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부 자세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3초

입체조준장치를 이용한 중추신경계의 방사선 입체조형치료 계획 (3-D Conformal Radiotherapy for CNS Using CT Simulation)

  • 추성실;조광환;이창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4권2호
    • /
    • pp.90-98
    • /
    • 2003
  • 목적 : 척수에 전이가 가능한 뇌종양 치료를 위한 두개척수 방사선치료를 전산화단층촬영장치(volumetric spiral CT)와 입체조준장치(CT simulator) 및 3차원 조형치료계획장치(3D conformal planning system)를 이용한 두개척수 방사선치료계획 방법을 개발하고 기하학적 검증을 통하여 유용성과 정확성을 평가한다. 방법 : 연세암센터 방사선종양학과에서 두개척수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11명을 대상으로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한 입체 모의치료계획과 3차원 방사선조형치료를 시행하였다. 중증의 뇌종양 환자의 두경부는 두부고정틀(thermoplastic mask, $Aquaplast^{R}$)로 고정시키고, 전신은 $Vac-Loc$ $Aquaplast^{R}$ (전성물산, 한국)으로 고정한 후 전산화단층촬영장치(Spiral CT)를 이용하여 전신체적영상(volumetric image)을 얻었다. 환자자세의 재현성 확인 및 검증을 위해 두부에 세 개의 점과 전신에 기준선 및 기준점 등을 표시하였다. 이후 입체조준장치(CT-simulator)의 가상현실영상(virtual fluoroscopy)에서 인체의 크기와 방향에 제약이 없고 치료 침대와 고정기구에 대한 시각장애를 제거함으로써 자유롭게 모의치료를 할 수 있었으며, 조사면과 선속을 결정하고 디지털화재구성사진(digitally reconstructed radiography, DRR)과 디지털화합성사진(digitally composited radiography, DCR)을 통하여 분해능이 좋은 화질의 투시 및 모의치료영상을 획득하였다. 기하학적 검증은 치료중심점 이동시 얻은 모의치료영상과 첫 치료 시에 얻은 조사면 검증 사진(port verification film) 등을 전산화단층촬영영상으로부터 재구성한 DRR 영상과 시각적,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 였다. 결론 : 입체조준장치와 3차원 방사선치료계획 장치 등을 이용하여 두개척수 방사선 치료계획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원활히 수행할 수 있었다. 가상현실영상에서 대부분의 설계작업이 이루어지므로 환자의 자세고정을 요하는 시간은 전신체적 영상을 얻는 10분 이내이므로 환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모의치료과정 중의 체위 변동 변수를 제거할 수 있었다. 또한 전산화단층촬영영상을 얻음으로써 중요정상조직인 안구, 척수 등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었고, 조사면 결정과 차폐의 정확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환자자세오차는 디지털화재구성사진과 치료 시마다 얻은 포트필름에서 치료중심점과 척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3 mm 이내의 정확성을 얻을 수 있었다. CT조준장치를 이용한 중추신경계의 방사선 입체조형치료는 가상현실모의치료계획으로 두개척수의 방사선치료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었다.

  • PDF

대구.경북지역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 관리 실태 조사 (A Survey of Purchasing Management for School Foodservice Food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 김윤화;이연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76-384
    • /
    • 2012
  • 본 연구는 학교급식 식재료의 품질 관리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대구 경북의 영양(교)사 271명을 대상으로 식재료 구매실태를 조사하였다. 전처리 채소의 사용비율은 도라지(88.4%), 마늘(87.8%), 데친 고사리(80.1%), 연근(65.7%), 우엉(63.5%), 실파(63.5%), 토란대(57.6%), 생강(35.1%), 알타리무(30.6%), 데친 취나물(29.2%), 대파(25.8%), 당근(25.5%), 양파(21.4%), 감자(8.9%) 순이었다. HACCP 인증제품 사용비율은 육류(75.9%), 계란류(66.7%), 두부(65.5%), 전처리 수산물(55.1%), 묵(49.9%), 양념류(44.9%), 김치(30.9%), 전처리 채소류(22.7%), 과일류(6.9%) 순이었다. 친환경식재료의 사용비율은 알류(31.0%), 육류(28.7%), 두부류(22.1%), 과일류(17.7%), 전처리 수산물(16.7%), 양념류(11.9%), 전처리 채소류(10.5%), 김치류(6.7%) 순이었다. 수입 식재료의 이용비율은 묵류(29.2%), 전처리 수산물(24.7%), 두부류(20.5%), 양념류(15.9%), 과일류(10.1%), 전처리 채소류(4.8%), 알류(0.7%), 김치류(0.4%) 순이었다. HACCP 인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품목은 쇠고기와 돼지고기(81.5%), 닭고기(80.1%), 전처리 수산물(78.6%), 냉동만두(73.8%), 두부(71.6%), 깐 알류(70.8%), 어묵(69.4%), 묵(65.7%), 우유(63.1%), 김치(54.6%), 양념류(50.6%), 냉동우동(45.4%), 전처리채소(44.3%), 두채류(29.5%) 순이었다. 학교에 공급되는 전체 식재료의 품질은 상등급의 식재료가 공급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학교가 59.0%로 가장 많았고, 식재료 품질 위변조 사실을 확인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전체의 8.1%, 품질인증 위변조를 확인한 품목은 육류가 12건, 농산물 2건, 닭고기와 수산물이 각 1건이었고, 위변조 사실 확인 후 시정을 요구한 것은 6건, 계약을 취소한 경우 1건이었다. 따라서 우수하고 안전한 식재료가 학교급식에 더 많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생산 가공업체, 유통업체의 적극적인 협조와 영양(교)사의 철저한 검수와 적극적인 자세가 요구되었다.

성인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올바른 비순각 평가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nasolabial angle in adult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 장준호;이신재;김태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72-282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순이 이완되도록 개구한 상태(relaxed lip position)에서 촬영한 측모 두부방사선사진과 일반적으로 채득하는 중심교합위에서 입술을 다문 상태(closed lip position)의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에서 비순각의 변화 양상을 비교하여 안모 분석 시 relaxed lip position의 중요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전치부 반대교합을 보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성인환자(평균 23.3세) 60명(남자 35명, 여자 2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구순이 이완되도록 개구한 상태에서와 중심교합 상태에서의 비순각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성 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비순각의 변화량 사이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좀 더 객관적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자 군집분석을 통해 제1군(27명, 45%, 구순 이완시 비순각이 감소하는 군), 제2군(30명, 50%, 구순 이완 시 비순각이 증가하는 군), 제3군(3명, 5%, 구순 이완 시 비순각이 예외적으로 크게 증가하는 군)으로 분류하였다. 제1군에서는 상순이 전체적으로 후방 이동되며 비순각은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제2군에서는 상순이 후하방 회전되며 비순각이 증가하였다. 제3군에서는 상순이 하순과 하악전치에 의해 상방으로 압박되었다가(compression)이완되며 비순각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구순이 이완된 상태에 대해 중심 교합 시의 비순각의 변화가 다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정확한 안모분석과 수술-교정 치료 후의 연조직 심미성의 예측을 위해 기록 채득과 분석 시 이완된 구순 위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이러한 자세로 진단용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골격성 II급 성인 부정교합자에서 혀와 두개안면골격 및 악간공간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s between tongue with skeletal pattern and intermaxillary space in Class II malocclusion adult patients)

  • 강현희;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75-587
    • /
    • 1999
  • 골격성 II급 부정교합자 중 성장이 완료되었다고 생각되는 만 18세 이상의 여자 37명, 만 20세 이상의 남자 23명을 선정하여 정상 성인의 안면비를 기준으로 hyperdivergent group(n=30)과 hypodivergent group(n=30)으로 나누어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의 투사도를 작성하였으며 두개안면골격 및 혀의 크기, 높이 그리고 자세를 나타내는 항목을 계측하였고, 두 군간의 차에 대한 유의성 검정 및 혀와 두개안면골격 그리고 악간공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두 군의 혀와 악간공간의 계측항목 비교시 악간공간에 대한 혀의 면적비(TS/IS)는 hyperdivergent group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PIH(posterior intermaxillary height)와 IS(intermaxillary space)는 hypodivergent group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나 혀의 높이와 자세를 나타내는 항목에서는 두 군간에 유의할 만한 차이가 없었다. 2. 혀와 두개안면골격의 상관관계 비교시 두 군 모두에서 혀의 면적(TS), 길이(TGL) 그리고 높이(TH)를 나타내는 계측항목이 전안모고경 (AFH)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또한 hypodivergent group에서는 후안모고경(PFH)과도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1). 3. 혀와 악간공간의 상관관계 비교시 두 군 모두 혀에 관한 대부분의 항목(H-P제외)이 악간공간(IS)과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혀의 높이 (TGH)와 면적 (TS)을 나타내는 항목은 악간공간의 AIH 및 PIH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p<0.01).

  • PDF

정상인들의 다양한 자세에서 두부와 경부의 회전 동안 경부 표층 근육들의 사용 비율 (Comparison of Multimodal Posture of Healthy Adults on the Usage Rate of the Superficial Neck Muscles during Head and Neck Rotation)

  • 황태연;송현승;이남용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41-52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levels of usage of the superficial neck muscles during head rotation in forward head posture and in multimodal postures for improvement of cervical rotation movement impairment. METHODS: To acquire electromyography (EMG) signals from the sternocleidomastoid (SCM-M), upper trapezius (UPT-M), and the splenius capitis (SPC-M) muscles, 11 subjects practiced right rotation of the head in forward head postures (FHP), upright sitting postures (USP), upright sitting postures with supported arms (SUP), standing postures with the arms leaning against the wall (WSP), and four feet postures (FFP), respectively. RESULTS: The left SCM-M was used significantly more in the FFP compared to the FHP, but not in other postures (p<0.01). The left UPT-M was used significantly more in all postures other than the FHP. The right SPC-M was used significantly more in the FFP (p<0.001) and significantly less (p<0.05) in the SUP compared to the FHP. CONCLUSION: During the rotation of the head, although the usage of the SPC-M significantly decreased in SUP compared to FHP but the usage of the SCM-M and UPT-M did not decrease significantly in other postures compared to FHP.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prove the hypothesis that special postures may reduce the activity of the superficial neck muscles during head rotation.

두부자세 및 교합장치에 따른 연하운동의 변화 (Effects of Head Posture and Occlusal Splint on Swallowing Movement)

  • Sung-Jin Moon;Kyung-Soo Ha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1권1호
    • /
    • pp.55-65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ead posture and occlusal splint on the vertical dimension in mandibular rest position and swallowing. Thirty health dental students ware selected lot this study and BioEGNⓡ(Bioresearch Inc., USA) was used for measuring interocclusal distance during rest - swallowing - rest - tapping movement. This swallowing movements were observed in both normal head posture(NHP) and forward head posture (FHP). Thickness of occlusal splint was about 2mm at posterior molar area and even tooth contact were achieved on light biting. The four mandibular positions at which interocclusal distance measured were swallowing position, after swallowing position in which interocclusal distance was maximum, rest position follows swallowing, and tapping position after rest. Changes of distance in each position were measured for three mandibular planes, that is, sagittal, frontal, and horizontal plane,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In normal head posture, the mandible was raised 1.03mm without splint, and 0.77mm with splint on swallowin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horizontal plane, however, mandible was displaced more anteriorly in both swallowing position and tapping position with splint. 2. In forward head posture, the mandible was less raised with splint on swallowing, but features in horizontal plane were almost same as those in normal head posture. 3. In natural dentition,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HP and FHP were observed in horizontal plane trajectory for swallowing and tapping position. But the difference for same positions were observed in frontal trajectory with splint. 4. Total amount of mandibular movement of two groups classified with sagittal interocclusal distance of swallowing position general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igher and the lower height group in head posture without splint. 5. Correlationship among total amount of mandibular movement for three mandibular planes were observed between sagittal plane and horizontal plane, and between sagittal plane and frontal plane in head posture without splint.

  • PDF

장안모군에서 악관절 장애와 악안면 골격형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TMD and Skeletodental Form in Long Face Patterns)

  • 태기출;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7-49
    • /
    • 1999
  • 악관절 기능 장애는 교정치료 전,중 또는 후에 빈번하게 부딪치는 어려운 문제이다. 특히 장안모 고경군의 형태학적 특징상 악관절 기능이상이 쉽게 발현될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이에 17세 이상의 여성중 SN-MP가 $38^{\circ}$ 이상인 장안모 유형 환자를 대상으로 악관절 기능 장애군 51명, 비장애군 42명을 대상으로 교정모형과 두부방사선 사진을 대상으로 통계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악관절 기능 장애군과 비장애군에서 수평 피개량과 수직 피개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악관절 기능 장애군과 비장애군에서 하악 평면에 대한 하악 제1대구치의 기울기 및 수직적 위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악관절 기능 장애군과 비장애군에서 기능적 요소로 두경부 자세, 혀, 및 설골의 위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측두하악 장애환자에서 두부자세 변화가 초기 교합접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d Posture Change on Initial Occlusal Contact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 Patient)

  • Weon-Ho Choi;Woo-Cheon K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0권2호
    • /
    • pp.489-496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 effect of change on head posture initial occlusal contacts with measuring the distances between initial occlusal contacts and maximum intercuspal position at different head posture in TMDs patient. For this study, 24 patients from age 13 to 36 were selected, they were examined health history taken, patients who have sign and symptoms of TMDs were examine before the study. For the normal group, 21 adults from age 23 to 25 were selected. They have normal or class I molar relationship, and have no other prosthetic restorations. Difference on distance between initial occlusal contact and maximum intercuspal position with mandibular kinesiograph$(MKG^R)$(K6 diagnostic system, Myo-tronic Inc, USA) in upright, supine, 45$^{\circ}$ extension, 30$^{\circ}$ flexion position of the head were measured. The Frankfort horizontal plane was used as a reference pla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itial occlusal contacts of the normal and patient group on upright position and 30$^{\circ}$ flexion of the head(p<0.05, p<0.01) 2. The position of the initial occlusal contacts have a tendency to place anterior and inferior to maximal intercuspal position in upright position and 30( flexion of the head as well as posterior and inferior in supine position and 45$^{\circ}$ extension of the head in the normal and patient group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initial occlusal contacts between uptight and supine position; upright and 45$^{\circ}$ extension of the head(p<0.05); supine position and 30$^{\circ}$ flexion of the head, .and 30(flexion and 45$^{\circ}$ extension of the head in the patient group(p<0.01) The result have shown that after treatment on the supine position, it may be necessary to check occlusal contact on the upright position as well ass flexion of the head. It may need careful adjustment in occlusal condition on upright position of TMDs patient.

  • PDF

두부의 자세 변화가 초기 교합접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d Posture Change on Initial Occlusal Contacts)

  • Woo-Cheon Kee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0권1호
    • /
    • pp.195-204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 of head posture change on initial occlusal contacts through measuring the distances between initial occlusal contacts and maximum intercuspal position at different head posture. Two special devices were designed and constructed. Mandibular movement replicator was used to assess reliability of the K6 diagnostic system(MKG; Myo-tronic Inc, Seatle, USA) and head posture calibrator was used to maintain the constant head posture during experiment. We measured difference of distance between initial occlusal contact and maximum intercuspal position with MKG in upright, supine, 45 degrees extension, 30 degrees flexion, 30 degrees right and left bending postion of the head. The Frankfurt horizontal plane was used as a reference plane. 21 adults aged from 23 to 25 were selected, who have normal or class I molar relationship, and have no symptoms on TMJ and masticatory muscles, and have restorations less than 3 surfaces on each tooth, and have no other prosthetic restoration.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mean absolute distances between initial occlusal contact and maximum intercuspal postion were 0.39(0.18mm in the upright position, 0.65(0.37mm in the supine position, 0.59(0.33mm in the 45 degree extension, 0.70(0.53mm in the 30 degrees flexion, 1.12(1.10mm in the 30 degrees right bending and 1.94(0.67mm in the 30 degrees left bending of the head. The positions of the initial occlusal contacts have a tendency to locate anterior, left and inferior to maximal intercuspal position in upright position, posterior and inferior in supine position and 45 degrees extension, anterior and inferior in 30 degrees flexion, right and inferior in 30 degrees right bending, and left and inferior in 30 degrees left bending of the hea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initial occlusal contacts in each head postures(P<0.0001). Therefore, we need to check initial occlusal contacts in the altered head posture during occlusal analysis and adjustment of occlusal appliance and dental occlusion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 PDF

현수운동 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두부전방자세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Sling Exercise Program on the Correction of the Forward Head Posture Among Adolescent)

  • 유달영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20
    • /
    • 2014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ing exercise on the cervical lordotic angle, craniovertebral angle, and head rotation angle among adolescents in the forward head posture. Methods: The subjects include 22 adolescents that recorded a mild level or higher on the posture evaluation index by New York State. They were randomly divided to the hand exercise group (n=11) and the control group (n=11). The former group participated in the sling exercise program three times a week over four weeks in total with each session lasting 60 minutes, whereas the latter group was not included in the program. The cervical lordotic angle, craniovertebral angle, and head rotation angl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The study compared the cervical lordotic angle between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sling exercise and found that the sling exercise group made an increase of $7.36^{\circ}$ from $21.91^{\circ}$ to $29.27^{\circ}$ after the intervention(p<.05). As for the comparison results of the craniovertebral angle, the sling exercise group made an increase of $5.64^{\circ}$ from $48.91^{\circ}$ to $54.55^{\circ}$ after the intervention (p<.05). As for the comparison results of the cranial-rotation angle, the sling exercise group made an decrease of $-7.73^{\circ}$ from $148.82^{\circ}$ to $141.09^{\circ}$ after the intervention (p<.05). The control group showed no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05). Conclusion: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of sling exercise in the forward head posture can be a good program to maintain the right posture and improve or prevent an abnormal posture and raise a need for more clinical applications and ongoing resear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