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둑중개과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서해 중부연안에서 채집된 둑중개과(Cottidae) 한국미기록종, Icelinus japonicus (First Record of Icelinus japonicus (Scorpaeniformes: Cottidae) from Korea)

  • 김병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5-309
    • /
    • 2011
  • 충청남도 태안연안 암반조간대에서 채집된 3개체(체장 30.0~33.8 mm)를 근거로 둑중개과 한국미기록종인 Icelinus japonicus를 기재 보고한다. 본 종은 등지느러미 하방에 2열의 즐린이 있고, 배지느러미가 1극조 2연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골과 구개골에 이빨이 있는 특징이 있다. 신한국명으로 '두줄비늘횟대'를 제안한다.

둑중개과 가시꺽정이 Ocynectes maschalis의 형태적 특징 (Description of a Small Sculfin, Ocynectes maschalis (Scorpaeniformes: Cottidae) from Korea)

  • 김병직;오민기;안정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9-44
    • /
    • 2015
  • 우리나라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둑중개과 가시꺽정이 14개체를 근거로 종 동정을 위해 외부 형태적 특징을 상세히 기재했다. 본 종은 제1등지느러미가 낮고 그 후방에 흑색 반점이 있는 점, 복부에 암색 반점이 없는 점, 제2등지느러미 후방에서 꼬리지느러미 기부에 이르는 등쪽 정중선을 따라 3개의 암색 안장 모양의 반문이 있는 점, 그리고 후두부에 2쌍의 피변이 있는 점에서 유사종인 '민가시꺽정이'와 쉽게 구별된다.

동해안에서 채집된 둑중개과 한국미기록종, Icelus stenosomus (First Record of Icelus stenosomus(Perciformes: Cottidae) from Korea)

  • 고명훈;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1-64
    • /
    • 2009
  • 우리나라의 강원도 동해 주변해역에서 둑중개과 Icelus속에 속하는 한국미기록종 어류 4개체(표준체장 114.2~134.2 mm)를 채집하였다. 본 종은 후두부에 한 쌍의 강한 가시와 몸의 등쪽과 배쪽에 구별되는 비늘 열을 가지고 있고, 체측에 흰색의 벌레먹은 무늬가 나타나며, 두부 뒤쪽에 작은 비늘이 산재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이 종을 Icelus stenosomus Andriashev로 동정하였으며 국명을 '무늬줄가시횟대'라고 명명하였다.

한국산(韓國産) 둑중개과(科)어류(魚類) (Synopsis of the Family Cottidae (Pisces : Scorpaeniformes)from Korea)

  • 김익수;윤창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4-79
    • /
    • 1992
  • 1989년(年)부터 1992년(年)까지 우리나라 전 연안과 담수역에서 둑중개과(科) 어류(魚類)의 표본을 채집하여 분류학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조사에서 채집된 21종(種)을 포함하여 모두 21속(屬) 36종(種)의 속(屬) 및 종(種)으로 정리하고 이들의 속(屬)과 종(種)의 검색표(檢索表)를 제시하면서 분류학적 위치와 미세분포를 기록하였다. 그 가운데 졸단횟대 Triglops jordani(Schmidt), 개구리 꺽정이 Myoxocephalus stelleri Tilesius, 송곳횟대 Taurocottus bergi Solatov et Pavlenko, 흑점줄가시횟대 Icelus ochotensis Schmidt 및 띠점횟대 Pseudoblennius zonostigma Jordan et Starks의 5종은 한국(韓國) 미기녹종(未記錄種)으로 그 형태적 특징을 재기재(再記載)하였다. 둑중개과(科) 어류(魚類) 가운데 Furcina oshimae, Ocynects maschalis 및 Pseudoblennius cottoides의 3종(種) 제외한 대부분의 어류는 우리나라 동해연안의 중북부(中北部) 연안(沿岸)에서 출현되었는데 이것은 Okhotsk 한류의 영향과 관련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 PDF

한국산 둑중개과(쏨뱅이목) 첫기록종, Cottus pollux (First Record of the Japanese Fluvial Sculpin, Cottus pollux (Scorpaeniformes: Cottidae) from Korea)

  • 윤봉한;김용휘;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7-287
    • /
    • 2022
  •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암곡동 형산강 지류인 덕동천 상류에서 둑중개과 (Cottidae) 둑중개속(Cottus)에 속하는 어류 2개체 (표준체장 79.3~100.8 mm)를 채집하였다. 이들은 구개골에 이빨이 없는 점, 가슴지느러미의 기조가 분지되지 않고 기조수가 12~13개인 점, 배지느러미에 뚜렷한 반점이나 무늬가 없는 점, 그리고 머리 또는 몸 앞쪽에 검은색 띠가 없는 점 등에서 C. pollux로 동정되었다. 또한, 핵 DNA의 ITS1 유전자 영역과 미토콘드리아 DNA의 cytb 유전자 영역을 이용한 분자계통학적 분석 결과, 본 표본은 일본산 C. pollux와 동일한 유전적 clade를 형성하여 상기 형태학적 특징에 의한 종 동정 결과를 뒷받침하였다. 신한국명으로는 대한민국에 분포하는 둑중개 및 한둑중개와 달리 배지느러미에 반점이나 무늬가 없는 형태적 특징에 따라 '민무늬둑중개'를 제안한다.

한국산 동사리과 (Odontobutidae)와 둑중개과 (Cottidae) 5종의 핵형 (Karyotypes of Five species in Odontobutidae and Cottidae of Korea)

  • 박갑만;송호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5-162
    • /
    • 2006
  • 한국산 동사리과 (Odontobutidae)의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얼록동사리 (O. interrupta), 남방동사리 (O. obscura) 그리고 둑중개과 (Cottidae)의 둑중개 (Cottus koreanus), 한둑중개 (C. hangiongensis) 등 5종의 핵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동사리, 얼록동사리, 남방동사리의 염색체 수 및 핵형은 2n=44 (22T), NF=44였으며, 둑중개와 한둑중개의 염색체 수와 핵형은 2n=48(2ST+22T), NF=52로 밝혀졌다.

한국산 둑중개과 (Cottidae) 어류 1미기록종, Artediellus fuscimentus Nelson, 1986 (New Korean Record of Artediellus fuscimentus (Scorpaeniformes: Cottidae))

  • 신의철;박정호;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07-212
    • /
    • 2016
  • 2010년 12월 4일 강원도 동해시에서 15개체, 2015년 2월 1일 강원도 삼척시에서 1개체의 Artediellus fuscimentus가 처음 채집되었다. 본 종은 전새개골 가시 4개, 제2등지느러미 줄기 12~13개, 뒷지느러미 줄기 10~12개를 가지며, 첫번째 전새개골 가시 안쪽에 작은 가시가 없고 가슴지느러미 뒤끝이 뒷지느러미 기점을 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mtDNA cytochrome b 염기서열 600 bp를 이용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 종은 Artediellus atlanticus와 차이(d=0.057~0.061)를 보였으나, 일본산 A. fuscimentus와는 완전히 일치하였다. Artediellus속의 국명으로 "엄지횟대속"을, A. fuscimentus의 국명으로는 "엄지횟대"를 새롭게 제안한다.

서해 태안연안의 어류상 (Fish Fauna of the Coastal Waters off Taean in the West Sea of Korea)

  • 임환철;최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5-222
    • /
    • 2000
  • 충남 태안 연안의 어류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6년 5월부터 1999년 7월 까지 총 13회의 채집을 실시하였다. 채집방법은 어부들에게 의뢰하거나, 정치망, 낚시, 손그물을 이용하였다. 채집된 표본들은 Nelson(1994)의 분류체계에 따라 정리한 결과 모두 14목 40과 63속 73종으로 확인되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우세하게 출현한 분류군은 조사 지점 1에서 별망둑 (Chasmichthys gulosus)과 점망둑 (Chasmichthys dolihcognathus), 조사지점 2에서 조피불락 (Sebastes schlegeli)과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조사지점 3 에 서 는 민어과 어류 (Sciaenidae), 참서대과 어류 (Cynoglossidae),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i), 참돔 (Pagrus major), 왜도라치 (Chirolophis wui), 흰베도라치 (Pholis fangi) 등 주로 정착성 유영 어류와 저서어류들이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본 조사해역은 계절에 따른 난류의 영향보다는 연안냉수의 영향을 주로 받기 때문에 난대성 어류가 적게 출현한 것으로 판단되며, 채집된 어류 가운데 농어목 Perciformes이 16과 30속 35종으로 가장 다양하게 출현하였고, 전체 출현종의 47.9%를 점유하였다. 본 조사의 정점 1에서 채집된 둑중개과(Cottidae) 어류 2개체는 미기록종 Porocottus sp.로 기재하였으며, 제1등지느러미 와 제 2등지느러미가 연결되어있고, 측선위에 미세한 비늘이 있는점, 몸 앞부분의 측선 위에 촉수모양의 물기물이 있는 점으로 둑중개과 실횟대속 Porocottus 다른 종들과 잘 구분되었다.

  • PDF

한국산 점줄횟대 Cottiusculus nihonkaiensis(둑중개아목, 둑중개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Cottiusculus nihonkaiensis (Cottoidei: Cottidae) from Korea)

  • 진주원;강충배;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41-147
    • /
    • 2023
  • 둑중개아목 (Cottoidei), 둑중개과 (Cottidae), 꼬마횟대속(Cottiusculus)은 전 세계적으로 4종, 일본에 3종, 국내에 2종이 보고되어 있다. 꼬마횟대속 어류는 머리와 몸이 종편되어 있고 피부아래 측선 비늘을 제외하면 비늘이 없는 것이 특징이며, 4개의 전새개골 가시를 가지고 가장 위쪽 전새개골 가시가 등쪽을 향한 작은 가시와 함께 휘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 외 위턱, 서골, 구개골에 이빨을 가진다. 꼬마횟대속에 속하는 종으로는 국내에 꼬마횟대 (C. gonez)와 점줄횟대 (C. nihonkaiensis)가 있다. 이 중 국내 점줄횟대는 초기에는 많은 어류학자들이 Cottiusculus schmidti로 사용하였지만, Cottiusculus nihonkaiensis가 Kai and Nakabo (2009)에 의해 보고된 이후 대부분 C. nihonkaiensis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산 점줄횟대의 분류학적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 한국에서 채집된 점줄횟대 형태와 분자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기존에 보고된 문헌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산 점줄횟대는 C. schmidti와 달리 비극(nasal spines)이 단순했고 주상악골 극모(MX, maxillary cirrus)가 두 갈래였으며, 눈 위에 안상골 극모(SOC, supraorbital cirrus), 아가미뚜껑에 주새개골 극모(OP, opercular cirrus), 전새개골 극모(PO, preopercular cirrus) 그리고 측선 극모(LLP, lateral line cirri)가 나 있었다. 또한, 측선아래 얼룩 개수가 적었다. 일본산 점줄횟대와 한국산 점줄횟대는 체장에 대한 비율이 대부분 일치하였다. 그리고, 분자계통분석결과 역시 한국과 일본 두 지역의 점줄횟대가 잘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 이러한 특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면 한국산 점줄횟대는 C. nihonkaiensis인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