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부 자세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68초

두부자세에 따른 두경부 근활성 및 교합접촉양태의 변화 (Effects of Head Posture on Resting EMG Activity of Craniocervical Muscles and on Occlusal Contacts)

  • Chang-Kweon Song;Kyung-Soo Han;Chan Ch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1권1호
    • /
    • pp.89-101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influence of the changes of head posture on resting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in anterior temporalis, masseter,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trapezius, and on status of occlusal contacts. For this study twenty-nin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and thirty dental students without any masticatory symptoms were selected as patients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EMG activity($\mu$V) at rest was observed in four kind of head postures such as natural or normal head posture(NHP), forward head posture(FHP), upward head posture(UHP), downward head posture(DHP), and in NHP and FHP, EMG activity with flat occlusal splint was also checked. BioEMG$^\textregistered$(Bioelectromyograph, Bioresearch Inc., USA) was used to record EMG activity in the above four muscles with eight locations on both sides. The author used T-Scan$^\textregistered$(Tekscan Co., USA) system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oclusal contats on clenching in the four head postures about number, force, time(duration) and total left-right statistis(TLR, occlusal stability crossing left-right dental arch on clenching). For taking in upward or downward head posture, head was inclined $10^{\circ}$ upward or downward and CROM$^\textregistered$ (cervical-range-of motion, Performance attainment Inc., USA) was used to maintain same posture during the procedur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For resting EMG activity, anterior temporali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y change of head posture, but masseter and sternocleidomastoid muscle showed higher value of EMG activity in FHP and UHP, and trapezius showed higher value of EMG activity in FHP and DHP. 2. EMG activity of trapezius was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muscles in NHP, FHP, and DHP, but in UHP, the activity was the lowest reversely. 3. Patients group showed higher EMG activity than control group did in all the muscles in NHP. An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lso observed in anterior temporalis in FHP, 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in UHP, and 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trapezius in DHP with higher activity in patients group. 4. There was no change of EMG activity in NHp with splint, but EMG activity in anterior temporalis and masseter was decreased in FHP with splint. 5. In general, status of occlusal contacts was not changed with head posture in all subjects, and difference between patients group and control group was only noted for number and force of tooth contact in UHP and DHP with more value in control group. 6. Correlationship between EMG activity and number ad force of tooth contacts was shown negatively with regard to masseter in NHP, and trapezius in UHP and DHP.

  • PDF

뇌성마비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ies of Cerebral Palsy)

  • 강원식;전경훈;손병희;김성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4호
    • /
    • pp.512-518
    • /
    • 2002
  • 목 적: 저자들은 뇌성마비의 임상양상과 원인인자를 관찰함으로써 본질환의 원활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운동발달 지연이나 자세이상으로 성분도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여 뇌성마비로 진단 받고 부설 소아물리치료실에서 추적 관찰한 103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통하여 뇌성마비 환아의 생리적 분류와 고위험요인 및 뇌단층 또는 뇌자기공명영상의 결과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1) 총 103명의 환아들 중 남아가 64명, 여아가 39명이었다. 2) 뇌성마비 환아들 중 미숙아 출생이 59명, 만삭아 출생이 44명이었다. 3) 대상 환아 103명의 생리적 국소학적 분류에서는 경직성 반신마비가 55례(53.4%)로 가장 많았다. 4) 대상 환아의 위험인자로 산전인자는 전치태반 1례(0.9%), 태반조기박리 1례(0.9%),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 1례(0.9%)였다. 주산기 인자는 미숙아 출생이 59례(52.2%), 신생아 가사 12례(10.6%), 난산 2례(1.7%), 다태임신 5례(5.5%), 둔위분만 1례(0.9%)였다. 산후인자는 두부 외상 3례(2.7%), 뇌막염 2례(1.8%)였으며, 총 103명의 환아들 중 원인을 모르는 경우도 26례(23%)였다. 5) 대상 환아의 뇌단층촬영 및 뇌자기공명영상 소견은 미숙아군 59례 중 55례에서 관찰한 결과 37례(62.7%)에서 뇌실주위연화증이 가장 많았고 정상소견도 6례(10.2%)였다. 만삭아군은 44례 중 33례에서 관찰한 결과 뇌위축이 15례(41.7%)로 가장 많았고, 정상소견을 보인 경우도 6례(13.6%)였다. 6) 대상 환아 103명 중 29례(28.2%)에서 경련을 동반하였다. 결 론: 최근의 뇌성마비 원인인자와 임상양상 등 그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뇌성마비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두부자세와 경추형태에 따른 근활성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y by Head Posture and Cervical Spine Shape)

  • Ho-Chun Hwang;Kyung-Soo Han;Chan J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1권2호
    • /
    • pp.393-405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anges of head posture and cervical spine shape on the mandibular resting or clenching electromyographic(EMG) activity in anterior temporalis(TA), masseter(MM), sternocleidomastoid muscle(SCM) and trapezius insertion(TI). 30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MG activity($\mu$V) at rest and clenching was observed in four head postures, namely natural head posture(NHP), forward head posture(FHP), upward head posture(UHP), and downward head posture(DHP). For taking in upward or downward head posture head was inclined 10$^{\circ}$ upward or downward and CROM$^\textregistered$(cervical-range-of motion, Performance attainment Inc., USA) was used to maintain same posture during the procedure, and BioEMG$^\textregistered$ (Bioelectromyograph, Bioresearch Inc., USA) was used to record EMG activity in the above four muscles at eight locations on both sides. The recorded EMG activity($\mu\textrm{V}$)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cervical spine shape such as the head position from plum line, cervical curvature, and cervical inclination. Head position from plum line was measured in vertical plate calibrated with cm scale, comical curvature by radius was measured with adjustable curved ruler, and cervical inclination by cervical vertebrae tangent(CVT)was measured in lateral cephalograph.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Mean value of head position from plum line, cervical curvature, and cervical inclination were 4.8cm, 26.7cm, and 86.6$^{\circ}$, respectively, And There were no correlationship among these items. 2. For resting EMG activity by head posture, the value in anterior temporalis was higher at FHP than at DHP, the value in masseter was higher at FHP than at NHP, and DHP, the value 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was higher at UHP than at NHP, and the value in trapezius insertion was higher at FHP and DHP than, NHP and UHP. The clenching EMG activity, however,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y head posture. 3. Comparison of resting and clenching EMG activity between higher and lower groups by head position from plum line, cervical curvature, and cervical inclination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is result, the author concluded that the cervical spine shape had not significantly affected to EMG activity in usual patients with TMDs.

  • PDF

수종의 코골이장치 장착에 따른 인두공간의 변화 (Changes of the Pharyngeal Space by Various Oral Appliances for Snoring)

  • 조철배;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3호
    • /
    • pp.247-256
    • /
    • 2009
  •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은 대부분 상기도의 인두부위의 폐쇄에 의해 발생되므로, 이 부위의 폐쇄를 방지하기 위해 혀나 하악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구강내 장치가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세 종류의 코골이장치 즉, 하악전방이동장치(mandibular advancement appliance, MAA), 혀견인장치(tongue retaining appliance, TRA), 하악-혀전방이동장치(mandibular advancement-tongue retaining appliance, MATRA )가 구인두와 하인두 공간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Class I 교합을 갖고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의 증상이 없으며 체질량지수 (BMI)가 정상인 남성 9명을 대상으로 상기 세종류의 코골이장치를 제작하였으며, 이때 MAA, MATRA의 하악전방이동량은 5mm로 TRA, MATRA의 혀전방이동량은 10-20mm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코골이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CO상태와 MAA, TRA, MATRA를 장착한 상태에서 측모두부 규격방사선사진을 촬영한 후, 구인두와 하인두 공간, 두경부 자세, 연구개와 설골의 위치와 관련된 20가지 측정항목에 대해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MAA, TRA, MATRA 모두 상부 구인두 공간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으나, MATRA 만이 하부 구인두 공간을 유의성 있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개선시키는데 있어 MATRA가 MAA와 TRA에 비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최소전단보강근비의 평가 (Evaluation of the Minimum Shear Reinforcement Ratio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 이정윤;윤성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43-53
    • /
    • 2004
  • 철근콘크리트 부재가 취성적이며 국부적으로 파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각 기준식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최소전단 보강근비를 요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의 최소전단철근비에 대한 기준식과 캐나다 기준식, 유럽 기준식, 일본건축학회 기준식을 비교하면 각 기준식에 의하여 계산된 최소전단보강근비 값에는 많은 차이가 있어 그 신뢰성에 의문을 갖게 한다. 즉, 동일한 콘크리트의 실린더 압축강도에 대하여 각 기준식의 최소전단보강근비 값은 최대 2배 이상의 차이가 있다. 또한, 최소전단보강근비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각 기준식마다 다르며, 이에 대한 연구도 그 중요성에 비하여 극히 적은 실정이다. 이연구에서는 트러스 모델에 근거한 이론적인 방법에 의하여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최소전단보강근비를 예측하였다. 제안식에는 최소전단철근비에 영향을 주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전단보강근의 항복응력, 주근비, 전단경간비의 영향이 고려되었다. 제안식에 의하여 계산된 최소전단철근비는 콘크리트 압축강도에 따라 변화하며, ACI 318-02 및 캐나다 규준과 비슷한 분포를 나타냈다. KCI-99 및 ACI 318-02의 최소전단철근비는 주인장철근비에 관계없이 일정하지만 제안식에 의한 최소전단철근비는 주인장철근비가 증가할수록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전단경간비에 따른 최소전단철근비에 대하여 KCI-99 및 ACI-318-02에 의한 최소전단철근비는 전단경간비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보였지만 제안식에 의한 최소전단철근비는 전단경간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변화로 인한 resetup의 번거러움을 줄일 수 있었고 환자에게 인위적으로 치료 자세를 유지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는 set-up의 재현성을 유지해 보다 정확한 치료를 가능하게 했고 앞으로 이 고정용구를 보완, 개선시켜서 환자의 치료에 활용한다면 더욱더 질적으로 향상된 치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하였다. IV. 결론 Forward IMRT는 2차원적인 치료법에 비하여 PTV에는 균일한 선량분포를 이루면서 정상조직에는 tolerance dose 이하로 선량을 전달 할 수 있는 치료기법이었다. 계속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최대 $11.65\%$까지 골조직에 의한 선량감소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한, Diode detector로 측정한 심부선량 값은 두부, 경부, 대퇴부, 슬관절, 족관절에서 각각 $95.23{\pm}1.18,\;98.33{\pm}0.6,\;93.5{\pm}1.5,\;87.3{\pm}1.5,\;86.90{\pm}1.16$으로 나타났으며, TLD로 측정한 대퇴부, 슬관절, 족관절에서의 표면선량과 비교했을 때 부위에 따라 최소 $4.53\%{\sim}$ 최대 $12.6\%$ 까지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골조직에 의한 선량감쇄의 영향이 적은 복부(배꼽)에서는 열형광선량계 및 다이로드측정기로 측정한 값이 각각 $101.58{\pm}0.95,\;104.77{\pm}1.18$로 큰 차이가 없었다. IV 결론 전신방사선조사시 표면선량을

사례분석을 통한 경호 전문성 제고 (Professionalism raising of the escort which leads an instance analysis)

  • 유형창
    • 시큐리티연구
    • /
    • 제18호
    • /
    • pp.73-99
    • /
    • 2009
  • 본 논문에 분석자료로 소개되는 요인암살 및 위해사건은 3가지인 바 미국의 레이건대통령 저격사건, 한국의 박정희대통령 저격사건, 이스라엘의 라빈수상 암살사건이다. 1981년 레이건대통령이 워싱턴의 힐튼호텔 앞에서 연설을 마치고 백악관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차량에 탑승하기 직전, 범인 힝클리가 33구경 리볼버 권총으로 대통령의 가슴과 공보비서 및 경호원 등을 실탄6발로 저격한 사건이 발생하였으며, 한국에서는 제일동포 2세 문세광이 1974년 서울 장충동 소재 국립극장에서 거행된 29주년 8. 15광복절 기념식 행사장에서 박정희대통령을 시해하려다 실패하고 육영수여사를 저격하여, 우측두부에 총상을 입혀 사망케 한 사건이 발생하였고, 이스라엘 라빈수상은 1995년 이스라엘 텔아비브 시청 앞에서 중동평화정착 계획지지 군중대회를 마치고 차량에 탑승하려는 순간 범인 이갈 아미르가 쏜 총탄에 피격되어 사망하였다. 이러한 사건들은 경호분석 측면에서 큰 교훈을 남겼으며, 경호기관에서 교육훈련시 활용되고 있는 소재들이다. 한국에서도 대통령실 경호처는 물론이고, 전국 경호관련학과에서 '경호분석학', '경호실무', '경호방법론' 등의 교과목에 주요한 위해사건 모델로 다루어지고 있다. 경호임무를 수행함에 있어 경호기법은 가장 중요한 사안이다. 더불어 정치 사회 문화와의 제반관계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호분석적 측면에서 주요 모델로 다루어지고 있는 이 사건들을 소개 수준을 넘어, 경호기법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재평가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특히 미국 레이건대통령 암살미수사건은 현장의 근접경호원들이 총성 이후 10초 만에 경호 대상자인 레이건 대통령을 사건 현장에서 즉시 대피시키는 신속성을 발휘한 부분에 있어서 1963년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과 비교해 볼 때 경호원들의 행동이 상당히 전문화 되었다는 긍정적 성공사례로 평가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제기된 행사장 외곽 취재구역 근무요원의 방심, 수시사용 행사장에 대한 안일한 자세, 무선교신 혼란과 무선보안 누설위험, 의무기록철 비치 미비, 위해 인물 프로파일링 미비, 병원 및 응급실 사전 미확보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켰음을 부인할 수 없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