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두 셀 유동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ransition of Natural Convective Flows Subjected to Small-Wave-Number Sinusoidal Wall Temperatures with Phase Difference (위상 차이가 있는 작은 파동수의 정현적인 벽면 온도 하에서의 자연 대류 유동의 천이)

  • Yoo, Joo-Sik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33 no.2
    • /
    • pp.300-311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atural convection of air(Pr=0.7) between two walls having a small- wave- number sinusoidal temperature distributions with a phase difference. The wave number and the phase difference of wall temperatures are k=0.5 and ㄱ/2, respectively. In the conduction-dominated regime at small Rayleigh number, two slightly inclined cells are formed over one wave length. At higher Rayleigh number, however, multicellular convection occurs in thermally unstable region. A spatial symmetry is intermittently broken in the transient period at the Rayleigh number near the critical value. The steady-state flows always satisfy the spatial symmetry. A steep increase of Nusselt number occurs near the Rayleigh number at which transition of flow pattern occurs.

Investigation of Heat Transfer Performance in Corrugated Plate Heat Exchanger Utilizing Liquid Crystal Method (액정법을 이용한 주름형상 판형열교환기의 열전달 성능해석)

  • 박성봉;이재용;김남진;김종보;서태범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9 no.4
    • /
    • pp.328-333
    • /
    • 2000
  • 이 연구의 목적은 액정법을 이용하여 주름형상 판형 열 교환기에서의 내부유동과 열 전달 성능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으며 공기를 작동유체로 사용하였다. 과거에는 실험이 주로 판형 열 교환기의 입·출구에서의 열 전달 성능에만 관심이 집중되었다. 그러나 이 실험에서는 액정법을 이용하여 판형열교환기 셀 표면 위에서의 국소 누셀트수의 분포를 연구하였다. 레이놀즈수가 증가할수록 열 전달 성능은 증가하였으나 마찰계수는 감소하였다. 주름각이 증가할수록 열 전달 성능과 마찰계수는 모두 증가하였다. 국소 누셀트수 분포로부터 열 전달이 잘 일어나는 부분은 주름을 타고 넘어 들어온 두 유동이 만나는 곳이며 또한, 셀의 가운데 부분은 셀의 수직단면적이 커서 셀 표면과 유동의 접촉이 약하므로 작은 누셀트수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Nemerical Analysis of Natural Convection in a Confined Stratified Fluid (밀폐용기내 성층화된 유체의 자연대류에 관한 수치적 연구)

  • 현명택;이진호;모정하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3 no.6
    • /
    • pp.1321-1329
    • /
    • 1989
  • 본 논문에서는 성층화된 용액ㅇ네 수평방향으로 온도구배가 가해지는 경우에 있어서 두 부력인자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나타나는 유동형태와 그에 따른 온도, 농도 분포 및 열전달특성을 수치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Free Convective Transition of Intermediate Prandtl-Number Fluids in a Wide-Gap Horizontal Annulus (넓은 수평 환형 공간에서의 중간 Prandtl수 유체의 자연 대류의 천이)

  • Yoo, Joo-Si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24 no.2
    • /
    • pp.169-176
    • /
    • 2000
  • Natural convection in a wide-gap horizontal annulus is considered, and the transition of flows and the bifurcation phenomenon are investigated for the fluids with Pr=0.2 and 0.3. At Pr=0.2, a bicellular flow pattern is observed at high Rayleigh number, and the solution is unique. At Pr=0.3, both the steady unicellular and bicellular flows exist above a certain critical Rayleigh number. For the fluids of Pr=0.2, the bicellular flow can be obtained by the impulsive heating of the inner cylinder, but it is not obtained from the zero initial condition for Pr=0.3. Hysteresis phenomena have not been observed. A transition from a bicellular flow to a unicellular flow occurs for Pr=0.3.

Location Area Design of a Mobile Cellular Network with Time-dependent Mobile flow and Call Arrival Rate (시간에 따른 인구유동 / 호 발생의 변화를 고려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위치영역 설계)

  • Hong, Jeong-Sik;Jang, Jae-Seong;Kim, Ji-Pyo;Lee, Chang-Hun;Lee, Ji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775-783
    • /
    • 2005
  •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위치영역 설계는 위치관리 비용을 최소화하도록 네트워크를 위치영역으로 분리하는 문제이다. 기존 위치영역 설계 관련 연구는 설계의 모수가 되는 호 발생률 및 셀 간 가입자 이동률을 고정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실제 환경에서의 두 모수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일정한 패턴을 나타내며, 시간 당 셀 내 인구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구유동 및 호 발생의 불확실성 및 시간에 따는 패턴 변화를 고려하여 기준 이상의 페이징 서비스 품질을 만족시키고, 비용을 최소화 하는 위치영역 설계 방식을 제안하였다. 모수의 변동에 일정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시간대 및 가동률 상한의 개념을 도입하여 추계적 문제를 정적 그래프 분리문제로 변환하였고, 이에 대한 솔루션은 Simulated Annealing을 응용한 경험적 최적해 도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도출했다.

  • PDF

Natural Convection of Air in a Horizontal Annulus with the Inner Cylinder Cooled by Constant Heat Flux (일정 열 유속으로 냉각되는 안쪽 실린더를 갖는 수평 환형 공간에서의 공기의 자연 대류)

  • 유주식;엄용균;김용진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2 no.8
    • /
    • pp.755-762
    • /
    • 2000
  • Natural convection of air in a horizontal annulus with the inner cylinder cooled by the application of a constant heat flux and the isothermally heated outer cylinder is considered. The bifurcation phenomenon of flow patterns and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re numerically investigated. The zero initial condition induces a unicellular flow in a half annulus. A bicellular flow consisting of two counter-rotating eddies in a half annulus can be obtained above a certain critical Rayleigh number. A transition from the bicellular to the unicellular flow occurs with a decrease in Rayleigh number. Hysteresis phenomena have not been observed. In the regime of dual flows, the overall Nusselt number of the bicellular flow is greater than that of the unicellular flow.

  • PDF

Fluid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Open Cell AZ31 Mg Alloy Foam

  • Yue, Xue-Zheng;Hur, Bo-Young
    •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 /
    • v.32 no.3
    • /
    • pp.150-156
    • /
    • 2012
  • 발포금속은 초경량 재료로서 폐기공과 개기공의 두 가지 형태의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폐기공은 내충격성, 흡음성, 단열성의 기능을 지니고 있고, 개기공은 필터, 생체지지대, 촉매재, 열방출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개기공발포재는 삼차원 구조모양으로 프리커서를 이용한 압력정밀주조나 기공입자용출법으로 제조하고 있으나 기공의 크기나 셀의 형상, 두께 등을 조절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환경친화적인 펄라이트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크기의 그래뉼을 제조한 후, 용융마그네슘합금을 감압주조법으로 주조하여 그래뉼의 크기로 기공율을 조절하고, 주형의 온도와 압력에 따른 유동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그래뉼 직경이 2.3 $mm{\O}$ 일때에 주형의 온도 $300^{\circ}C$ 이상, 압력이 5000 Pa 이상에서 유동길이 6.5 cm 이상을 얻었다.

A hybrid RANS/LES Investigation of Backward-facing Step Flow (후방계단흐름의 하이브리드 RANS/LES 연구)

  • Yoo, Donggeun;Paik, Jo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5-105
    • /
    • 2019
  • 보나 여수로와 같은 수공구조물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흐름 거동은 구조물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흐름분리(flow separation)와 이에 따른 전단층(shear layer)과 재순환(recirculation) 흐름 영역의 발달 그리고 분리된 흐름의 재부착(reattachment)이 특징이다. 공학적으로 난류의 해석에 있어서 이러한 흐름 거동들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수공구조물 설계에 있어서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흐름 분리와 재순환 영역의 발달 그리고 흐름 재부착을 포함하는 후방계단(backward-facing step) 흐름을 155,000의 레이놀즈수 조건에서 하이브리드 RANS/LES 모델을 적용하여 해석결과를 평가한다. 하이브리드 모델로는 벽에 인접한 격자의 해상도에 상대적으로 민감하지 않은 SST(shear-stress transport) 난류 모델을 이용하는 DES(detached-eddy simulation) 기법을 적용하였다. 계단 높이가 h인 계산영역은 흐름방향 길이가 34h, 높이는 계단 상류와 하류에서 각각 1h와 2h 그리고 폭은 $2{\pi}$이다. 계단은 상류단으로부터 10h 하류부 지점에 위치한다. 경계조건으로 상부와 하부 벽면에 대해서는 비활조건을 적용한다. 상류부 수로에서 완전 발달한 흐름을 재현하기 위해서 유입경계조건은 유입부 하류 $2{\pi}h$ 지점에서 계산된 유속과 난류량을 매핑(mapping)기법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적용한다. 총 3.1백만개와 7.3백만개의 셀로 계산영역을 구현한 두 개의 계산격자 그리고 약 3.1백만개의 셀을 이용했지만 벽면 근처에서의 격자 구성을 다른 방식으로 설정한 두 가지 격자를 이용하여 격자 해상도가 DES 수치해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치해석결과는 본 연구에서 상류단 조건으로 적용한 매핑기법이 대상 수로에서 완전 발달한 흐름을 잘 재현함을 보여주며, 합리적인 DES 해석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벽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절한 격자의 해상도와 분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 PDF

Load Ratio between Two Adjacent Wings of Load Cell Type Anemometer according to Wind Direction (풍향에 따른 로드 셀형 풍향풍속계의 인접한 두 날개 사이의 하중 비)

  • Han, Dong-Seop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6 no.5
    • /
    • pp.357-361
    • /
    • 2012
  • Anemometer is a meteorological instrument that measures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in real time, and is mounted to the cranes that are used at ports, shipbuilding yards, off-shore structure, or construction sites that are influenced by wind, and it i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safety system. Load cell-type anemometer measures the wind direction through the ratio of load between 4 positions by mounting the thin plate to 4 load cells, and measures wind velocity through the summation of loads.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in the theoretic approach, analytic approach and experimental approach to derive the correlation between load ratio and wind direction. Wind direction was selected as the design variable, and selected 9 wind direction conditions from $0^{\circ}{\sim}90^{\circ}$ with $11.25^{\circ}$ space for analysis, and 10 wind direction conditions with $10^{\circ}$ space for experiment.

Low Rayleigh Number Thermal Convection Between Two Horizontal Plates with Sinusoidal Temperature Distributions (정현적인 온도 분포를 갖는 두 수평 평판 사이에서의 작은 Rayleigh 수 열 대류)

  • 유주식;김용진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3 no.3
    • /
    • pp.145-152
    • /
    • 2001
  • Low Rayleigh number thermal convection in a fluid layer confined between two-infinite horizontal walls kept at spatially sinusoidal temperature distributions, T_L=T_m+\Delta T\sin \kappax,\;T_U=T_m+\Delta T\sin(\kappax-\beta)$, is theoretically investigated by a regular perturbation expansion method. For small wave numbers, an upright cell is formed between the two walls at $\beta$=0. The cell is tilted, as the phase difference increases, and a flow with tow counter-rotating eddies occurs at $\beta=\pi$. when the wave number is large, isolated eddies are formed near the lower and upper walls, for all the phase differences. There exists a wave number at which maximum heat transfer rate at the walls occurs, at each of the phase differences. And the wave number increases with increase of the phase difference. for a fixed wave number, the heat transfer rate decrease with increase of the phase differ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