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드로우바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nalysis of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High-speed Milling Spindle Due to Support Stiffness of Drawbar (고속주축의 드로우바 지지조건에 따른 동특성 해석)

  • 노승국;박종권;경진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chine Tool Engineers Conference
    • /
    • 2003.04a
    • /
    • pp.484-487
    • /
    • 2003
  • In designing AMBs (active magnetic bearings) for high-speed spindle system, the shaft is usually assumed as a rigid rotor. For automatic tool change process, there should be a tool clamping system with drawbar using spring or hydraulic force, and the drawbar in the spindle can be in various condition of support during design and manufacturing error. In this paper, the modal characteristics of drawbar in high-speed milling spindle system due to supporting stiffness between drawbar and shaft are analyzed by numerical method. The result shows enough stiff supports must be provided between shaft and drawbar to prevent occurring drawbar vibration lower than the natural frequency of 1$\^$st/ bending mode of spindle.

  • PDF

A Study on the Decrease of the Unclamping time using Hydraulic Circuit (유압 회로를 이용한 초고속 스핀들의 언클램핑(unclamping) 시간 저감 방안 연구)

  • Chung W.J.;Lee C.M.;Cho Y.D.;Whang Y.K.;Chung D.W.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5.06a
    • /
    • pp.1745-1748
    • /
    • 2005
  •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high productivity, the interest of manufacturing skills is growing in industrial society. Especially the high speed spindle in machining center becomes important these days. The exchange time of the tool in machining center usually calls T-T(tool to tool) time. Detailly explaning, It is influenced by the unclamping time. Affecting factors of the unclamping time are various(the hydraulic system, drawbar mass, a flow meter, disc spring, a piston diameter, pipe diameters, and so on). In this study, we could find factors that decrease the unclamping time and verify it for softwares.(AMESim $4.0^{(R)}$ & visual Nastran $4D^{(R)}$)

  • PDF

A Study on the Reduction of Unclamping Time by Design of Experiments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초고속 스핀들의 언클램핑 (unclamping) 시간 저감에 대한 최적 조건에 관한 연구)

  • Chung, Won-Jee;Cho, Young-Duk;Lee, Choon-Man;Jung, Dong-Won;Song, Tae-Ji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achine Tool Engineers
    • /
    • v.15 no.3
    • /
    • pp.1-7
    • /
    • 2006
  • By the reason of increased demand of high productivity, the researches on manufacturing process and equipments for reducing cycle time have been made in many directions of a machine tool industries. Especially high productivity is very important to machining center with high-speed spindle. This paper proposed method of reducing T-T(tool to tool) time which results in shorter unclamping time. T-T time varies as factors such as a hydraulic system, a drawbar mass, a flow meter, a disc spring, piston and pipe diameters. In this paper We could find design factors has much influence on decreasing the unclamping time using DOE(Design of Experiment) and optimized the level of the factors using AMESim $4.0^{(R)}$ and visualNastran $4D^{(R)}$ Finally, we have verified improved result of the optimized factors with initial design.

Analysis of traction and power requirement for forage harvester (조사료 수확기의 견인력 및 소요동력 분석)

  • Hong, Seongha;Kang, Daein;Cho, Yongjin;Lee, Kyou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80-80
    • /
    • 2017
  • 국내에서 대부분 생산되는 사료(사일리지) 수확 작업은 베일 생산 및 비닐 래핑 작업이 독립적으로 수행되고 있어서 비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조사료 수확기는 수집, 롤링, 베일 네트 생성, 래핑, 래핑 종료 및 베일 방출작업을 통합적으로 수행하도록 설계-제작하였다. 통합형 다목적 조사료수확기의 설계는 3D 디자인 툴 (CATIA V5R18)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기구부 23 파트 어셈블리, 전기제어 어셈블리, 유압요소기술을 통합하여 통합시작기를 제작하였다. 기초 프레임, 오거장치파트, 픽업장치파트, 하부롤러파트, 상부롤러파트, 하부 프레임 및 주행부 파트, 래핑회전파트, 롤러부 구동 동력부, 유압파트, 전기제어파트, 드로우바파트, 체결 및 컨트롤러 파트 등 25개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작기의 견인력 및 소요동력 분석은 선행 연구에서 사용한 Brixius (1987) 제안 모델을 체택하여 분석하였다. 이 Brixius 제안 모델은 견인력 예측에서 토양변수 및 토양강도 특성을 나타내는 원추지수 (Cone Index, CI)를 이용하여 트랙터의 견인력 예측에 사용하였다. 또한 트랙터-조사료수확기 시스템의 소요 견인력을 예측하는데 있어, 트랙터-조사료수확기 시스템이 운용되는 토양조건과 트랙터의 마력에 따른 소요 견인력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3수준의 토양조건 (CI: 356 kPa, 543 kPa, 1,429 kPa)을 적용하였으며, 베일의 개당 최대무게는 최고 수준인 옥수수 기준으로 800 kgf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3수준의 CI 조건은 연구팀에서 선행연구과정 (토양특성에 따른 최적 경운작업 시스템 개발, 2006)에서 분석한 전국 10개 지역의 33개 지점의 경반층 CI지수의 측정범위인 1,050-3,170 kPa에 대해 견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열악한 조건 수준을 적용하였다. 각 작업에 사용된 소요동력은 베일 작업시 (ASABE D497.7, 2011) 그리고 래핑작업시 (Zhortuylov et al., 2013)를 사용하였으며 두 소요마력을 트랙터-조사료 수확기 시스템의 필요 소요마력의 합계로 계산하였다. 트랙터-조사료수확기 시스템의 최소 소요 동력, 차축 소요 동력과 PTO 소요 동력을 Zoz and Grisso (2003)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ASAE의 작업속도 및 작업효율을 적용하였는데, 적용된 조사료수확기의 현장 작업효율은 60-86%의 범위이고 일반적으로 70%를 적용하고 이때 작업속도는 2.5-8.0 km/h이며 전형적으로 5.0 km/h를 기준하고 있다. 자주식 (SP; sief-propelled machine) 조사료수확기의 경우 작업속도가 2.5-10.0 km/h의 범위에서 작업효율은 60-85% 범위이다. 적용되는 조사료 수확기의 작업효율인 60-85%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작업효율인 70%를 적용하면 트랙터의 소요동력은 95hp를 적정 작업환경으로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