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드레싱시간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Grinding Wheel Life and Dressing Time Using AE Sensor (AE센서를 이용한 숫돌의 수명판정 및 드레싱시간의 결정에 관한 연구)

  • 전길재;이상태;정윤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7.10a
    • /
    • pp.1022-1027
    • /
    • 1997
  • The grinding operation is an important machining process for machining of final surface. However. grinding process has inevitable troubles such as loading and glazing for grinding wheel. It is, therefore, an essential research theme to determine the wheel life and the dressing timefor efficient grinding. In this study, AE signals (AEavg) generated in thc grinding operation were measured and the dressing time was determ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AEavg value. To verify the propriety of the obtained result. the AE signals measured on the grinding and the dressing operation were compared with the grinding force signals and the dressing force which were measured at same time. From the obtained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determination of the wheel life and the dressing time by the AE measurement technique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practically used.

  • PDF

원통연삭에 있어 비가공시간 단축기술

  • 김선호;박화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103-107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원통 프런지 연삭에서 비가공시간을 줄이기 위해, 공연삭시간 단축과 드레싱 신호를 이용한 숫돌 손상상태 검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삭기의 심압대에 설치한 AE센터와 숫돌 덮개에 설치한 초음파센서를 이용해 공연삭, 공작물과 숫돌의 근접, 접촉상태를 감시하고 이에 대응해 적절히 이송속도를 제어했다. 그리고 드리싱시 나타나는 AE 신호의 표준편차를 이용해 숫돌의 손상상태를 검출해서, 드레싱 기회에 대한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합으로써 비가공 시간을 단축했다.

  • PDF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Grinding Wheel Life and Dressing Time Using AE Sensor (AE센서를 이용한 숫돌의 수명판정 및 드레싱시간의 결정에 관한 연구)

  • Jun, Kil-Jae;Lee, Sang-Tae;Kim, Nam-Kyung;Jung, Yoon-Gy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9 no.5
    • /
    • pp.95-102
    • /
    • 2002
  • The grinding operation is an important machining process for machining of final surface. However, grinding process has inevitable troubles such as loading and glazing for grinding wheel. It is, therefore, an essential research theme to determine the wheel life and the dressing time for efficient grinding. In this study, AE signals (AEavg) generated in the grinding operation were measured and the dressing time was determ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AEavg value. To verify the propriety of the obtained result, the AE signals measured on the grinding and the dressing operation were compared with the grinding force signals and the dressing force which were measured at same time. From the obtained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determination of the wheel life and the dressing tilde by the AE measurement technique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practically used.

의료품질의 향상을 위한 두피절개 및 드레싱 방법의 개선 효과 분석;CT 영상안내에 의한 직선형 또는 S자형 두피절개와 액상 드레싱효과

  • Jo, Jun;Kim, Mi-Yeong;Eom, Gi-Su;Park, Geun-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06.11a
    • /
    • pp.51-56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의료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하여 제안된 뇌 전위적 영상안내에 의한 개두술 방법과 옥틸 시안화 아크렬산염 (2-octylcyanoacrylate: 2-0CA)을 드레싱 재료로 사용한 조사군과, 전통적 개두술 방법과 봉합사 및 아이오다인을 사용했던 대조군과 비교를 실시하여 의료품질 향상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특정 의료기관에서 26 례 조사군과, 38례 대조군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성, 감염균, 두피접착의 열개(裂開)성 및 기타 위험 인자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새롭게 제안된 의료용 재료인 2옥틸시안화 아크릴산염은 피부조직 속으로 외부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제한하였으며, 외피 접착기능으로 창상보호 특히, 평균감염률과 감염빈도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대조군보다 우수하였다. 한편 뇌 전위적 영상 안내에 의한 개두술 방법으로 수술시간의 단축과 수술 복잡성의 경감 및 위험성이 감소되었으며, 상처 부위 흔적이 적게 남는 등 미용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abrication of Micro Shapes (or Advanced Materials by ELID Grinding (ELID 연삭에 의한 고경도 재료의 미소형상가공)

  • Qian, Jun;Ohmori, Hitoshi;Kim, Gyung-Nyun;Jeong, Hae-Do;Kato, Teruk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7 no.3
    • /
    • pp.122-128
    • /
    • 2000
  • 세라믹, 다이야몬드등과 같은 고경질재료에 대한 미소형상의 가공은 대단히 어렵고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상당한 시간을 요구한다. 이러한 재료의 고능률 가공을 실현하기 위하여, 메탈본드 다이야몬드휠에 전해 인프로세스 드레싱(Electrolytic In-Process Dressing)을 적용한 연삭을 머시닝센타에서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메탈본드 다이야몬드휠은 전기방전에 의하여 고능률로 트루잉(truing)되었다. 알루미나 세라믹의 핀선단($\phi$50$\mu\textrm{m}$)과 로커웰 경도측정기의 다이야몬드 압입자(indenter)($\phi$40$\mu\textrm{m}$)를 ELID연삭에 의하여 창성하였다. 그 결과를 본 논문에서 보고한다.

  • PDF

Reducing the Non Grinding Time in Grinding Operations(2nd report) -Decision of Dressing Chance and Depth by the Direct Measurement of Grinding Wheel Surface- (연삭가공에 있어 비가공 시간 단축에 관한 연구(II))

  • KIM, Sun Ho;AHN, Ju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4 no.8
    • /
    • pp.101-107
    • /
    • 1997
  • In general, grinding is one of the final machining processes which determines the surface quality of machined products. Since the ground surface is affected by the states of grains and voids on the grinding wheel surface, the wheel should be dressed before the machined surface deteriorates over a quality limit This paper describes a systematic approach to decide a proper dressing chance and an optimal dressing depth for the working grinding wheel. An eddy current sensor and a laser displacement sensor are used to measure the loading on the working wheel surface and the topography of the dressed wheel surface respec- tively. The dressing chance can be properly decided through the relational locus between the amount of handing and the machined surface roughness. An optimal dressing depth to guarantee the less wheel loss and the higher wheel surface quality is decid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variance of topography for the dressed wheel surface, which decreases at three different rates according to the accumulated dressing depth.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grinding by spark-out (불꽃소멸에 의한 연삭특성에 관한 연구)

  • 이연종;김정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5 no.3
    • /
    • pp.120-125
    • /
    • 1993
  • The surface roughness of workpiece is reduced during spark-out. The reduction of roughness is a benefit of spark-out, but spark-out lowers productivity. The characteristics of spark-out are different to those of plunge grinding to which feed is applied. This difference is due to overlapping cutting during spark-out. Effect of spark-out is in proportion to volume of grain wear. This phenomenon is due to different overlapping area. Dressing interval can be enlarged by spark-out, when volume of grain wear is larg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 of spark-out was studied by spark-out obserbation in various grinding conditions. For this purpose thrust force, spark-out time and surface roughness of workpiece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in various grinding conditions.

  • PDF

평면연삭의 가공특성감시와 이상상태 진단

  • 정인근;임영호;권동호;최만용;임순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10a
    • /
    • pp.155-160
    • /
    • 1993
  • 연삭가공은 숫돌의 입자가 마멸,파쇄,탈락,생성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가공하는 것으로 연삭과정은 사용하는 연삭숫돌의 종류, 드레싱조건,연삭조건 등의 인자에 영행을 받는다. 더욱이 연삭숫돌의 연삭성능은 연삭가공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한다. 이때 요구되는 가공능률과 가공정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연삭과정을 자동감시하고 이상상태를 진단하는 기술의 확립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AE를 이용하여 평면연삭에 있어서 연삭숫돌의 종류별(WA계 비트리파이드 및 레지노이드결하ㅂ제연삭숫돌 36종류) 및 연삭조건을 변화시켰을때의 연삭저항 및 AE 신호의 변화등을 In-process 검출하여 연삭가공상태의 자동감시 및 자동이상진단시스템을 위한 AE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

원통연삭에서의 AE 특성분석

  • 이응숙;제태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04b
    • /
    • pp.86-91
    • /
    • 1993
  • 연삭숫돌은 드레싱에 의해 초기숫돌면의 상태가조정되며, 가공과 더불어 공작물과 연삭숫돌의 연속적인 간섭으로 공작물의 치수변화와함께 연삭숫돌도 작업면이 변화하게 된다. 공작물의 표면은 연삭조건 및 공작물과 숫돌의 접촉특성에 따라 Rubbging, Ploughing, Cutting 작용이 이루어져 가공면이 형성되며 이때의 공작물의 표면 품위( Surface Integrity)는 연삭숫돌의 상태변화에따라 매우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원통연삭작업 에서의 감시 및 진단기술개발을 위하여 AE 센서의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기위하여, 센서의 설치위치에 따른 영향 및 연삭가공 특성을 잘나타내는 AE Parameter의 선정을 위한 실험을 수행하며, 가공시간에 따른 연삭숫돌작업면 의 상태변화에 의한 AE Parameter의 변화를 조사하며, 이와더불어 연삭중의 법선저항을 측정분석하고 통계적인 수법으로 ARMA (Autoregressive Moving Average)을 이용하여 가공특성변화를 분석한다.

HPP, High-Pressure Process (저산성 식품에 유용한 고압처리 공정)

  • Lee, Bu-Yong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15 no.2
    • /
    • pp.93-99
    • /
    • 2002
  • 고압처리로 멸균된(high-pressure- sterilized) 저산성 식품은 아직 본격적으로 시장에 나오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고압처리로 살균시켜(high-pressure-pasteurized)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인 상품들은 일부 시판되고 있다. 미국시장에는 구아카몰(guacamole),굴 등이 있고, 일본과 유럽에는 잼, 젤리, 생선제품, 육제품, 슬라이스 햄, 샐러드 드레싱, 쌀떡, 주스, 요구르트 등이 판매되고 있다. 기술이 발전되어 처리비용이 떨어짐에따라 우유나 오렌지 주스 같은 저부가가치의 제품(high-volume commodity products)에도 고압처리 기술이 적용되는 예를 보게 될 것이다.미국 FDA의 "열처리된 저산성식품은 용접밀봉된 용기(캔, hermetically sealed container)에 포장되어야 한다." 는 규정(Title 21, Part 113 of the Code Federal Regulations)은 고압처리 식품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규정은 아니지만, 저산성식품의 고압처리 공정(high-pressure processing)은 강력한 살균력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위의 FDA 규정(21 CFR 113)의 모든 조항은 고압처리 저산성 식품이 상업적인 생산에 들어가기 전에 시행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그 규정의 주요 조항중의 하나는 고압처리 공정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전문가나 위원회 등에 의하여 세부적인 고압처리공정 절차를 확립하는 것이다. 공정의 전문가들은 안전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적합한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고압처리 공정을 확립해야만 한다. 저산성 식품에 대한 고압처리 공정은 주의깊게 설정된 공정조건하에서 재현성 있게 안전한 식품을 생산할 수 있어야 한다. 살균에 대한 안전성과 재현성이 입증되면 고압에 의한 살균처리공정 설계는 일반적인 대량생산 공정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PP(고압처리공정)의 유효성이 보다 확실하게 입증되고 널리 활용되려면, 공정의 살균력과 일관성(uniformity)을 증명하는 미생물적, 물리적, 화학적, 공학적인 여러 분야가 통합된 검증방법이 필요하다. 전통적인 열처리 공정은 스팀열의 가열시간으로 설명이 충분하다. 물론 HPP살균에서도 시간과 온도는 주요 변수이지만, 압력에 의한 미생물살균도 고려되어야만 한다. 또한 점도, 밀도, 구성성분, pH, 수분활성도 같은 해당제품의 특성도 제품의 고압처리 살균공정, 특히 미생물의 사멸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