 및 수소화염화불화 탄소(hydrochlorofluorocarbon, HCFC)계 세정제에 비하여 지구온난화 영향력도 낮다. 특히, 인화점이 없는 HFE계 세정제는 낮은 인화점을 갖는 탄화수소계 세정제보다 취급에 안전하고 침투력이 우수하여 차세대 염화불화탄소(chlorofluorocarbon, CFC) 대체세정제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불소계 세정제인 TFEL HFE-7100, HFE-7200, HFE-476mec, HFE-449mec-f, AE-3000, AE-3100E와 실리콘계 세정제인 트리플 루로에톡시트리메틸실란(trifluoroetoxytrimethylsilane, TFES)와 헥사메틸디실라잔 (hexamethyldisilazane, HMDS)의 물성과 세정력을 오존파괴 물질인 CFC-113, 삼염화에탄(1,1,1-trichloroethane)와 유해물질인 이염화탄소(methylene chloride, MC) 등의 염소계 세정제, 그리고 현재 대체세정제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 IPA) 등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TFEA와 HFEs는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오염물질들에 대하여 염소계 세정제에 비하여 낮은 세정능력을 보여주었지만, 불소를 함유한 불소계 오염물의 제거에는 우수한 세정력을 보였다. 그리고 실리콘계 세정제인 TFES와 HMDS도 실리콘계 오염물에 대한 세정력이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 PDF

추출-증류-결정의 조합에 의한 콜타르 흡수유 중에 함유된 인돌의 고순도 정제 (High-Purity Purification of Indole Contained in Coal Tar Absorption Oil by Extraction-Distillation-Crystallization Combination)

  • 김수진
    • 공업화학
    • /
    • 제25권3호
    • /
    • pp.330-336
    • /
    • 2014
  • 추출-증류-결정의 조합에 의해 모델 콜타르 흡수유 중에 함유된 인돌의 정제를 검토했다. 흡수유는 4종류의 질소고리 화합물(9.2% 퀴놀린, 2.4% 이소퀴놀린, 4.7% 인돌, 2.4% 퀴날딘), 3종류의 2환 방향족 화합물(14.2% 1-메틸나프탈렌, 31.8% 2-메틸나프탈렌, 23.5% 디메틸나프탈렌), 5.5% 비페닐과 3.3% 페닐에테르의 9종류의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포름아미드 추출-증류-노말헥산을 사용한 용액 결정화의 조합의 채택에 의해 99.5% 인돌을 회수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실험적 결과를 이용하여 콜타르 흡수유 중에 함유된 인돌의 회수공정을 검토했다.

Nafion/poly(ether(amino sulfone)) 산-염기 블렌드 전해질막을 이용한 디메틸 에테르 직접연료전지 특성연구 (Characterization of Nafion/Poly(ether(amino sulfone)) Acid-base Blen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Direct Dimethyl Ether Fuel Cell)

  • 박선미;최원춘;남승은;이규호;오세용;이창진;강영구
    • 전기화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9-94
    • /
    • 2006
  • Nafion/poly(ether(amino sulfone)) acid-base 블렌드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여 이온전도도, 디메틸 에테르(DME) 투과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직접 DME 연료전지 특성을 연구하였다. Poly(ether(amino sulfone)) (PEAS)는 아민기의 치환도가 $0.6\sim2.0$인 것을 합성하였다. Nafion/PEAS 블렌드 전해질 막은 Nafion과 PEAS를 DMF에 용해시켜서 캐스팅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블렌드 전해질막은 $100^{\circ}C$ 이상에서도 이온전도도가 계속 증가하였다. Nafion/PEAS-0.6(85:15) 블렌드 전해질막은 $50^{\circ}C$ 이상에서의 수소 이온전도도가 recast Nafion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120^{\circ}C$에서의 수소 이온전도도는 $1.42\times10^{-1}S/cm$로 측정되었다. PEAS의 아민기가 많이 치환될수록 블렌드 전해질막의 DME 투과도와 이온전도도는 비례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0^{\circ}C$ 이상 가압 조건에서 Nafion/PEAS 블렌드 전해질막을 사용한 직접 DME 연료전지(DDMEFC)의 최대 전력밀도가 같은 조건에서 Nafion 115를 사용한 것보다 약 50%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DDMEFC의 성능 향상은 블렌드 전해질막이 Nafion과 비교하여 고온에서의 이온전도도가 향상되었고 DME투과도가 감소하였기 때문인것으로 해석된다.

용매성 유기분자와 니트로벤젠 및 그의 유도체와의 전하전이 착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rge-Transfer Complexes Formed between the Derivatives of Nitrobenzene and Some Organic Solvent Molecules)

  • 신두순;김시중
    • 대한화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5-94
    • /
    • 1973
  • 니트로 벤젠의 세가지 유도체, 즉 1.3.5-트리니트로벤젠(1.3.5-TNB), m-디니트로벤젠(m-DNB) 및 니트로벤젠(NB)등이 11종의 염기성 유기 용매 즉, ${\alpha}$-피콜린, 피리딘, 디메틸술포옥시드(DMSO), NN′-디메틸초산아미드(NN′-DMA), 테트라히드로퓨란(THF), 1,4-디옥산, 디에틸에테르, 시안화메틸, 프로필렌옥시드, 에피클로로히드린, 초산메틸등과 사염화탄소용액중에서 전하전이착물을 형성함을 자외선분광광도법에 의해 확인하고, 이들 전하전이착물의 안정도 상수를 결정하였다. Drago 와 Wayland 의 이중척도엔탈피식(double-scale-enthalpy)을 수정하여 $logK = E_AC_A+E_DC_D$식을 얻고, 이것을 써서 정전기적효과 $E_D$와 공유성효과 $C_D$값을 11종의 유기 용매에 대해 얻었다. 이 두 효과는 전하전이착물의 안정도 상수 K와 그리고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신축진동수변화 ${\Delta}{\nu}_C=O$에 영향을 주며, 특히 $C_D$ sms 안정도 상수에 비례하였고, 신축진동수변화 ${\Delta}{\nu}_{C=O}= 37.4-5.47E_D+12.1C_D$의 실험식을 얻었다. ${\pi}$결합을 가진 분자들이 전이착물을 이룰 때 정전기적효과와 공유성효과와 공유성효과가 모두 관여하며, 그밖에 결합하는 분자의 ${\pi}$궤도함수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았다.

  • PDF

서로 다른 씨클로펜타디엔 유도체가 결합된 최초의 비스무스 화합물, ${\eta}^5-C_5(CH_3)_5Bi({\eta}^5-C_5H_5)_2$의 합성과 결정구조 (The First Organobismuth Compound with Differently Substituted, ${\pi}$-bonded Cyclopentadienylring, ${\eta}^5-C_5(CH_3)_5Bi({\eta}^5-C_5H_5)_2$)

  • 신성희;황교현;전종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7-91
    • /
    • 1997
  • 서로 다른 씨클로펜타디엔 유도체가 ${\pi}$-결합된 최초의 비스무스 화합물인 ${\eta}^5-C_5(CH_3)_5Bi({\eta}^5-C_5H_5)_2$이 디펜타메틸씨클로펜타디에닐 비스무스디메틸아미드 $Cp{\ast}_2BiNMe_2[Cp{\ast}=C_5(CH_3)_5]$와 씨클로펜타디에닐 모노머와의 반응으로 합성되었다. 반응조건은 에테르 용매하에 -78$^{\circ}C$ 반응온도 조건하에서 얻어졌다. 합성된 반응물을 노르말 헥산 용매에서 재결정시킨 결과, 검은색 결정이 60% 수율로 얻어졌다. 그리고 재결정시킨 반응물을 190K에서 X-선 단결정 구조 분석 방법에 의해 그 구조를 밝혔다. 그 결과 결정계의 격자계는 I2/a, a=1756.00 picometer, b=906.00 picometer, c=2211.00 picometer, ${\beta}$=104.04, Z=8로 확인되었다. 여기서 a, b, c는 결정�Ю� 상수이고, ${\beta}$는 결정격자 상수인 b와 c간의 각도이며, Z는 단위 결정 격자당 분자의 갯수이다.

DME와 메탄의 GE7EA 모사가스터빈 연소성능시험 (GE7EA Gas Turbine Combustion Performance Test of DME and Methane)

  • 이민철;서석빈;정재화;주용진;안달홍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B
    • /
    • pp.3270-3275
    • /
    • 2007
  • DME (Dimethyl Ether, $CH_3OCH_3$) has highly attracted attention as an alternative fuel for transportation, power generation and LPG substitute owing to its easy transportation and cleanlin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mbustion performance and to identify potential problems when DME is fuelled to a gas turbine. GE7EA gas turbine of Pyong-Tak power plant was selected as a target to apply the DME. Combustion tests were conducted by comparing DME with methane, which is a major component of natural gas, in terms of combustion instability, $NO_X$ and CO emissions, and the outlet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tests show that DME is very clean but has a low combustion efficiency in low load condition. From the results of the fuel nozzle temperature we have ascertained that DME is easy to flash back, and this property should be considered when operating a gas turbine and retrofitting a burner.

  • PDF

압축착화 엔진에서 DME-가솔린 혼소 운전 특성에 관한 연구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Dual-fuel Combustion with DME and Gasoline in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 김기현;배충식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57-164
    • /
    • 2014
  • Dual fuel combustion strategy with di-methl ether (DME) and gasoline was tested in a compression ignition engine. Characteristics of combustion and emissions were analyzed with the variation of engine operating parameters such as fuel proportion, DME injection timing, intake oxygen concentration, DME injection pressure and so forth. Gasoline was injected into the intake manifold to form the homogeneous mixture with intake charge and DME was injected directly into the cylinder at the late compression stroke to ignite the homogeneous gasoline-air mixture. Dual fuel combustion strategy was advantageous in achievement of higher thermal efficiency and low NOx emission compared with DME single fuel combustion. Higher thermal efficiency was attributed to the lower heat tranfer loss from the decreased combustion temperature since the amount of lean premixed combustion was increased with the larger amount of gasoline proportion. Lower NOx emissions were also possible by lowering the combustion temperature.

고압에서 물리흡수제의 이산화탄소 흡수 특성 연구 (CO2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Physical Solvent at High Pressure)

  • 엄용석;김은애;김준한;천성남;이정빈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334-339
    • /
    • 2013
  • In this study, as a candidate of the carbon dioxide ($CO_2$) absorbents, the mixture solution of poly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PEGDME) and tetrahydrofuran (THF) were investigated. $CO_2$ absorption rate was measured by using high pressure $CO_2$ screening equipment in the range of 1 - 10wt% THF. Absorption capacity of the mixture solution was also estimated. Based on the results, we found that mixture solution containing THF had higher absorption rate and $CO_2$ loading capacity compared to PEGDME at $25^{\circ}C$.

Poly(ether-b-ester) Thermoplastic Elastomers의 합성 및 물성 연구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ether-b-ester)Thermoplastic Elastomers)

  • 김홍선;정맹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9-124
    • /
    • 2001
  •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DMT), 1.4-부탄디올 (1.4-BD) 그리고 분자량이 2000인 폴리테트라 메틸렌 에테르 글리콜 (PTMG)로 부터 폴리에스터계 열가소성 탄성체 (TPEE)를 합성할 수 있었다. 열적 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열처리를 하였으며, 이에 따라 결정성 hard segmen의 보다 규칙적인 배열로 인한 향상된 물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 합성된 공중합체는 soft segment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융점 및 결정화도가 감소함을 보여 주었다. 기계적 물성의 경우, soft segment의 함량이 35%인 공중합체가 soft segment와 hard segment간 최적의 물리적 가교점 형성으로 인하여 가장 우수함이 관찰되었다.

  • PDF

DME/Diesel 듀얼 퓨얼 엔진의 연소 및 배출 특성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DME/Diesel Dual-fuel Engine)

  • 임옥택;표영덕;이영재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29-34
    • /
    • 2011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 of DME/Diesel dual fuel engine for reducing emissions with same power. Dual fuel engine controls the combustion using two different fuels, DME and diesel with different auto-ignition timings. In the previous work, the caracteristics of combustion and emissions under single cylinder engine and ignition is done by compression ignition. Pre-mixture is formed by injecting low-pressure DME into an intake manifold and high-pressure fuel (diesel or DME) is injected directly into the cylinder. Both direct diesel injection and port fuel injection reduced the significant amount of Smoke, CO and NOx in the homogeneous charg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due to present of oxygen in DME. In addition, when injecting DME directly in cylinder with port DME injection, there is no changes in emissions and energy consumption rate even operated by homogeneous charge compression ign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