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진강유역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Improvement of Rating Curve Under the Influence of Gate (수문의 영향을 받는 지점의 수위-유량곡선식 개선)

  • Shin Sang Ho;Mun Hung Pil;Kim Min Hwan;Chon Il Kw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669-673
    • /
    • 2005
  • 신태인 수위관측소는 동진강 본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지점의 유역면적은 $218.0km^2$이고 하구로부터 19.0km 떨어져 있다. 이 지점은 하류에 위치한 동진제수문의 영향을 받는 곳에 설치된 수위관측소이다. 신태인 수위관측소에서 하류로 약 9km 지점에 부량 수위관측소가 있으며 이 지점에서 약 300m 하류에 동진제수문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 수위관측소는 하류의 동진제수문의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수위-유량곡선이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수위-유량곡선은 저류와 방류로 구분되어 있다. 이들 관측소가 속해 있는 동진강에서 유출되는 유량은 새만금 간척사업지구내의 새만금호로 유입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신태인 수위관측소 지점의 유량측정은 1997년부터 2003년까지 실시되었다. 1999년부터 이 지점의 수위-유량곡선을 동진제수문의 개폐여부에 따라서 저류와 방류로 구분하여 수위-유량곡선을 제시하였다. 이 때 수문의 개폐여부는 동진제수문의 관리 대장을 참조하여 단순하게 구분하였다. 개방여부의 정도가 상류의 신태인 수위관측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반영된 수위-유량곡선의 개발이 쉽지 않으며 실제 신태인 수위관측소에 관측된 수위에 따른 유량의 분포가 산포되어 있는 상황이다. 특히 평수위 이하에서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단일 수위-유량곡선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경우에 오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나 있으며 실제 상황에서 저류와 방류로 구분하여 개발된 수위-유량곡선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동진제수문의 상류 약 300m 지점에 부량 수위관측소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지점의 수위관측소의 수위를 고려하여 부량 지점 수위와 신태인 지점 수위와 유량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신태인 지점의 수위-유량곡선을 저류와 방류로 구분한 경우와 통합한 경우의 수위-유량곡선식을 비교하였다. 이 지점은 하류 수문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하류의 조위 등으로 영향을 받는 경우에 종종 사용되는 지수형 다중 회귀식을 적용하여 수위-유량곡선을 제시 하였으며 그 결과를 실측값과 비교한 결과, 상관계수가 양호하게 평가되었다.

  • PDF

Pollutants Discharge Modeling in Mankyung and Dongjin Rivers (만경강.동진강 유역의 오염물질 유출모델링)

  • 고재원;조홍연;정신택;권혁민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4 no.2
    • /
    • pp.108-115
    • /
    • 2002
  • Pollutants discharge modeling was carried out in the watershed of Mankyung and Dongjin rivers. The watershed and pollutants source information extracted and analysed by the GIS tool was used as the model input parameters. This model was calibrated by comparison of the measured and computed monthly freshwater discharge and water quality(WQ) concentration. The compared WQ data are the ten-year-mean WQ concentration and monthly WQ concentration in 1999. The results show that the watershed runoff is underestimated in summer season, although the seasonal trends are relatively well estimated. The WQ concentrations were also relatively well estimated except Iksancheon. The computed concentration was much lower than the observed concentration in Iksancheon because of the effect of polluted sediment. Thus, the effects of polluted sediment on water column need further study through measuring and analysing the degree of the sediment contamination.

Analysi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ediments Flowing into the Saemangeum Reservoir in the Summer (하절기 새만금호 유입유사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

  • Oh, Kyoung-Hee;Chung, Se-Woong;Cho, Young-Ch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7 no.2
    • /
    • pp.99-106
    • /
    • 2015
  • To estimate the effects of suspended sediments flowing into the Saemangeum Reservoir on the extent of contamination of the reservoir, the suspended sediments were collected with sediment traps, which were installed from the upstream of the Mankyung and Dongjin Rivers to estuary of the reservoir, respectively, and the sedimentation rates an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spended sediments were analyzed. The sedimentation rates in the Mankyung and Dongjin Rivers were ranged from 0.01~5.06 and $0.01{\sim}8.75kg/m^2/day$, respectively. Those were higher to the upstream of rivers, and were mainly affected by flood events.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s were from 3.3 to 9.6 times higher than those in the stream sediments and were higher after flood season, indicating the contaminants come from the non-point sources on the basin. The concentrations of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in the suspended sediments showed the same trend with the organic matte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uspended sediments from the basin of the Mankyung and Dongjin Rivers are highly contaminated and the countermeasures to manage the sources of contamination on the basin are required to maintain the water quality of the Saemangeum Reservoir.

Prediction of Influence Range in Saemangeum Reservoir by Floodgate Operation at Upstream (상류제수문 방류조건에 따른 새만금호의 영향범위 예측)

  • Kim, Se Min;Park, Young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97-30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유역과 호 내의 복잡한 수체 형상, 유입 및 유출 구조를 반영하는데 적합한 모델을 적용하고 재현성이 검토된 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호 내 수질을 모의하였다. 또한 구성한 모형의 결과를 바탕으로 만경강, 동진강의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제수문에서의 방류조건을 가정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방류조건별 모의 결과, M3, D5지점에서 목표수질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새만금호 상류부인 M3, D3지점은 방류조건에 따른 수질개선효과가 큰 것으로 예측되어 만경강과 동진강의 유입수의 영향이 지배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량방류시 영향범위를 거리로 살펴보면 만경강대교에서 새만금호 하류방향으로 약 22 km지점, 동진강대교에서 새만금호 하류방향으로 약 15 km지점까지로 나타났다. 농도변화와 방류조건별 영향범위를 살펴보면, 하류측으로 갈수록 수질개선에 영향을 적게 미치지만, 증가된 방류량에 의해 수질이 개선되어 제수문에서의 방류량 증가는 호 내 수질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n Tributaries of Dongjin River Watershed (동진강 유역내 하천의 특성별 영향평가)

  • Yun, Sun-Gang;Kim, Won-Il;Kim, Jin-Ho;Kim, Seon-Jong;Koh, Mun-Hwan;Eom, Ki-Cheo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1 no.4
    • /
    • pp.243-247
    • /
    • 2002
  • Irrigation water quality along Donjin river watershed was monitored to find a possible pollutant, for maintaining water quality to achieve food safety through water quality preservation of river. As a pollution indicators, such as Biological Oxygen Demand(BOD), Chemical Oxygen Demand(COD), Total Nitrogen(T-N), and Total Phosphate(T-P) in Dongjin river were examined from May to November in 2001.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BOD level of Dongjin river ranged from 2.84 to 6.45 mg/L, which would be in a II$\sim$IV grade of the potable water criteria by Ministry of Environment. Averaged BOD level of downstream DJ6(After Jeongupcheon confluence) was 4.07 mg/L. The average COD level of Dongjin river ranged from 11.20 to 32.96 mg/L. COD level of DJ6 rapidly increased rapidly after the junction of Dongjin river and Jungupcheon because it showed the latter had relatively high pollution level. T-N content were significantly high in all sites of Dongjin river ranged through 4.16 to 5.84 mg/L. T-P examined high concentration than another thing point by 0.19 mg/L after Jeongupcheon confluence as BOD and COD. COD of main stream was expressed high concentration to dry season after rainy season. In case of T-P, pollution degree of dry season before rainy season appeared and examined that quality of water was worsened go by dry season after rainy season. The water quality of Dongjin river was deteriorated with inflow of Jungupcheon polluted by municipal and industrial sites near Jungup city.

Assessment of Pollutant Loads for Water Enhancement in the Jeongeupcheon of Dongjin River (동진강 정읍천 유역 오염부하량 평가)

  • Lee, Kyeong-Bo;Kim, Jong-Cheon;Park, Ji-Hye;Lee, Deog-Bae;Kim, Jong-G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3 no.1
    • /
    • pp.41-46
    • /
    • 2004
  • The influence of pollutant loads on the water quality in Jeongeupcheon of Dongjin river was evaluated from Jan. 2002 to Dec. 2003 for two years. The range of pH in water was $6.87{\sim}7.53$. The EC level in upstream ranged from 83 to $95\;{\mu}s/cm$ with the highest value in autumn. The BOD level in upstream rang ed from 0.61 to 1.27 mg/L, which would be I grade according to water quality criteria by Ministry of Environment, but that in downstream was III grade. The average T-N level in midstream ranged from 6.10 to 10.84 mg/L which was the highest values throughout the stretch of the river. The average T-P levels ranged from. 0.41 to 0.98 mg/L Jeongeupcheon was suitable for the agricultural usage based upon one year analysis of river water quality. The effluent loads of BOD was high in midstream (J4) with 553 kg/day. The major sources of T-N loads were livestock, population, land use, and industry in order. The effluent loads of T-N was high in J4 by population and industry while that of T-N was high in J5 and J6 by livestock and land use. The delivered loads of T-N was high in downstream The delivered loads of T-P was low as compared with those of BOD and T-N. The delivery ratio of T-N ranged from 6 to 38%.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gricultural Activity on Stream Water Quality by Watershed Modeling (유역모형을 이용한 농업활동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평가)

  • Jung, KwangWook;Jung, Inkyun;Kang, SooMan;Kwon, Jin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0-510
    • /
    • 2016
  • 농업 비점오염원의 영향을 분석하고 여러 가지 대안(관리정책)이 수계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유역모형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유역모형에는 모형의 복합성, 계산시간 등에 따라 simple method, mid-range model, detail model로 나눌 수 있다. Simple methods는 요구되는 자료가 작으나 그 결과의 정확성은 떨어진다. 반면에 detail model는 정확한 결과를 획득할 수 있으나 그만큼 방대한 자료와 모니터링을 요구하며, 보정 및 검증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특히, 복잡한 유역특성 및 축산오염원을 포함한 복잡한 특성들을 고려해서 모델링하기 위해서는 detail model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HSPF모델을 이용해서 그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청미천 유역 및 덕천천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여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유역내 투입된 비료사용량을 통계청 자료를 활용하여 산정후 적용하였으며, 축산 부산물중 자원화되는 축산 액비 및 퇴비량을 산정하여 그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에서 산정되는 배출부하량에 유달율을 고려하여 점오염으로 입력하였으며, 직접방류되는 하수처리장도 함게 고려하여 구축하였다. 청미천 유역의 청미천1 지점의 BOD, T-N, T-P에 대한 보정기간의 평균 관측값은 4.205mg/L, 3.844mg/L, 0.137mg/L이며 검정기간의 관측값은 2.741mg/L, 4.638mg/L, 0.144mg/L로 나타났다. BOD, T-N, T-P에 대한 보정기간의 NSE는 -0.58, -0.20, -0.33이며, 검정기간의 NSE는 -0.26, -1.35, -3.54로 분석되었다. BOD, T-N, T-P에 대한 보정기간의 RMSE는 2.65, 1.63, 0.12이며, 검정기간의 RMSE는 1.36, 1.64, 0.07로 나타났다. 덕천천 유역의 경우 국가관측망이 없어 동진강의 제일 말단 지점인 동진강3 지점의 BOD, T-N, T-P에 대한 보정기간 평균관측값은 2.891mg/L, 3.455mg/L, 0.096mg/L이며, 검정기간의 관측값은 2.293mg/L, 3.223mg/L, 0.104mg/L로 나타났다. BOD, T-N, T-P에 대한 보정기간의 NSE는 -0.20, -0.56, -0.49이며, 검정기간의 NSE는 0.24, -0.06, -0.19으로 분석되었다. BOD, T-N, T-P에 대한 보정기간의 RMSE는 1.53, 2.12, 0.05이며, 검정기간의 RMSE는 1.05, 0.98, 0.06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점오염원, 축산계비점오염, 토지계비점오염, 시비량, 배경부하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청미천 유역의 비점오염 기여율이 약 6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덕천천 말단에서는 약 37.7%의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존 수질오염 총량관리제도에서 점오염의 감소에 의한 비점오염비중이 커지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그 중 축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그보다 적은 수준이 수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GIS 하천수질정보를 활용한 수질모델링 시스템 개발

  • 엄명철;임종완;이광야;김계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5a
    • /
    • pp.317-322
    • /
    • 2002
  • 본 연구는 유역 수질의 효과적인 관리와 수질 모델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GIS를 기반으로 수질 모델과 지형 및 문자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한 모델링 시스템(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을 개발하고 전라북도 내 동진강에 대해 적용하였다. WQMS는 DOS 기반의 수질모델이 가지는 복잡성과 결과해석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윈도우 기반의 하천모델을 운용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나아가 GIS 기반의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모델링 환경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개발된 시스템의 구현 단계는 전처리와 모델링 실행, 후처리의 세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전처리단계는 DB에 의해 모델실행을 지원하며 후처리 단계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모델실행 결과를 그래프와 속성 자료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실측자료를 활용하여 WQMS의 적용성을 평가한 결과 신뢰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WQMS는 기존 DOS 기반의 모델링의 복잡성을 제거하고 정도 높은 수질분석을 수행하므로서 효율적인 유역 수질관리에 필요한 기본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iver management technology using Drone (하천관리를 위한 드론활용기술)

  • Kim, Young Joo;Lee, Geun Sang;An, Min Hyeok;Kim, Jin Hy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5-345
    • /
    • 2020
  • 우리나라는 물산업 강국 도약을 위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2015년 세계물포럼 이후 복합 수재해 대응과 능동적 하천관리 분야가 중요시되고 있다. 기존의 하천관리는 수위관측소 및 하도계획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으나 최근에는 항공측량, 드론 등 원격관리시스템에 기반을 둔 하천 통로에 대한 입체적인 3차원 관리로의 인식 전환이 고려되는 추세이다. 대부분 수위 및 하도를 중심으로 한 조사방식은 계측장비, 인력, 시간 등 많은 소요비용이 필요하게 되어 급변하는 하천 공간 조사 기술로 제한적 요소가 많아 현재의 하천조사 시스템으로는 하천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환경변화에 맞추어 신속하고 정확하게 취득하기가 어려운 실정으로 하천관리 고도화를 위해 필요한 자료를 적기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기술 개발 필요한 실정이다. 사회 환경의 발달로 급변하는 환경에 맞는 적정한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유역 및 하천에 대한 수문정보 생산 및 하상변동조사가 필요하고 첨단기술(ICT)을 활용하여 조사의 효율성, 안전성 및 정확성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한편, 하천유역조사는 하천유역에 대한 다양한 정보 수집을 목표로 하나 그간 유역조사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수요자의 요구 자료 제공이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수심, 하상, 하천재료 등 하천법에 규정된 측량은 현장 직접계측을 통해 실시되고 있으며 측량의 공간적·시간적 범위의 변동으로 기존 방식의 비용이 급증하게 되어 신기술을 통한 효율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하천조사를 위해 위성 및 유인항공기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되고 있으나 고빙용을 수반하고 위성영상은 공간해상도가 낮아 폭이 좁은 하천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된 하천의 특성상 항공측량 보다 드론이 효율적으로 드론에 레이저 광선으로 지형을 측량하는 장비를 탑재해 3차원 지형을 측량하는 방법이 유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진강 상류 하천을 대상으로 드론을 활용할 경우 투입인력 및 소요시간 절감, 장비 및 인력 진입 불가지역에 대한 정보획득, 높은 공간해상도, 항공측량 대비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드론을 활용하여 하천지형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유역관리 및 수질모델링에 필요한 지도 생성 및 유역의 공간 정보를 획득하여 향후 유역관리 모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