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들깨

Search Result 40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담금방법을 달리한 부추김치의 색과 조직특성 (Color and Texture Properties of Puchukimchi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Methods)

  • 박문옥;김나영;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1-327
    • /
    • 2000
  • 본 연구는 부추김치의 담금방법에 따른 부재료가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금을 첨가한 처리구 A, 간장을 첨가한 처리구 B, 간장과 들깨가루를 첨가한 처리구 C, 멸치액젓을 첨가한 처리구 D, 멸치액젓과 찹쌀풀을 첨가한 거리구 E로 담금 즉시 1$0^{\circ}C$에서 43일간 발효시키면서 색과 조직특성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클로로필 및 카로티노이드의 잔존율은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Hunter's color value에서 녹색도를 나타내는“a”값이 감소하였다. 특히 멸치액젓과 찹쌀풀을 첨가한 처리구 E의 녹색이 가장 감소하였다. 2. 수용성 펙틴과 고형분 함량은 전반적으로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였는데. 대체로 처리구 B>C>D>E>A의 순이었다. 3. TDF 함량은 발효숙성 초기와 큰 차이가 없다가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다. TDF 함량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SDF와 IDF의 조성에는 변화가 있었는데, 발효숙성 8일째에는 SDF 함량이 전반적으로 5배에서 7배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실험의 조건하에서 발효숙성은 처리구 B>C>E>D>A의 순으로 빨리 진행되어 간장은 부추김치의 발효숙성을 빠르게 하였으며, 들깨가루 첨가는 발효숙성 말기에 오히려 발효숙성을 촉진하였고, 멸치액젓과 찹쌀풀 첨가는 부추김치의 변색을 가장 빨리 유발하였다는 결과로 보아 담금방법에 따라 부추김치의 발효숙성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부추김치 담그는 목적에 따라 부재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재래종(在來種) 들깨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Korean Native Perillas)

  • 성환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9-74
    • /
    • 1976
  • 우량종으로 선발된 6종의 재래종 들깨를 동일조건으로 재배하여 그 종실(種實)과 잎의 일반성분과 무기물을 분석하고 우수품종에 대한 유리 amino acid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실(種實)의 유지 함유량은 인천 군산 재래종이 각각 52%, 50.87%였고, 전부 45%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2) 종실(種實)의 단백질 함유량은 대구 대전 재래종이 각각 22.31%, 19.15%이고, 잎의 단백질을 대전 대구 재래종이 5%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3) Vitamin C와 $B_2$ 는 잎에 각각 60mg, $170\;{\mu}g%$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4) 종실(種實)의 무기질은 K Mg가 많고, 잎에는 K Ca가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무기질은 종실(種實)에 비해서 잎이 $2{\sim}10$배 이상을 함유하고 있다. (5) 대전 재래종의 종실에는 유리 amino acid로서 arginine 54.2mg%, alanine 23.9mg%가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glutamic acid 24.8mg%, alanine 9.1mg%가 함유되어 있다.

  • PDF

기호음료 성분의 Angiotensin-I 전환효소 저해작용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by the Component of Traditional Tea Materials)

  • 도정룡;김선봉;박영호;김동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56-460
    • /
    • 1993
  • 전통 기호음료 성분에 의하여 나타나는 기능특성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결명자,들깨, 대추, 모과, 오미자, 오갈피 및 생강 추출물을 ion-exchange chromatography, 유기용매에 의한 분획,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여러 가지 획분으로 분획하여 Angiotensin I 전환효소(ACE) 저해작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호음료 원료에서 추출한 수용성 획분의 ACE 저해작용은 생강>오갈피>오미자>들깨>결명자>모과>대추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 가정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결명자에서 분리한 compound C 는 ACE 저해제로 알려져 있는 bradykinin에 비하여 ACE 저해작용이 비교적 낮았다.

  • PDF

들깨(Perilla frutescens)와 쑥(Artemisia asiatics)잎으로부터 휘발성 타감 작용 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Volatile Allelochemical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and Artemisia asiatica)

  • 임선욱;서영호;이영근;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2호
    • /
    • pp.115-123
    • /
    • 1994
  • 본 연구는 들깨와 쑥 잎의 휘발성 타감작용을 확인하고, 그 성분을 동정하려 한 것이다. 휘발성분을 벼, 무우, 녹두, 상치를 대상으로 생물검정하여 휘발성 타감작용을 확인했다. 휘발성분을 headspace cold trapping-Tenax GC 흡착으로 분리하여 들깻잎으로부터 terpenoid 4종, aldehyde 3종, alcohol 3종, 탄화수소류 3종, 기타 성분 1종을 동정하였으며, 쑥으로부터는 terpenoid 9종, aldehyde 3종, alcohol 1종, 기타 성분 1종을 검출하였다. 한편, 수증기 증류-추출로 포집한 경우에는, 들깻잎으로부터 terpenoid 2종, alcohol 2종의 동정되었으며, 쑥 잎으로부터는 terpenoid 6종, alcohol 1종, 탄화수소류 1종, 기타 성분 2종이 검출되었다. 수증기 증류-추출로부터 나누어진 각 분획을 무우를 대상으로 생물검정한 결과 중성 분획이 가장 타감작용 활성이 컸다. 휘발성 타감작용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이를 GC-MS로 분석한 결과, 들깨로부터 terpenoid 7종과 alcohol 2종 등 9종을 동정하였고, 쑥으로부터 terpenoid 15종과 alcohol 3종, aldehyde 1종, 탄화수소류 2종, 기타 성분 3종 등 24종을 동정하였다.

  • PDF

저선량 방사선에 의한 작물 초기생육 촉진효과 (Stimulation Effect of Early Growth in Crops by Low Dose Radiation)

  • 김재성;송희섭;김진규;이영근;이영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6-159
    • /
    • 1998
  • 작물 초기생육에 대한 저선량 방사선의 효과를 보고자 벼, 콩, 들깨 종자에 저선량 $^{\gamma}$선을 조사하여 발아율과 초기 생육을 관찰하였다. 저선량 $^{\gamma}$선에 의한 작물의 생육초기 효과는 한정되었으나 작물과 생육특성에 따라 적정 선량은 다르게 나타났다. 벼종자의 발아율은 2Gy조사구에서, 유묘초장과 생체중은 0.5Gy에서 가장 높았으며,대두종자의 발아율과 유모생육은 4Gy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들깨종자의 저선량 $^{\gamma}$선 조사에 의해 생육이 다소 불량하였으나 발아율은 2Gy에서, 유묘초장과 생체중은 1Gy에서 증가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