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두경부 CT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2초

두경부암 환자의 추적관찰에서 $^{18}F$-FDG PET/CT의 유용성 (The Utility of $^{18}F$-FDG PET/CT for Following Up Head and Neck Cancer)

  • 정은재;백승국;우정수;권순영;정광윤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8-182
    • /
    • 2010
  • 서 론 : 두경부암의 예후에 가장 중요한 인자는 진단시 병기와 치료 후 재발의 유무이다. 따라서, 재발 병변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두경부암 환자의 추적 관찰에서 $^{18}F$-FDG PET/CT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4월부터 2008년 8월까지 고려대 안암병원에서 두경부암으로 치료를 완료한 후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88 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본원의 두경부암 추적관찰 양식에 따라 술 후 6, 12개월째 $^{18}F$-FDG PET/CT를 시행하였으며, 원발부위 및 경부 재발, 원격전이와 중복암의 진단에 있어 $^{18}F$-FDG PET/CT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음성예측율을 평가하였고, 기존의 추적관찰 방법과 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 원발부위 재발의 진단에 있어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율, 음성예측율은 각각 95%, 97%, 90%, 98% 였다. 경부전이 재발의 진단에 있어서는 각각 94%, 98%, 83%, 99%였으며, 원격전이 및 이차암 진단에 있어서는 94%, 100%, 100%, 99%였다. 원발부위 재발은 고식적인 진단 방법, 원격전이와 이차암은 $^{18}F$-FDG PET/CT가 진단에 의미있게 유리하였다. 결 론 : $^{18}F$-FDG PET/CT는 두경부암의 추적관찰 과정에서 재발 여부를 판정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하며, 특히 원격전이 및 이차암의 발견에 있어 유용하다. 그러나, 위양성 및 위음성의 가능성으로 고식적인 진단 방법과 병행해야 진단의 효과를 높힐 것으로 생각된다.

두경부 악성종양에서 경부임파절전이에 대한 CT Scan의 진단적 의의 (The Correlation between CT Images and Pathological Findings in Metastatic Cervical Lymph Nodes)

  • 이원상;김광문;정광현;장훈상;김지우;김동익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11
    • /
    • 1988
  • CT examination has been used in the preoperative examination of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The accuracy of CT in detecting nodal metastases has not been well established. We studied 35 patients (41 neck specimens) with head and neck cancer who underwent neck dissection. Surgical pathologic findings were compared with preoperative CT scan to establish the diagnostic accuracy for cervical lymph node metastases. The results of physical examination, CT scans of neck and histologic examinations were compared each other. The overall diagnostic accuracy of CT was 83.3%. Comparison with clinical accuracy shows the CT scan to be superior to the clinical examination in spite of careful physical examination, particularly in detecting occult metastases.

  • PDF

갑상선 결절에 대한 전산화단층촬영의 진단적 의의 (Diagnostic Significance of Computed Tomography in Thyroid Nodules)

  • 이승호;최종욱;이남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0-15
    • /
    • 1993
  •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efficacy of CT scan in the diagnosis of the thyroid nodules. CT scan was useful in the identification of nodal metastasis. extracapsular spread and intrathoracic extension. and multiple cystic degeneration or calcification on CT scan suggested a high possibility of thyroid malignancy.

  • PDF

임플란트 시술환자에 대한 두경부 CT검사 영상 평가 (Head & Neck CT Scan Image Evaluation for Implant Surgery Patients)

  • 황형석;황형석;임인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43-849
    • /
    • 2023
  • 본 연구는 임플란트 시술한 환자에 대한 두경부 CT 영상을 4개의 알고리즘(Standard, Soft, Bone, Detail)을 재구성하여 Noise, SNR, CNR 측정값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후 최적의 알고리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재구성한 영상에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을 통하여 픽셀값을 계산하였다. Noise, SNR, CNR은 측정부위를 영상에서 인두, 깨물근, 귀밑샘이 있는 지점에 관심영역을 측정하고 mean값과 SD값을 구하였다. SNR과 CNR의 값은 주어진 식에 의거하여 산출하였다. 결과적으로 Standard 알고리즘에서 노이즈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SNR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NR은 Soft 알고리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Standard 알고리즘과는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경부 CT검사에서 구강내 임플란트 착용한 환자 검사에서 Standard 알고리즘이 최적의 알고리즘이라고 사료되며 이 연구의 자료가 두경부 CT검사에서 영상 평가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되기를 바라며 다양한 알고리즘 변화로 영상의 질을 더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두경부(Head & Neck) CT 검사 시 장기의 유효선량 측정 (Effective Dose Determination From CT Head & Neck Region)

  • 윤재혁;이광원;조영기;최지원;이준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2호
    • /
    • pp.105-116
    • /
    • 2011
  • 두경부(Head & Neck) CT(Computed Tomography)검사에서 환자가 받는 피폭선량 측정을 위하여 인체등가물질로 만든 Rando phantom과 유리선량계를 이용하여 두경부 검사에 따른 환자의 흡수선량의 변화를 실험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인체두부모형을 안와신경(optic nerve), 교뇌(pons), 소뇌(cerebellum), 갑상선(thyroid)으로 나누어, 두경부(Head & Neck) 부위의 검사를 단독검사(Brain, 3D Facial, Temporal, Brain Angiography, 3D Cervical Spine)와 복합검사(Brain+Brain Angiography, Brain+3D Facial, Brain+Temporal, Brain+3D Cervical spine, Brain+3D Facial+Temporal, Brain+3D Cervical Spin+Angiography)로 구분하여 유효선량의 변화를 실험한 후 결과를 측정하였다. 단순 Brain검사와 Brain Angio검사에는 optic nerve에 유효 선량이 높게 분석되었으며, 또한 Temporal검사에는 Pons에, 3D facial 검사와 3D Cervical Spin검사에는 thyroid의 유효선량 값이 높게 나타났다. 복합적으로 이루어는 검사 중 두경부의 Brain+Brain Angio의 검사는 cerebellum의 부위, Brain+3D facial 검사와 Brain+3D Cervical Spin의 복합검사는 thyroid의 부위, Brain+Temporal의 검사에는 pon's 부위 유효 선량 값이 높게 나타났다. Brain +3D facial +Temporal의 복합검사와 Brain+3D Cervical Spin+Angio의 복합검사는 thyroid의 부위에 유효 선량 값이 높게 분석 되었다. 본 연구 결과 Brain+3D Cervical Spin+Brain Angio 복합검사인 경우의 유효 선량은 2.51858 mSv로 일반인의 연간 유효선량한도 1 mSv의 피폭을 초과하는 결과가 나왔다. 또한, Brain 단순 검사 시 optic nerve는 0.31312 mSv의 유효선량으로 향후 방사선학 검사가 이루어질 경우, 두경부의 일반인의 연간 유효선량을 훨씬 초과할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진료의 필요성에 의해서 시행되는 CT검사일지라도 질환 병변의 특성에 맞게 CT촬영조건 변화를 주면서 환자의 피폭선량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다양한 검사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두경부 악성종양의 치료 후 재발 병변 ; CT와 MRI소견 (Recurrent Lesions in the Malignant Head and Neck Tumors; CT and MRI Evaluation)

  • 김형수;이남준;최종욱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6-171
    • /
    • 1999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aim of our study was to describe the appearance of recurrent and residual lesions in the head and neck tumors, and to evaluate the usefullness of CT and MRI. Materials and Methods: CT(n=42) and MRI(n=4) of 44 patients with recurrent head and neck tumor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Primary tumor sites were larynx/hypopharynx in 15, oral cavity/floor of mouth in 13, base of tongue/tonsil in 5, nasopharynx in 4, palate in 2, and others in 5 patients. Therapeutic modalities included sugery and radiotherapy in 23, radiotherapy in 11, surgery in 5,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in 4, and chemotherapy in 1 patient. Results: The patterns of tumor recurrence were nodal recurrence(n=17), primary tumor bed recurrence combined with nodal recurrence(n=12), primary tumor bed recurrence(n=10) and residual primary tumors(n=5). The most common appearance of residual/recurrent primary tumor on CT was focal or diffuse heterogenous mass with or without surrounding fat or muscle infiltration(25/27). On MRI, the recurrent lesions showed intermediate signal intensity on T1 weighted image and high signal intensity on T2 weighted image with heterogenous enhancement in the most cases(n=3). 38 out of 44 nodal recurrences(86%) which had been pathologically or clinically proved were more than 1 cm in diameter or contained central low density on CT scan. Conclusion: Although CT and MRI findings of recurrent and residual tumors of the head and neck were nonspecific, in the majority the lesions manifested as a mass at primary tumor bed and/or nodal disease including contralateral side of the neck. And CT and MRI are valuable for revealing above lesions.

  • PDF

경부 종물 환자의 이해도 개선을 위한 3차원 재건 영상의 활용 (3D Reconstructed Image of Neck Mass to Improve Patient's Understanding)

  • 유영삼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3-197
    • /
    • 2010
  • Objectives : Patients with neck tumor and their family need every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Especially, the size and location are confusing with verbal information. With the aid of CT, the problem had some answer, but it needs some medical education. We would like to know the usefullness of 3D reconstructed images in patient education about the disease. Material and Methods : Neck CT data were collected from 10 patients with various neck tumors and converted to 3D reconstructed images. Understanding of the patients about the size and location of tumors were rated from questionaires using axial CT images and 3D images. Results : Understanding score about 3D images were greater than that of CT images(p<0.006). Conclusion : 3D reconstructed images of CT could give the patients more real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disease.

처음 진단된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에서 $^{18}F$-FDG PET/CT: 임상상 및 병리소견과의 상관성 ($^{18}F$-FDG PET/CT in Patients with Initially Diagnosed Adenoid Cystic Carcinoma of the Head and Neck: Clinicoplathologic Correlation)

  • 이지영;최준영;고영혜;백정환;손영익;조숙경;천미주;이경한;김병태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5호
    • /
    • pp.395-401
    • /
    • 2009
  • 목적: 처음 진단된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의 $^{18}F$-FDG PET/CT의 영상소견을 선양낭성암종의 병리적 소견, 병기 결정, 가장 흔한 두경부암인 편평세포암종의 $^{18}F$-FDG 섭취 양상, 예후와 상관 지어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으로 처음 진단되어 $^{18}F$-FDG PET/CT를 시행한 16명의 환자가 대상이었다. PET/CT의 병기 결정 능력을 알아보고,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의 $SUV_{max}$를 원발종양의 조직학적 아형(고형 대 관상형/사상형상), 병변의 크기와 일치하는 두경부 편평세포암종의 $SUV_{max}$, 무병생존율과 비교하였다. 결과: 16명의 환자들 중, 관상형 또는 사상형을 가진 군은 10명이었고 나머지 6명은 고형을 가진 군이었다. 고형 선양낭성암종의 $SUV_{max}$는 관상형 또는 사상형 선양낭성암종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6.7{\pm}3.2$ vs. $4.2{\pm}0.9$, p=0.03). $^{18}F$-FDG PET/CT로 기존 영상법에서 발견하지 못한 원격 전이를 18.7%의 환자에서 발견하여, 치료방침 변경에 기여하였다. 선양낭성암종의 $SUV_{max}$는 병변 크기가 같은 편평세포암종과 비교해 보았을 때 유의하게 낮았다($5.1{\pm}2.4$ vs. $13.6{\pm}6.0$, p<0.001). 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무병생존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원발종양의 $SUV_{max}$가 6.0 이상인 환자들의 무병생존율은 $SUV_{max}$가 6.0 미만인 환자들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2). 결론: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의 $^{18}F$-FDG 섭취양상은 조직학적 아형과 무병생존율과 유의한 관계가 있다. $^{18}F$-FDG PET/CT는 기존 영상법에서 발견하지 못한 원격전이 진단에 유용한 것으로 보인다. 사상형상 또는 관상형선양낭성 암종의 $^{18}F$-FDG 섭취는 낮을 수 있어, 선양낭성암종이 의심되지 않은 환자들의 PET영상 판독에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