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류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6초

전라남도 광산 주변에서 수확한 농산물의 미량금속 조사 (A Study on Contents of Trace Metal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around Mines Located in Chollanam-Do)

  • 박정숙;김충모;이미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2-137
    • /
    • 2001
  • 폐금속 광산 주변 경작지의 농산물에 대해 오염 실태를 파악하고 폐광산에 의한 오염방지 및 사후관리 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남지역에 분포한 광산지역 (4개 지역)을 대상으로 주변 경작지에서 7종의 농산물(상치. 양파, 감자, 무, 고추, 호박, 콩) 28건에 대해 미량금속 함유량을 조사하였으며 광산 지역별로 비교 검토하였다. 수은의 경우, 대부분의 검체에서 불검출이었으며, 일부 농산물에서 0.01 ppm이하의 양이 검출되었다. 비소는 28건의 시료중 7건에서 0.011∼0.038 ppm이 검출되었으며, 나머지 시료는 거의 불검출이었다. 납은 미량이지만 모든 검체에서 다양하게 검출되었고, 함유량은 N.D.∼0.176 ppm이었으며, 카드뮴은 거의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N.D.∼0.101 ppm), 수은, 비소. 납, 카드뮴 등의 함유량은 오염된 수준이 아닌 자연 함유량 수준으로 판단된다. 구리의 경우 두류인 콩에서 4.356∼10.624ppm으로 타시료에 비해 높은 함유량을 나타냈으며, 광산 지역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망간은 상치 (4.332∼24.385 ppm)가 가장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며, 아연의 경우 콩과 상치, 고추에서 높은 함유량을 나타냈다.

  • PDF

무경운 파종기용 구절기의 견인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ractive Characteristics of the Seed Furrow Opender for No-till Planter)

  • 나우정;김성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권1호
    • /
    • pp.58-66
    • /
    • 1979
  • 동력경운기용 두류의 무경운 파종기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구절기중에서 소요견인력이 작고 구절작업정도가 양호한 구절기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구동식 토조에 인공강토를 채우고 원판형 및 호우형 구절기의 소요견인력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관계를 구명코자 실내모형 확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원판형 구절기에 대하여 직경별로 조립각을 $8^{\circ}$$16^{\circ}$, 경심을 3 cm 와 6cm로 변화시키면서 2.75cm/sec의 속도로 견인력을 측정한 결과 원판의 직경이 약 28cm인 경우에 견인력이 최소로 나타났고, 직경이 이보다 크거나 작은 때는 견인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비저항도 대체로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원판의 직경이 약 30cm 일 때 최소로 나타났다. 종자파종의 심도조절을 목적으로 작구심(3cm 및 6 cm)과 견인력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던바, 경심과 견인력과의 관계는 거의 직선적인 변화를 나타냈으며 견인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중에서 경심의 영향이 가장 컸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조립각 미 주행속도에 별 영향없이 경심 3cm 및 6 cm 공히 견인력은 직경 약 28 cm에서 , 비저항은 약 30cm에서 최소의 값을 나타내었다. 파종기의 작업성능과 관계가 깊은 주행속도 및 파시의 조절을 목적으로 원판의 조립각과 주행속도가 견인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던 바, 조립각과 주행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두 견인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견인력에 미치는 영향은 주행속도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원판형 구절기와 호우형 구절기를 비교하기 위하여 쐐기각이$16^{\circ}$ 이고 리프트 각이 $20^{\circ}$ 인 호우형 구절기와 조건이 비슷한 조립각$16^{\circ}$ 의 원판형 구절기의 견인특성을 비교한 결과 직경 30cm 인 원판형의 경우는 비저항이 0.35-0.5kg/$cm^2$인데 비해 호우형의 경우는 0.71-1.02kg/$cm^2$로 나타나 호우형의 견인저항력이 평균 2 배정도 크게 나타났고 작구상태고 원판형의 경우보다 불량하였다.

  • PDF

한국인의 상용 식품중 무기질 함량과 분석 방법 비교연구 1. 나트륨 (A Study on the Mineral Contents of Korean Common Foods and Analytic Methods 1. Sodium)

  • 송범호;황성희;이주돈;김희재;정해랑;문현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39-145
    • /
    • 1991
  • 한국인의 상용 식품 중, 특히 가공식품의 Na 함량에 대한 원자흡광분광 광도계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곡류 중 라면류의 Na 함량은 400~900mg/100g이고 스푸의 Na 함량은 10000~16000 mg/100g으로 아주 높았다. 3.서류, 두류의 Na 함량은 매우 낮았으나 이를 가공한 flake나 두유는 Na 함량이 높았다. 4. 채소류의 Na 함량도 매우 낮아쓴데 이를 조리한 방법에 따라 김치, 오이지, 무침의 Na 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5. 육류의 Na함량은 40!60mg/100g으로 비교적 낮았지만 육류가공품은 대부분이 700~1300mg/100g으로 육류가공품보다 다소 높았다. 7. 우유의 Na 함량은 30~60 mg/100g의 수준이었고 마아가린이 다소 높은 300~600 mg/100g 정도였다. 8.음료류의 Na 함량은 전반적으로 매우 낮았다. 9. 당류의 Na 함량은 맛소금, 고추장, 된장, 간장의 함량이 높아 맛소금은 12000~38000mg/100g, 장류는 3000~6000mg/100g이었다. 조미소의 Na 함량은 8000~17000 mg/100g으로 매우 높아 장류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11. 모든 식품군에서 분석방법간 NA 함량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별 식품으로 볼 때 함량이 낮은 경우는 그 차이가 많았다.

  • PDF

항치매성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 저해 물질을 함유한 수수(Sorghum bicolor) 메탄올 추출물의 영양학적 특성과 생리 기능성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Antidementia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containing Methanol Extract from Sorghum bicolor)

  • 송정은;송정화;조수묵;민경훈;이종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6-232
    • /
    • 2010
  • 새로운 항치매성 건강식품을 개발하기 위해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즈(AChE)를 강력하게 저해하는 추출물을 곡류와 두류의 다양한 추출물로부터 선발한 후 최적 추출 조건을 조사하였다. 추출물 중 수수 메탄올 추출물이 63.4%의 가장 높은 AChE 저해 활성을 보였다. 수수를 80% 메탄올로 $40^{\circ}C$에서 12시간 추출했을 때 최대의 ACh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AChE를 저해하는 수수 메탄올 추출물의 영양성과 생리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메탄올 추출물은 유리당으로 고형물 100 g당 4.78 g의 포도당과 4.13 g의 자당 및 0.97 g의 과당을 함유하였다. 또한, 수수 메탄올 추출물의 고형물 100 g에 linoleic acid 273.82 mg, oleic acid 215.65 mg, palmitic acid 122.03 mg, stearic acid 4.96 mg을 함유하고 있었고, 주요 유기산으로 주석산 27.45 mg, 말론산 15.43 mg, 사과산 9.94 mg이 메탄올 추출물 1 g에 함유되어 있었다. 수수 메탄올 추출물은 항치매 활성 외에도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하는 HMG-CoA reductase 저해 활성이 50.2%이었고, 항산화 활성은 56.1%를 보였다.

곡류 및 두류 추출물로 부터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 검색 (Screening of HMG-CoA Reductase Inhibitory Activity of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from Cereals and Regumes)

  • 하태열;조일진;이상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24-229
    • /
    • 1998
  • 국내산 곡류의 에탄올 및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콜레스테롤 생합성계에서 가장 중요한 율속효소로 알려져 있는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을 검색하였다. HMG-CoA reductase activity 측정용 효소원은 cholestyramin을 급여하여 사육 한 후 밤 12시경에 간율 적출하여 얻어진 microsome을 freeze-thaw방법으로 조제하였고 효소활성은 spectrophotometric assay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각 시료 추출물을 $100{\;}{\mu}g/assay$ 되게 첨가한 경우 HMG-CoA reductase 억제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수수가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다음은 흑임자였으며 나머지는 활성이 미미하거나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기장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다음은 수수였으며 그 다음은 메밀, 흑미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출물에서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던 수수와 기장 메탄올 추출물을 각종 용매로 분획하여 활성을 검토한 결과 수수와 기장 모두 헥산 획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한국산 검정콩 ${\alpha}-Amylase$ 저해물질의 분리 및 정제 (Purification of ${\alpha}-Amylase$ Inhibitor from Black Bean in Korea)

  • 문주석;배영일;심기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62-767
    • /
    • 1995
  • 한국산 두류 중의 ${\alpha}-Amylase$ 저해물질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검정콩으로부터 ${\alpha}-Amylase$ 저해물질을 분리, 정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검정콩 ${\alpha}-Amylase$ 저해물질도 SDS-PAGE상에서 단일밴드를 확인하였고, capillary electrophoresis에서 순도를 확인하였으며, 정제된 저해물질의 비활성도는 544.0 units/mg, 정제도는 약 18배였으며, SDS-PAGE 상에서 분자량은 25 KD이였다. 검정콩 ${\alpha}-Amylase$ 저해물질의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및 lysine 순이었다. 정색반응 결과 검정콩 ${\alpha}-Amylase$ 저해물질은 당단백질로 추정되었으며, 탄수화물 함량은 3.2%로 나타났다.

  • PDF

항치매성 Acetylcholinesterase저해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수수 메탄올 추출물의 특성 및 산업적 응용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ntidementia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containing Methanol Extract from Sorghum bicolor and Industrial Application)

  • 송정은;이종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45-55
    • /
    • 2008
  • 아세틸콜린에스터라아제(AChE)저해제에 의한 아세틸콜린 분해의 억제는 알츠하이머 질병의 환자들을 위한 치료 방법 중의 하나이다. 새로운 AChE 저해제를 개발하여 항 치매성 대체 의약품생산에 응용하기 위해, 전보에서는 다양한 곡류와 두류로부터 AChE 저해활성이 우수한 시료로 수수를 선발하여 추출 최적조건을 조사하였고 영양성 및 생리기능성 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ChE 저해제를 함유한 수수 메탄올 추출물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수수 메탄올추출물은 물, 메탄올과 DMSO등에 잘 녹았고, 215nm과 282nm의 최대흡수파장을 갖고 있었다. 또한, 추출물은 20-$100^{\circ}C$와 pH 2.0-10.0에서 1시간동안 안정 하였다. 수수 메탄올추출물을 이용하여 시제품을 제조한 후 $20^{\circ}C$$40^{\circ}C$에서 8주간 저장하였을 때 모두 생균수와 pH에 변화가 없이 안정하였고 기호도도 우수하게 유지되었다.

  • PDF

묵 형성 전분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mook(starch-gel food) forming starches)

  • 권미라;김성란;임경숙;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2호
    • /
    • pp.92-98
    • /
    • 1992
  • 묵의 원료로 사용되는 동부, 녹두, 도토리와 묵의 원료로 사용되지 않는 팥, 밀, 고구마로부터 전분을 분리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분자구조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아밀로오스 함량은 두류인 동부, 녹두, 팥에서 높았고, 밀, 도토리, 고구마의 순으로 낮았다. 아밀로그램에 의한 호화양상은 동부와 녹두 전분이 유사하였고, 팥 전분의 냉각점도와 고구마 전분의 최고점도가 높았으며, 밀 전분은 전반적으로 점도가 낮았다. 아밀로오스의 분자량 분포는 묵 형성 전분이 팥이나 밀보다 $5{\times}10^5$ 이상 큰 분자량의 것들이 많았으며, 예외로 고구마는 아밀로오스의 분자크기는 크나 아밀로오스 함량이 작아 묵을 형성하기 어려운 것으로 생각된다. 아밀로펙틴의 평균사슬길이는 $23{\sim}27$포도당 단위로 시료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팥이 길었고 동부와 도토리가 짧았다. 아밀로펙틴의 $peak\;II(DP\;35{\sim}55)$에 대한 $peak\;III(DP\;10{\sim}20)$의 비율은 동부, 녹두, 도토리가 팥, 고구마, 밀 아밀로펙틴보다 컸다.

  • PDF

국내에서 소비되는 일부 상용 식품의 비타민 E함량 분석 (Analysis of Vitamin E in Some Commonly Consumed Foods in Korea)

  • 이선미;이희봉;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64-107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일부 상응 식품의 비타민 E 함량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각 식품군들의 비타민 E는 검화벙법 또는 직접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이를 순상 HPLC를 통하여 분리, 정량하였다. 육류에선 장조림이 1.08 $\alpha-TE$가장 높았으며, 어패류는 마른 오징어가 4.69 $\alpha-TE$로 높게 분석되었다. 해조류는 조미김이 $5.70\;\alpha-TE$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유제품은 분유에서 $3.17\;\alpha-TE$, 두류에선 서리태가 $1.52\;\alpha-TE$로 가장 높은 값으로 나타났고, 견과류에선 해바라기씨가 $17.99\;\alpha-TE$노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조리가공식품류는 라면이 $1.96\;\alpha-TE$로 가장 높았으며, 전통가공 식품류에서는 고추장이 $3.48\;\alpha-TE$로 가장 높은 분석치를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 분석된 자료는 식품 내 비타민 E 함량 분석을 통한 표준화된 영양성분표의 기반확립에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한국 대두 바이러스의 분류, 동정에 관한 연구 I. 일종의 대두 바이러스의 분류, 동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Soybean Virus Diseases in Korea I. Preliminary Studies on a Soybean Virus Disease in Korea)

  • 조의규;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61-68
    • /
    • 1976
  • 광교, 동북태, 강림, 육우3호, 은대두등과 같은 대리장려품종이 바이러스에 의하여 심하게 이병되었다. 이 병은 주로 모자익병의 발생이 많은 강원, 경기지방에서 발병이 심하였으나 모자익병이 심하지 않은 전남 등 남부지방에서도 발병되고 있다. 병징으로 보아 tobacco ringspot virus에 의한 대두의 피해와 유사한 것으로 보였으나 지표식물검정과 혈청검정에 의하여 조사한 결과 모두 부정적이었으며 대두품종에 따른 이병정도의 상이, 품종과 접종원에 의한 병징의 변이가 많았다. 이병주에서 분리되는 병징형은 Mottling과 necrosis였으며 지금까지의 연구결과 이 대두병해는 모자익바이러스(SMV)의 계통 내지는 tobacco ringspot virus 이외의 두류바이러스의 복각감염에 의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SMV의 계통에 의한 피해일 가능성이 더욱 유력시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