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들깨유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3초

들깨의 발아가 들깨유의 산화 및 토코페롤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 Germination on Oil Oxidation and Tocopherol Stability of Perilla Oil)

  • 황현숙;최은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55-26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비발아들깨와 12, 36, 48시간 발아시킨 들깨로 부터 유지를 추출한 후 $60^{\circ}C$의 빛이 차단된 상태 또는 빛의 존재 하에 4일 동안 저장하면서 가속조건에서의 유지 산화 및 토코페롤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들깨유의 과산화물값과 공액이중산 값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비발아 들깨유에 비해 발아들깨유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빛이 차단된 조건에 비해 빛 존재 하에서 들깨유의 산화와 토코페롤 분해가 더 많이, 더 빨리 진행되었다. 들깨유 중 12시간 발아시킨 들깨로부터 추출한 들깨유는 유의하게 낮은 공액이중산값과 토코페롤의 낮은 분해속도 등에 기인하여 가장 높은 자동산화, 광산화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어유 및 식물 종자유의 급이가 흰쥐가 간장, 뇌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sh Oil and Some Seed Oils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ver and Brain Tissue in Rats)

  • 정승용;김성희;김한수;최운정;김희숙;정효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18-425
    • /
    • 1991
  • S-D계 흰쥐에 중성지방 혈증 유발을 위해 12% 야자종실유와, 시험유지로서 올리브유, 돈지(豚脂), 어유, 들깨유, 옥수수유, 고추종자유 및 달맞이꽃종자유를 각각 3%씩 급여하여 4주간 사육한 후 간장 및 뇌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한 바, 간장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SFA의 함량이 많고 MUFA는 적었으며, 중성지질에서는 MUFA의 함량이 SFA보다 약간 많은 편이었고 콜레스테롤 에스테르는 SFA 함량은 적고 MUFA는 월등히 많았다. 각 획분 모두 PUFA의 함량은 적었으며 PUFA중 $C_{18:2}(n-6)$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n-3계 PUFA는 어유 및 들깨유 급여군에 비교적 많은 반면 n-6계 PUFA는 옥수수유, 고추종자유 및 달맞이꽃종자유 급여군에 많았다. 뇌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 SFA의 함량은 적은 반면 PUFA의 함량이 현저히 많았으며, n-3계 PUFA로서는 $C_{20:5}와\;C_{22:6}$이 n-6계 PUFA로서는 $C_{18:2}$가 주요 지방산을 이루고 있었다.

  • PDF

급원이 다른 식이 지방이 흰쥐의 적혈구 성상 및 Ca 함량에 미치는 영향 -참깨유, 들깨유, 미강유 중심으로- (The Changes of Erythrocyte Feature and Ca Concentration in Rat Fed the Diet Containing Different Common Oils in Korea : Sesame Oil, Perilla Oil, Rice Bran Oil and Mixed Oil)

  • 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5호
    • /
    • pp.524-531
    • /
    • 1993
  • In this experiment, we investigated the changes of erythrocyte feature and Ca concentration in rat fed the diet containing different common oils in Korea for different feeding periods(4 weeks or 12 weeks), using Korea sesame oil, perilla oil, rice bran oil and mixed oil. W-3/w-6 ratio of each group was 0.001, 1.44, 0.03 and 0.112, respectively. P/S ratio of each group was 9.64, 10.49, 5.58 and 1.68, respectively. Perilla oil(w-3 rich) increased w-3/w-6 ratio of erythrocyte membrane, decreased the amount of trapped Ca and inhibited the decrease of cell volum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maybe increase erythroyte fluidity and deformability, and affect erythrocyte function. In conclusion, w-3 rich perilla oil affects erythrocyte feature.

  • PDF

들깨유의 산화에 대한 들깨 발아 싹 추출물의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 of Perilla Sprouts Extracts on Oxidation of Perilla Oil)

  • 김석중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30-338
    • /
    • 2012
  • 들깨 종자를 10일 간 발아시키면서 얻어지는 싹에 대하여 일반성분 및 항산화력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들깨유 산화에 대한 싹 추출물의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종자의 수분 함량(2.9%)은 발아 10일째 싹에서 9.2%로 증가하였으나 조회분 함량은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다. 종자에서 46.8%와 20.7%이었던 조지방과 조단백질 함량은 발아 10일째 싹에서 각각 18.2%와 18.3%로 감소하였지만, 환원당과 조섬유 함량은 2.2% 및 14.8%에서 각각 12.8%와 22.4%로 증가하였다. 깻잎과 비교하면 10일째 싹은 조지방, 탄수화물, 환원당, 조섬유 함량이 더 높았고 수분, 조회분 및 조단백질 함량은 더 낮았다. 발아동안 항산화력은 증가하여 8일째에 최대치에 도달하였는데, DPPH와 ABTS 라디칼 소거능에 기반한 Trolox 당량 항산화력(TEAC)은 각각 133.1과 136.8 Trolox eq. mmol/kg이었으며, 3가 철이온 환원력(FRAP)는 399.3 Fe(II) eq. mmol/kg이었다. 폴리페놀 함량(19.2 g/kg)도 이 단계에서 가장 높았다. 한편, 깻잎은 발아 8일째의 싹과 유사한 TEAC를 보였으나 FRAP은 더 높았다. 발아 8일째 싹의 메탄올 추출물을 들깨유에 첨가 시 농도 의존적으로 산화가 억제되었는데, 대조 들깨유에서 1.67 hr이었던 산화유도기간이 2.5%(w/w) 추출물 첨가 들깨유에서는 4.62 hr로 나타나 들깨유의 산화 안정성이 약 2.8배 증가하였다. 이러한 산화유도기간은는 동일농도의 BHT 첨가구와 비교 시 약 38% 수준에 해당하였다.

들깨유와 고추 종자유의 혼합 급이가 흰쥐의 혈청 및 혈소판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Feeding Mixed Perilla Oil and Red Pepper Oil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rum and Platelet in Rats)

  • 강정옥;김성희;김한수;김군자;최운정;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4-130
    • /
    • 1992
  • $\alpha$ -lino1enic acid를 약60%함유하는 들깨유와 1ino1eic acid를 약 64% 함유하는 고추종자유를 비율별로 흰쥐에게 혼합급이하였을 때 혈청 및 혈소판에 미치는 지방산 조성에 관하여 분석 검토한 바, 혈청 지질의 총 지방산 조성은 SFA가 30.6%~34.9% 범위로 각 실험군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MUFA는 14.4%~17.0% 범위이며, PUFA는 48.0%~53.0% 범위로 총지방산의 약50%를 차지하였다. 혈청중 인지질,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다불포화지방산 조성중 $C_{l8 : 2}$ ($\omega$-6)는 콜레스테를 에스테르 성분에서 인지질, 중성지질성분보다 함유비율이 약간 많았고, $C_{20 : 4}$ ($\omega$-6)는 각 성분간의 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고, 각 성분에 있어 $C_{l8 : 2}$ ($\omega$-6)나 $C_{20 : 4}$ ($\omega$-6) 모두 시험유지의 $\omega$-3PUFA/$\omega$-6PUFA 비율이 낮아질수록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C_{l8 : 3}$ ($\omega$-3)은 각 지질성분 모두 $C_{20 : 4}$ ($\omega$-3) 및 $C_{20 : 5}$ ($\omega$-3)보다 함유 비율이 높았다. 혈소판의 지방산 조성은 SFA는 2군(7.5% 들깨유+12.5% 고추종자유), 3군 (5.0% 들깨유+5.0% 고추종자유)에서 낮았고, 5군(10.0% 고추종자유)에서 가장 높았으며 MUFA는 3군이 가장 높고 5군이 가장 낮았다. 한편, PUFA는 2군에서 가장 낮았고 EPA/AA비는 2군이 가장 높았으며 5군에서 가장 낮았다.낮았다.

  • PDF

도라지 및 더덕 첨가식이가 흰쥐의 혈청 및 간장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ing Platycodon grandiflorum and Codonopsis Ianceolata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Serum and Liver in Rats)

  • 김소영;김한수;김성희;김희숙;서인숙;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24-530
    • /
    • 1993
  • 도라지 및 더덕과 들깨유 및 홍화유의 혼합 급여가식 이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및 간장의 지방산 조성을 구명하기 위해 Sprague-Dawley계 숫 흰쥐에게 cellulose 5%와 돈지 10%를 대조군으로 하고 도라지 및 더덕 5%씩, 그리고 들깨유 및 홍화유 10%씩을 혼합한 식이를 급여하여 3주간 실험사육한 후 혈청 및 간장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한 결과, 혈청 지질의 총지방산, 인지질,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지방산 조성에 있어 PUFA중 linoleic acid의 함유비가 가장 높아 주요 지방산을 이루었고, 특히 인지질성분을 제외한 여타성분에서는 홍화유를 급여한 5, 6군에서 linoleic acid의 함유비가 현저히 높았으며, 시험유지의 지방산 조성이 크게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의 총지방산, 인지질, 중성지질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의 지방산 조성에서 PUFA중 모두 linoleic acid의 함유비가 높아 주요 지방산을 이루었고, 특히 인지질 성분에서는 arachidonic acid와 eicosapentaenoic acid (EPA)의 함유비가 비교적 높았다. 이상의 결과, 혈청 및 간장 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는 linoleic acid의 비율이 가장 높아 시험유지의 지방산 조성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돈지, 들깨유 및 달맞이꽃 종자유의 혼합급이가 흰쥐의 간장 및 뇌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s Mixed with Various Level of Lard , Perilla Oil and Evening Primrose Oil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ver and Brain Tissue in Rats)

  • 김성희;김한수;김군자;최운정;김소영;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55-560
    • /
    • 1994
  •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fees mixed with the lard and two vegetable seed oil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ver and brain tissue, the oils mixed with 2.5% lard and various levels of perilla oil and evening primrose oil were administered to the male rats of the Sprague-Dawley for 4 weeks .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iver lipid, saturated fatty acid (SFA) contents were rich in the phopholiipide and cholesteryl ester fraction.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contents were rich in the triglyceride fraction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contents were rich in the phospholipid fraction.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iver lipid fractions, according as the contents of mixed perilla oil decreased and the contents of mixed evening primrose oil increased , n -3 PUFA contents tended to decrease and n-6 PUFA contents tended to increase. Fatty acid composition of liver lipid fractions were influenced from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test lipid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brain phospholipd, PUFA contents (40%) were rich and according as the contents of mixed evening primrose oil increased, the ratio on n-3/n-6 PUFA and eicosapentaenoid acid (EPA) /arachidonic acid (AA) tended to slightly decrease.

  • PDF

돈지, 들깨유 및 달맞이꽃 종자유의 혼합급이가 흰쥐의 혈청 및 혈청 지단백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eds Mixed with Various Level of Lard, Perilla Oil and Evening Primrose Oil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rum Lipid and Lipoprotein in Rats)

  • 김성희;김한수;김희숙;김군자;최운정;정승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48-554
    • /
    • 1994
  •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s of the feeds mixed with the lard and two vegetable seed oil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rum lipkid and lipoprotein, the oils mixed with 2.5% lard and various levels of perilla oil and evening promrose oil were administered to the male rats of the Sprague-DAwley for 4 week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rum lipid and serum lipoprotein fractions, as the content so f mixed perilla oil decreased and the contents of mixed evening primrose oil increased, n -3 PUFa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and ratio of EPA/AA (eicisapentaenoiidacid/arachidonic acid) tended to decrease, but n-6 PUFA contents and ratio of AA/PUFA tended to increase. Fatty acid compositions of serum lipid and serum lipoprotein fractions were influenced from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test lipids.

  • PDF

급원이 다른 식이 지방이 흰쥐의 지방대사와 혈소판 성상에 미치는 영향 -참깨유, 들깨유, 미강유 중심으로- (The Changes of Body Fat Accumulation, Serum Lipids and Platelet Functions in Rat Fed the Diet Containing Different Common Oils in Korea: Sesame oil, Perilla oil, Rice Bran oil and Mixed oil)

  • 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5호
    • /
    • pp.513-523
    • /
    • 1993
  • In this experiment, we investigated the hypolipidemic and antithrombotic effects of rats fed diets with different common oils in Korea for different feeding periods(4 weeks or 12 weeks), using Korean sesame oil, perilla oil, rice bran oil and mixed oil. W-3/w-6 ratio of each group was 0.001, 1.44, 0.03 and 0.112, respectively. P/S ratio of each group was 9.64, 10.49, 5.58 and 1.68, respectively.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age, body fat accumulation was increased. 2) Perilla oil(w-3 rich) decreased total lipid,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and increased HDL/total cholesterol ratio. 3) With regard to the compositono of platelet fatty acids, Perilla oil increased w-3/w-6 ratio of the platelet. Perilla oil lengthened bleeding time and decreased MDA(MalonDAdehyde) formation which determined in place of Thromboxane A2(TXA2) in platelet. This result can suggest that linoleic acid of perrilla oil seem to supress the conversion of linoleic acid to arachidonic acid(AA 20:4, w-6) and eicosapentaenoic acid(EPA, 20:5, w-3) trannnsformed from linolenic acid to suppress the conversion of arachidonic acid to TXA2. Since TXA2 is platelet-aggregating and vasoconstricting agent, the reduction of TXA2 tgeneration by platelet with increased linolenic acid intakes shows prologed bleeding time. In conclusion, w-3 rich perilla oil has strong hypolipidemic and antithrombotic effects by changing fatty acid profiles of the platelet.

  • PDF

들깨유 섭취가 흰쥐의 출혈시간, 트롬복산 생성 및 혈소판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illa Oil Intake on Bleeding Time, Thromboxane Formation and Platelet Fatty Acid in Rats)

  • 한용남;윤혜원;김숙희;한병훈
    • 생약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13
    • /
    • 1987
  • Male rats were fed diets containing perilla oil, sardine oil or corn oil for 15 weeks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antithrombotic effects. Rats given perilla oil and sardine oil diets showed significantly longer bleeding time, and lower level of malondialdehyde generation during thrombin-induced aggregation of platelets than rats given corn oil. With regard to the composition of platelet fatty acid, the ratio of eicosapentaenoic acid(EPA) $(20:5{\omega}3)$ to arachidonic acid $(20:4{\omega}6)$ of perilla oil, sardine oil and corn oil treated rats were 0.54, 0.96 and 0.01,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linolenic acid $(18:3{\omega}3)$ of perilla oil was metabolized to EPA which is known to have antithrombotic activ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