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드래프트 관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수력터빈 드래프트관을 통과하는 물고기에 미치는 난류의 영향 수치모의 (Numerical Investgation of the Effect of Turbulent Flow on Fish Passing through Hydroturbine Draft Tube)

  • 백중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8권5호
    • /
    • pp.365-377
    • /
    • 2005
  • 본 연구는 수력발전시설에서 물고기의 생존과 상해를 유도하는 흐름현상을 파악하기 위한 진보된 수치해석기법의 개발을 다루고 있다. 원형 젤의 LES를 실시하여 난류젤의 전단지역에 물고기를 방류하는 실험의 결과를 수치적으로 해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순간 LES 흐름장이 유속, 압력 그리고 와도의 강한 변동으로 특성지울 수 있으며, 이것이 물고기에게 시간평균 정상류보다 상당히 큰 추진력과 모멘트를 발휘함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아울러 수력터빈 드래프트관에서의 부정류를 RANS/LES의 혼성모형 즉 DES를 이용하여 해석하였으며, 물고기가 드래프트관내에서 방향감각을 상실하거나 과도하게 지체하도록 할 수 있는 난류가 발생함을 보여준다.

드래프트 관 장착 나선형 교반장치의 작동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in a Helical Screw Agitator with a Draught Tube)

  • 황정훈;김윤제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62-1167
    • /
    • 2006
  • Because the mixing efficiency is influenced remarkably by varying the geometrical configurations, the study of flow characteristics inside the agitator is very important. The draught tube in the agitator makes intermixing between the screw and tube by interrupting radial flow, and the helical screw agitator with a draught tube (HSA) is proved more efficient to mix than the others. Consequently, the shapes of helical screw and number of pitches are the main parameter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HSA. In this study, numer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a commercial CFD code, Fluent, to obtain the velocity and pressure distributions under steady, laminar flow and no-slip condition. Results are graphically depicted with various parameters.

  • PDF

내부순환유동층 반응기에서의 폐타이어 가스화 모델링 (Modeling of Waste Tire Gasification in an Internally Circulating Fluidized Bed)

  • 이승엽;김용전;김상돈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5-79
    • /
    • 1999
  • 순환유동층은 주탑에서 비말 동반된 입자를 cyclone과 같은 입자 포집장치에서 회수하여 다시 주탑으로 재 주입함으로써 입자의 순환이 일어나는 외부 순환계와 종래의 유동층내에 원형관(Draft tube)이나 평판을 설치하여 두개의 층으로 분리한 후 가스 분산판 위의 간격을 통해 입자들을 두 구역 사이로 강제 순환시키는 내부순환계로 분류할 수 있다. 드래프트 관을 갖는 내부순환유동층 반응기는 기체와 고체의 적절한 접촉을 통해 반응이 이루어지는 반응기 형태이다.(중략)

  • PDF

드래프트 관이 장착된 교반기 내의 유동 및 혼합특성 연구 (Flow and Mixing Characteristics in an Agitator with a Draught Tube)

  • 황정훈;김윤제
    •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56-63
    • /
    • 2007
  • Because the mixing efficiency is influenced remarkably by varying the geometrical configurations, the study of flow characteristics inside the mechanical agitator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performances. The draught tube in the agitator makes intermixing between the screw and tube by interrupting radial flow, and it makes circulation region in a mixing chamber. In general, the helical screw agitator with a draught tube (HSA) is proved more efficient to mix than the others. Consequently, such as the shapes of helical screw, number of pitches and the variation of angular velocity are the main parameters for improving the capacity of HSA. And also the suspension of the solid particles in the agitator can be determined these parameters. The rate of solids suspension in the mixing chamber was quantified with a statistical average value, of. Numer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a commercial CFD code, Fluent, to obtain the velocity, pressure and particle distributions under steady, laminar flow and no-slip conditions. Results are graphically depicted with various parameters.

드래프트 관을 갖는 내부순환유동층 반응기에서의 폐타이어 가스화 공정의 특성 연구 (Gasification Process Characteristics of Scrap Tire in an Internally Circulating Fluidized Bed with a Draft Tube)

  • 이승엽;김용전;김상돈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1-74
    • /
    • 1999
  • 최근 들어 자동차 보유대 수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폐타이어의 발생량도 급격히 증가하였다. 폐타이어의 발생량이 적었을 때는 매립이나 소각 등의 방법으로 폐타이어를 처리해도 별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폐타이어 발생량이 급격히 증가한 요즈음은 발생된 폐타이어가 합법적으로 처리되어지지 못하고 야적, 방치, 불법 매립 및 소각 등의 방법으로 처리됨으로써 환경적인 오염뿐만 아니라 시각적 공해, 대기 오염 등의 문제를 심각하게 야기 시키고 있다.(중략)

  • PDF

화재진압대원의 화재현장 위험도 및 돌발화염 인식 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Fire Risk and Flash Flame Concerning the Firefighter)

  • Choi, Jae-hyeong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529-53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화재현장에서 소방관들이 느끼는 위험성과 돌발화염에 대한 인식에 관하여 조사하고 연령, 경력 및 계급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화재현장에서 느끼는 위험성은 계급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화재현장에서의 돌발화염 노출 가능성에 대해서는 70% 이상의 응답자가 노출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하였으나 연령, 경력, 직급에 따른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만약 화재현장에서 돌발화염을 겪게 될 경우의 위기대처 능력에 관한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연령, 경력, 직급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향후 돌발화염의 모의 훈련 등의 강화가 보다 절실히 요구되며, 돌발화염에 따른 표준작전절차의 개선이나 화재진압교육의 보완을 통해 인명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들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