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부 방사선 계측사진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7초

성별에 따른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측모 두부방사선계측학적 관련요인 (Gender-wise analysis of the cephalometric factors affecting obstructive sleep apnea)

  • 황상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64-173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인 성인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남녀 성별차이에 따른 측모 두부방사선계측학적 특성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원 수면 클리닉에 수면장애를 주소로 내원하여 수면다원검사 후 치과에서 측모 두부방사선계측사진 촬영을 한 118명의 성인 환자들 중에서 남성 80명과 여성 38명을 각각 수면무호흡지수(apnea-hypopnea index, AHI) 10을 기준으로 단순 코골이군과 폐쇄성 수면무호흡군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성의 경우 단순 코골이군보다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군의 비만도가 더 높았고, 여성의 경우는 단순 코골이군과 폐쇄성 수면무호흡군 사이의 비만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폐쇄성 수면 무호흡군의 평균 연령이 더 높았다. 또한, 남성에서는 연구개의 두께(SPW), 혀 길이(tongue length) 항목이 AHI와 높은 관련성을 보였고, 여성에서는 하악 하연과 설골 간의 거리(MP-Hyoid)만이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폐쇄성 수면무호흡 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 시 남녀 성별차이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겠다.

두부방사선 계측과 Photographic subtraction을 이용한 측모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의 재현성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REPRODUCIBILITY IN CEPHALOGRAPHY USING ROENTGENOCEPHALOMETRICS AND PHOTOGRAPHIC SUBTRACTION)

  • 전선두;나경수
    • 치과방사선
    • /
    • 제24권2호
    • /
    • pp.347-359
    • /
    • 1994
  • The reproducibility of cephalography in repeated exposures were studied by tracing and photographic subtraction. The materials consisted of 50 pairs of 'same day' radiograph taken under identical conditions. The evaluation included skull, cervical column, hyoid bone, pharynx, tongue, soft tissue profile resulting 43 items in tracing, and 19 items in photographic subtrac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pair were as follows: 1.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by tracing of skull, cervical column, hyoid bone, pharynx, tongue, soft tissue profile were 0.34±0.62㎜, 1.02±1.59㎜, 1.37±1.78㎜, 0.55±1.16㎜, 0.51±1.51㎜, 0.15±0.3㎜ each. 2.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by photographic subtraction of skull, cervical column, hyoid bone, pharynx, tongue were 0.09±0.35㎜, 0.70±0.95㎜, 1.22±1.33㎜, 0.53±0.86㎜, 0.27±0.41㎜ each.

  • PDF

정상교합자와 전치부 개방교합자의 교합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ITING FORCE OF ANTERIOR OPENBITE AND NORMAL OCCLUSION ADULTS)

  • 김동호;이동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87-495
    • /
    • 1995
  • 본 연구는 T-Scan system과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이용하여 정상교합자와 전치부 개방교합자의 최대교합력을 비교하고 안면골격형태, 치아접촉수 및 위치와 교합력과의 상호관계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5명의 정상교합자와 14명의 전치부 개방교합자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치부 개방교합자의 최대교합력은 정상교합자군에 비해 적었다. 2. 전치부 개방교합군에서 SN/MP, FMA, PP/MP는 최대교합력과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3. 전치부 개방교합군에서 교합평면에 대한 하악 제1대구치의 근심경사도가 증가할수록 교합력은 감소하였다. 4. 정상교합군과 전치부 개방교합군 모두에서 치아접촉점이 증가할수록 교합력은 증가하였다. 5. 전치부 개방교합군과 정상교합군의 정량적 감압중심점은 모두 제1대구치 부위에 위치하였다.

  • PDF

비호흡장애 아동에서 인두편도 절제가 치조안면 골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enoidectomy on Dentofacial Skeleton in Naso-reapiratory Dysfunction Children)

  • 이희경;서장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1호
    • /
    • pp.32-41
    • /
    • 1991
  • 비호흡 장애 아동에서 인두편도의 절제가 치조안면골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비호흡 장애 아동 24명의 인두편도 절제전과 절제 1년후의 두부방사선 계측사진과 정상교합 아동의 1년전과 후의 두부방사선 계측사진을 비교분석함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Cranial base variables 두 group간에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2. Craniofacial variables 실험군에서 1년간 성장경향을 보면 Brachyfacial pattern으로 변했지만 대조군에서의 변화는 특정한 경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3. Maxillary variables 실험군에서 1년간 palatal plane의 경사가 평탄해졌고 그 외의 항목에서는 유의차가 발견되지 않았다. 4. Mandibular variables 두 group간에 1년간 성장량의 유의치는 mandibular plane angle과 gonial angle에서 나타났고 특히 실험군에서 감소가 일어났다. 5. Facial height variables 실험군에서 1년간 성장 변화가 하악골의 수평성장회전을 일으켰다. 전항목에서 통계적인 유의차를 나타냈다.

  • PDF

설측 교정치료를 위한 셋업 모형 제작의 정밀도 (Construction of an ideal set-up model for lingual orthodontic treatment)

  • 배기선;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59-474
    • /
    • 2005
  • 치아 모형 및 셋업 모형에서의 정확한 순설측 및 근원심 경사의 측정을 위해 개발된 셋업 모형 측정기로 4개의 제1소구치 발거 후 설측 교정치료를 시행 받은 22명의 성인 환자들의 치료 전후의 진단 모형 및 셋업 모형을 계측하여 설측 교정치료에서 간접 접착술식을 위해 사용되는 셋업 모형의 형태가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치료 전 진단 모형과 셋업 모형간의 상하악 6전치의 순설측 및 근원심 경사 차이는 각각 $-3.93{\pm}6.98^{\circ},\;1.87{\pm}5.79^{\circ}$ 였으며 셋업 모형과 치료 후 치아 모형간의 차이는 $-4.31{\pm}5.91^{\circ},\;-2.16{\pm}3.27^{\circ}$였다. 치료 후 치아 모형에서는 치료 전에 비해 상하악 전치부의 순설측 경사가 $-8.24{\pm}5.39^{\circ}$ 만큼 유의성 있게 변화되었다. 또한 facebow transfer 등을 통해 교합기에 치아 모형을 거상하지 않고도 셋업 모형 측정기만으로 치아 모형과 측모 두부방사선규격사진을 서로 연계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고안하여 그 임상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셋업 모형 측정기를 사용하여 진단용 모형으로부터 측정한 계측 게이지 각과 측모 두부방사선규격사진상에 동일한 계측점화 선분들을 작도하여 측정한 산출 게이지 각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상하악 모두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셋업 모형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모 두부방사선사진에서의 계측 치들을 진단용 모형에서의 계측치와 서로 연계시켜 분석하고 이를 셋업 모형 제작 시 반영하는 방법이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두부 위치 변화에 따른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상의 치축각도의 왜곡 (Distortion of tooth axes on panoramic radiographs taken at various head positions)

  • 전현상;최갑림;임성훈;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40-251
    • /
    • 2008
  • 본 연구는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에서 두부 위치 변화에 따라 인접 치아장축 사이에 이루는 각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정상교합자의 모델을 기초로 하여 3차원 solid 모델을 구성하고 이를 신속 조형모델(rapid prototyping, RP)로 제작하였다. 다음 9가지 두부위치들을 5주 동안 일주일 간격으로 재위치시키고 촬영하였다: ideal head position, $5^{\circ}$, $10^{\circ}$ up, $5^{\circ}$, $10^{\circ}$ down, $5^{\circ}$, $10^{\circ}$ right up, and $5^{\circ}$, $10^{\circ}$ right rotation. 파노라마 방사선사진 촬영은 디지털 방사선 촬영기(Planmeca ProMax)를 이용하였고 모니터상에서 직접 인접 치아장축을 표시하고 그 사이 각도를 계측하였다. 그 결과 이상적인 두부 위치와 다양한 두부 위치 변화에 따라 촬영한 파노라마 방사선사진 사이에 인접 치아장축 사이의 각도가 대부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평축(X축)을 중심으로 고개를 든 경우, 각 치아들의 장축이 교합평면을 향하여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고 고개를 숙인 경우에는 치근단측을 향하여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특히 전치부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전후방축(Y축)을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고개를 기울인 경우, 교합평면이 올라간 쪽의 치아장축은 치근단측을 향하여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고 교합평면이 내려간 쪽은 교합평면을 향하여 수렴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직축(Z축)을 중심으로 고개를 좌우로 회전시킬 때, 고개를 돌린 쪽의 측절치와 견치는 치근단측을 향하여 수렴하고 반대측의 측절치와 견치는 교합평면을 향하여 수렴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볼 때 파노라마 방사선사진 촬영 시 두부의 위치 변화에 따라 치근 평행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환자를 올바르게 위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교정 환자에서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이용하여 치근 평행도를 평가할 때 교합평면의 경사(전후방, 좌우측방)나 악궁의 비대칭 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악관절기능장애 진단을 위한 두부축방향 방사선사진에서의 하악과두의 위치분석 (A POSITIONAL ANALYSIS OF MANDIBULAR CONDYLE ON THE SUBMENTOVERTEX RADIOGRAPH FOR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 김석호;최순철;변종수
    • 치과방사선
    • /
    • 제21권1호
    • /
    • pp.73-81
    • /
    • 1991
  • 저자는 악간절기능장애의 소견을 가진 환자 75명과 악관절기능장애의 병마 및 현증이 없는 정상인 75명을 표준화된 조건하에서 두부축방향방사선촬영을 하여 과두수평각과 initial 및 final depth of cut를 측정하고 통계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환자군과 정상군, 환측과 비환측에 있어 과두수평각과 initial 및 final depth of cut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가 없었으므로 두부축방향방사선사진은 임상에서 악관절기능장애의 유무 및 환측과 비환측의 감별에 이용하기에 부적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계측치는 편차가 심하므로 환자마다 과두수평각을 측정하여 이각에 맞추어 악관절단층촬영을 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 PDF

제 I 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치료전후 PAR지수와 두부방사선계측치의 변화 (The Treatment Change of PAR(Peer Assessment Rating) Index and Cephalometric Measurements in Class I Malocclusion Patients)

  • 김현혜;이기헌;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77-284
    • /
    • 1999
  • 제 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PAR지수가 교정치료기간 및 측모두부방사선 계측 항목과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100명의 교정 환자의 치료 전후 석고모형에서 PAR지수를 구하고, 측모두부방사선사진에서 12개의 계측치를 측정하여 분석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료 기간은 발치 여부 및 치료전 PAR지수와 상관관계를 보였다. 2. ANB, FMA, FMIA, IMPA는 치료전 PAR지수와 치료전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치에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3. $\underline{1}$ to FP는 치료후 PAR지수와 치료후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치에서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overline{1}$ to FP는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4. $\underline{1}$ to SN, IIA, $\bar{1}$ to FP는 ${\%}\;PAR$와 치료전후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치의 변화량과의 관계에서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FMA, FMIA, WITS, UL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석고모형상의 치아관계에서 측정한PAR지수가 측모두부방사선 계측치 중 상하 전치와 관련된 항목과 연관이 있으며, 제I급 구치 관계를 보이는 환자중 ANB 값이 크고 hyperdivergent한 안모를 갖는 경우 치료전 PAR 지수가 큰 경향을 나타냄을 시사하였다.

  • PDF

His선(線)과 상하안모(上下顔貌) 관계(關係)에 관(關)한 두부방사선(頭部放射線) 계측학적(計測學的) 연구(硏究) (A Roentgenocephalometric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His' Line to the Upper and Lower Face)

  • 배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65-71
    • /
    • 1968
  • 저자(著者)는 성장(成長) 발육기(發育期)에 있는 한국인(韓國人)의 His' line과 전두기저선(前頭基底線) 안이평면(眼耳平面) 하악평면(下顎平面) 구개평면(口蓋平面)이 이루는 각도적(角度的) 변화(變化)를 관찰(觀察)하기 위하여 정당교합인(正當咬合人) 남(男) 여(女) 195명(名)의 두부방사선규격사진(頭部放射線規格寫眞)을 Hellma의 치령 분류법(齒齡 分類法)에 의(依)하여 분류(分類)하고 계측(計測) 관찰(觀察)하였든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성장(成長) 발육기(發育期)에 있어서 전두기저선(前頭基底線)과 His' line이 일정(一定)한 각도(角度) 관계(關係)를 유지한다. 2. His' line은 수평성장축(水平成長軸)으로 생각(生覺)할 수 있다. 3. His' line은 구개평면(口蓋平面)과 대부분(大部分) 일치(一致)하며 남녀(男女)에는 별 차이(差異) 없다. 4. 하악평면(下顎平面)과 His' line이 이루는 각(角)이 심한 것으로 보아 강(强)한 경사도(傾斜度)를 나타내고 있다. 5. 서양인(西洋人)에 비해 하악골(下顎骨)의 후퇴(後退)를 볼 수있다.

  • PDF

하악 후퇴술과 전진 이부성형술이 시행된 III급 부정교합자의 초진 시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 특성에 관한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initial lateral cephalometric characteristics: mandibular setback surgery only versus mandibular setback surgery with advancement genioplasty)

  • 김재식;김정일;강승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1-51
    • /
    • 2008
  • III급 부정교합의 악교정수술을 통한 치료 시 하악 후퇴술만을 시행하는 경우와 하악 후퇴술에 전진 이부성형술이 추가로 시행되는 경우에 있어 초진 시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특성차이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올담치 과병원 구강외과에서 III급 부정교합을 하악후퇴술을 통하여 치료한 33명을 대상으로 하여 하악 후퇴술만을 시행한 21명과 하악 후퇴술과 전진 이부성형술을 시행한 12명으로 나누어 초진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B군에서 N-Me, ANS-Me이 더 길었으며 교합평면의 각도가 더 컸다. 구개평면에서 상악중절치까지의 거리, 하악평면에서 하악 절치 및 제1대구치까지의 거리가 B군에서 더 길었으며, 상악 중절치는 더 설측경사를 보였다. B군에서 Sn-Stms는 더 길고 연조직 Pog은 덜 돌출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하악 후퇴술과 더불어 전진 이부성형술이 시행될지 여부를 예측하는데 초진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상의 위 계측항목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수술전 발치교정을 시행한 경우가 있다는 것과 외과의의 심미안, 해부학적 구조등이 이부성형술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것은 본 연구의 한계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