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드릴

Search Result 51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모터전류를 기초로한 드릴마멸 모델링

  • 김화영;안중환;김선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10a
    • /
    • pp.64-69
    • /
    • 1993
  • 최근의 생산시스템은 FMS,FMC와 같은 고도로 자동화된 무인시스템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생산성 향상을 위한 무인운전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숙련된 작업자를 대신하여 작업상태를 감시하는 신뢰성 있는 감시 시스템의 부족으로 인해 곤란을 겪고 있다.따라서 작업자를 대신할수 있는 신뢰성있는 감시 시스템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특히 공구파손,공구마멸과 같은 공구손상은 공작물 및 기계에 치명적 손상을 초래하고, 기계정지시간을 증가시키므로 공구파손 검출과 공구마멸의 실시간 센싱은 가공 프로세스의 자동화와 신뢰성을 증가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역활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드릴가공시 검출한 주축 및 Z축 모터전류를 기초로 하여 드릴마멸을 추정하는 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주축 및 Z축 모터의 전류 정보를 이용한 드릴공구 마멸상태의 검출

  • 김화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04b
    • /
    • pp.294-299
    • /
    • 1993
  • 고도로 자동화가 진전된 생산 시스템에서의 가공은 NC 공작기계, 머시닝 센터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작업 상태에 대한 감시 및 공구교환 시점의 결정은 작업자에 의해 행해지고 있으므로, 무인화에 큰 장애가 되고 있다. 최근 머시닝센터 를 중심으로 가공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에서, 머시닝센터 전체 작업중 대략 40% 정도를 차지하는 드릴 작업에서 공구 상태에 대한 감시는 가공 무인화를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드릴가공시 주축 및 Z축 모터전류와 공구마멸과의 정성적 및 정량적 관련성을 조사하기 위해 전류의 진폭영역 정보인 평균, 분산, 왜도(skewness), 첨도(kurtosis)등의 신호처리를 행하여, 이들값이 공구마멸이 진행됨에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조사하였다.

세 개의 절삭날을 갖는 초경드릴의 절삭 성능에관한 연구

  • 변상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6.04a
    • /
    • pp.71-74
    • /
    • 1996
  • 절삭가공 중에서 구멍가공은 최근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는 작업의하나이다. 현재 대부분의 구멍가공은 두개의 절삭날을 갖는 Twist Drill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두개의 절삭날 드릴은 작업능률이 다른 절삭 공구에 비교하여 낮고, 그 가공정도도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초경 세개의 절삭날 드릴을 사용하여 구멍가공 실험을 하고, 그 절삭성능과 관련하여가공 구멍의 형상을 측정함에 따라 가공구멍 중심축의 기울어짐, 진원도 및 표면거칠기를 연구하였다.

  • PDF

Design and Structural Analysis of PCB Multi-Axis Drill M/C (PCB 다축드릴머신의 구조해석 및 설계)

  • Lee Jong-Sun;Lim Jin-Sub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5.05a
    • /
    • pp.79-8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PCB의 제작 공정에 있어 기준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다축드릴머신의 PCB와 드릴날 간의 충돌시험을 구하여 설계에 반영한다. 이는 PCB 가공을 대량생산에 적합하고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PCB용 다축드릴 머신을 설계함에 있어 해석결과를 이용하여 안전성확보와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a Laser Dicing and Drilling Machine for Si Thin-Wafer (UV 레이저를 이용한 Si Thin 웨이퍼 다이싱 및 드릴링 머신)

  • Lee, Young-Hyun;Choi, Kyung-J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11c
    • /
    • pp.478-480
    • /
    • 2004
  • 다이아몬드 톱날을 이용한 얇은 Si 웨이퍼의 기계적인 다이싱은 chipping, crack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stacked die 나 multi-chip등과 같은 3D-WLP(wafer level package)에서 via를 생성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는 화학적 etching은 공정속도가 느리고 제어가 힘들며,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 연구되고 있는 분야가 레이저를 이용한 웨이퍼 다이싱 및 드릴링이다. 본 논문에서는 UV 레이저를 이용한 얇은 Si 웨이퍼 다이싱 및 드릴링 시스템에 대해 소개하고, 웨이퍼 다이싱 및 드릴링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레이저 및 공정 매개변수에 대해 설명한다.

  • PDF

Drill 가공에 있어서 ADI 재료의 절삭성에 관한 연구

  • 조상순;장성규;조규재;전언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10a
    • /
    • pp.126-130
    • /
    • 1993
  • 소경드릴가공은 많은 기계가가공중에서도 가장 곤란한 가공의 하나이다.그것은 가공구멍단면 이하의 공간속에서 공구강성이나 칩처리들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엄격한 제한이 소경이란 형태에서 한층 어려워지기 때문이다.소경의 구멍가공은 최근 전자제품,우주항공기 부품,소형정밀부품, 섬유산업의 광섬유관련품 등에 까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레이져가공,전자빔가공,전해가공과 같은 전기물리적가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생산성 및 가공정밀도의 관점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반해 기계가공인 소경드릴가공은 공구강성저하로 인해 쉽게 파손된다는 점은 있지만 가공정도가 양호하고 종횡비가 높은 가공이 가능하여 실용화가 가장 좋은 분야라고 할수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여기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지행되고 있다. 또한 기계가공의 자동화가 진전됨에 따라서 단일공국의 대표적 공구인 바이트의 결함을 검출하는것 못지않게 드릴의 마멸이나 절손의 검출 또는 예측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됨에 따라 절삭저항의 이용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DI에 포함된 Si량이 드릴가공시 ADI의 피삭성에 미치는 영향을 절삭조건을 변화시켜 고찰함과 동시에 공구수명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 PDF

Highly Precise and Efficient Drilling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의 고정도, 고능률 드릴링 가공)

  • 박규열;최진호;이대길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8 no.12
    • /
    • pp.3175-3184
    • /
    • 1994
  • The high strength and wear-resistant metal bonded diamond wheel was applied to the drilling process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 The helical-feed drilling method was use for the first time to overcome the limit of drilling depth of the conventional drilling process and to improve the dressing of the wheel. The helical-feed drilling method was found effective at high cutting speed without the limit of drilling depth.

Analysis on Burr Formation in Drilling with New Concept Drill (새로운 개념의 드릴에 의한 구멍가공시 버 형성에 관한 연구)

  • 고성림;전근배;이징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7 no.3
    • /
    • pp.114-121
    • /
    • 2000
  • A new concept drill was developed recently (or increasing accuracy and productivity in drilling operation. The burr formation in drilling causes many problems in deburring operation because burrs are formed inside holes and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m. Burr formations are observed in drilling operation with a new concept drill and a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HSS drill. Several workpieces with different materials are drilled with several cutting conditions, velocity and feed rate. The burr in drilling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crack. To observe the burr formation mechanism, the cap which is formed with the new concept drill is observed and measured.

  • PDF

BTA에 의한 심공가공시 가공면 형상에 관한 연구

  • 장성규;조규재;전언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182-187
    • /
    • 1994
  • 트위스트 드릴을 사용한 구멍은 구멍가공중 가장 경제적인 방법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트위스트 드릴에 의한 가공은 길이에 대한 구멍경의 비가 한정되어 있다. 깊이/직경(L/D)의 비가 통상 5배 이상의 경우의 적절한 가공방법은 거압력의 절삭유를 공급할 수 있는 공구를 사용하여 가공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방법은 Long drull, Gun drill, BTA drill 및 Ejector drill등이 있다. 이들 방법중 BAT drill은 다른 가공공구에 비하여 우수한 가공능율을 갖고 있다. 그러나 BAT드릴에 의한 심공가공은 1회 가공에 의하여 요구되는 품질을 만족시켜야 함으로 이에 대응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BAT드릴링 시스템에 BAT drrill을 사용하여 심공가공할때 공작물의 형상 즉 표면 거칠기 및 지원도등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ep Hole Drilling for Refractory Metals - STS type BTA drilling for SKD11 high alloy tool steel (난삭재의 심공가공에 관한 연구 (SKD11고합금공구강에 대한 STS타입 BTA드릴 가공))

  • Sim, Sung-Bo;Kim, Chi-Ok;Kim, Cheol-Kyu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3 no.1 s.31
    • /
    • pp.70-78
    • /
    • 1999
  • 오늘날 기계공업 현장에서 심공드릴가공은 광범위한 응용과 양호한 생산성으로 인하여 그 요구가 증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난삭재인 SKD11고합금공구강을 여러가지 절삭조건하에서 BTA드릴가공하여 얻은 실험결과(표면조도, 진직도, 진원도, 원통도, 구멍확대량, 등)를 다루었으며 이들의 이론적 배경과 실험을 비교 분석하였다. 프레스금형 부품과 기계부품으로 사용되고 있는 SKD11고합금공구강은 기계가공이 힘든 난삭재료로서 그 어려움이 크므로 본 연구는 생산현장에 보다 나은 심공드릴가공결과와 관련 지식을 제공 할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