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제련 슬래그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3초

동제련 슬래그를 혼입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The Fluidity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adding Copper Slag as Mineral Admixture)

  • 이동운;윤종진;김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71-279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강도 콘크리트에 광물성 혼화재로서 동제련 슬래그를 혼입하였을 때 유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동제련 슬래그를 고강도 콘크리트의 결합재로 사용하여 10 %, 20 %, 30 %, 40 %, 50 %를 시멘트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굳지않은 콘크리트에서 슬럼프플로, 500mm도달시간, V-Funnel과 U-Boxt시험을 실시하여 유동성 및 충전성을 알아보았고, 굳은 콘크리트에서는 재령 3, 7, 14, 28일의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실험결과, 동제련 슬래그를 광물설 혼화재료로 혼입한 콘크리트의 굳지 않은 콘크리트 특성을 살펴보면 동제련 슬래그의 치환율이 30%까지는 유동성이 증가하였으며, 충전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굳은 콘크리트의 특성을 살펴보면 동제련 슬래그의 치환율이 30 %일때까지 모든 재령에서 압축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동제련 슬래그의 치환율이 30%를 초과하였을 때는 유동성, 충전성 및 압축강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동제련 슬래그의 최적 치환율은 30 %이내가 적정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반개량재로써 동제련슬래그의 활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s of the Copper Slags as Ground Improvement Material)

  • 천병식;정헌철;조한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27-36
    • /
    • 2002
  • 본 연구는 동제련슬래그를 지반개량재로써 활용하기 위하여 배수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평가한 것이다. 모래말뚝의 모래 대체재로써의 동제련슬래그 활용방안을 검토하였고, 동제련슬래그의 재료특성, 동제련슬래그말뚝이 설치된 복합지반에서의 압밀배수 특성, 배수 필터재로써의 특성 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동제련슬래그는 일반적으로 쓰여지는 모래와 유사한 연직배수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모래말뚝의 모래 대체재로써의 적용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욱, 분사현상에 대한 안정성 및 입자 유실에 대한 내적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일반적인 사질토에 비해 한계동수경사가 크게 나타나고, 내적안정성이 우수하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동제련슬래그는 지반조건에 따라 배수 필터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으며, 내적으로도 안정된 배수 필터재로써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동제련 슬래그의 입도 및 잔골재 치환율 변화에 따른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resh mortar with particle size and replacement ratio of copper slag)

  • 홍창우;이정일;류정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1-48
    • /
    • 2016
  • 현재 비철제련분야에서의 제련후 폐기물은 약 200만톤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다. 현재까지는 비철금속을 추출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금속 추출 후 슬래그의 활용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제련 분야에서 발생된 슬래그를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하기 위해 동제련 슬래그의 입도분포와 잔골재로 사용된 강사의 대체 치환율 변화를 실험인자로 선정하여, 굳지 않은 모르타르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동제련 슬래그의 입도분포에 따라 플로우, 공기량 및 건조수축의 변화를 참조하여 동제련 슬래그의 적정입도분포를 산정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으며, 동제련 슬래그를 잔골재로 치환함으로 인해 응결 및 단위용적질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강사와 유사한 입도분포를 갖는 동제련 슬래그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강사를 사용한 경우보다 슬럼프, 공기량, 응결 및 건조수축, 단위용적 질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동제련 슬래그를 콘크리트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정 입도분포와 치환율이 산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동 제련 슬래그를 사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 및 황산저항 특성 (Strength and sulfuric acid resistance properties of cement mortar containing copper slag)

  • 홍창우;이정일;류정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01-108
    • /
    • 2016
  • 동 제련 과정에서 발생되는 동 슬래그는 국내에서 년간 70만톤 이상이 발생되고 있어 산업부산물의 건설소재로서의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 제련 슬래그의 3가지 유형의 입도형상과 잔골재로 사용된 강사의 대체 치환율 변화를 실험변수로 선정하여, 동 슬래그를 사용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강도 및 공극구조 특성, 황산 침지 저항성 등의 실험을 통해 건설용 골재로서의 사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동 제련 슬래그 입도는 강도에 미치는 영향인자로 확인되었으며 동 제련 슬래그 잔골재 치환율 60 %인 경우가 가장 높은 강도를 보였다. 또한 잔골재를 동 제련 슬래그로 치환함으로 인해 기공크기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황산에 대한 저항성도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 매트제련의 반응생성물중 Ni와 Sb의 분배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stribution Behavior of Ni and Sb in Reduction products of Cu Matte Converting)

  • 김영진;이광막;김영홍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8권5호
    • /
    • pp.44-50
    • /
    • 1999
  • 동 매트 중에 함유된 불순물 중 단순한 산화정련으로는 제거하기 어려워 제련 후 조동에 함유되어 동의 순도와 기계적 성질을 저하시키는 Ni와 Sb를 매트제련 동안에 제거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공기 송풍에 의한 합성 동 매트의 용련 반응을 통하여 반응 생성물인 매트와 슬래그 그리고 조동에 함유된 Ni와 Sb의 거동 및 상호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공기 송풍에 따른 합성 매트의 용련동안 생성된 반응 생성물에 대한 Ni와 Sb의 분배비로부터 Sb가 Ni과 공존 시 Ni의 슬래그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Ni은 Sb와 공존시 조동 중으로의 Sb 이동을 저해하고 슬래그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Ni와 Sb의 슬래그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Ni와 Sb의 공존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동제련 슬래그 혼입 콘크리트의 부식 저항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osion Resistance of Concrete Containing Copper Slag)

  • 이동운;정유진;김영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5호
    • /
    • pp.189-196
    • /
    • 2007
  • 이 연구의 목적은 동제련슬래그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철근부식저항성에 관한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물결합재비 35%-55%의 범위에서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에 다양한 치환율로 포졸란재를 혼입하여 압축강도, 염화물 확산계수, 철근부식면적율 그리고 중량감소율을 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는 보여준다. 포졸란재를 혼입한 콘크리트는 포졸란재를 혼입하지 않은 콘크리트에 비해 염화물 이온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고로슬래그를 20%치환한 경우가 염화물 침투 깊이 및 각종 부식 시험에 대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동제련슬래그 10%를 치환한 배합 역시 보통 콘크리트에 비해 염화물 침투 깊이 및 각종 부식시험에 대해 뛰어난 결과를 보였다.

6~7C 부여 관북리 유적의 동 생산기법 연구 (A Study of Copper Production Techniques at the Archaeological Site in Gwanbukri, Buyeo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 이가영;조남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62-177
    • /
    • 2020
  • 부여 관북리 유적에서 시행된 동 생산 및 제련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나'지구, '라'지구 출토동 생산 부산물(동 슬래그 및 동 도가니) 11점의 과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방법은 파장분산형 X-선 형광 분석, X-선 회절 분석, 금속 현미경 관찰, 주사 전자현미경-에너지 분산형 X-선 분석기, 전계방출 전자탐침미량분석기, 라만 마이크로분광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관북리 동 슬래그에서는 주로 도가니 슬래그 및 정련 슬래그에서 전형적인 특징으로 나타나는 규산염 광물, Magnetite, Fayalite, Delafossite 등이 검출되었다. 또한 관북리 동 슬래그는 외형 및 미세조직의 양상의 특성에 따라 1. 유리질 바탕 기지 + Cu prill, 2. 유리질 바탕 기지 + Cu prill + Magnetite, 3. 규산염 광물 바탕 기지 + Cu prill, 4. 결정질(Delafossite, Magnetite)/유리질(비정질) 바탕 기지 + Cu prill, 5. Magnetite + Fayalite, 6. 청동합금 슬래그로 분류되었다. 미세조직 내에는 SiO2, Al2O3, CaO, SO4 P2O5, Ag2O, Sb2O3 등의 불순물이 잔재되어 있으며, 일부는 주석과 납이 합금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부여 관북리 유적에서는 동 생산과정 중 배소와 제련을 거친 동 중간생성물의 정련과 불순물이 함유된 동-주석, 또는 동-주석-납의 합금정련을 시행하였다고 판단된다.

탄소열환원 반응에 의한 동제련슬래그로부터 주철용 선철 제조 연구 (Fabrication of Casting Pig Iron from Copper Smelting Slag by Carbothermic Reduction)

  • 최무성;최동현;왕제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8권3호
    • /
    • pp.59-67
    • /
    • 2019
  • 본 연구는 동제련슬래그 내에 존재하는 Fe와 Cu의 동시 환원을 통해 주물용 선철을 제조하고, 선철 제조 시 황 함량 저감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Roasting 실험은 실험온도 $500^{\circ}C$, $700^{\circ}C$, $900^{\circ}C$ 온도 조건에서 1시간에서 9시간까지 2시간 간격으로 시간을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진행 하였다. 산소분압에 따른 실험은 산소분압 0.5, 0.8, 1.0, 실험 온도는 $900^{\circ}C$, 유지시간 30분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Roasting 및 산소분압에 따른 황 저감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첨가제로 CaO를 사용하여 첨가량 15 % 이상부터 S 성분 함량은 0.001 wt% 이하로 확인되었다. 반응온도에 따른 선철 및 슬래그 분리 실험의 조건은 $1300^{\circ}C{\sim}1600^{\circ}C$까지의 온도조건에서 유지시간 30분, Ar 가스 분위기에서 진행하였으며, 반응시간에 따른 선철 및 슬래그 분리 실험의 조건은 유지시간 5 ~ 25분까지 5분 간격, 반응온도 $1600^{\circ}C$, Ar가스분위기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1600^{\circ}C$, 30분 유지 환원 조건에서 선철의 회수율이 가장 높았다.

동제련 슬래그를 골재로 사용한 반응성 분말 콘크리트(RPC)의 강도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ngth Properties of Reactive Powder Concrete Using copper slag aggregate)

  • 박민수;이승훈;김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78-279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an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of reactive powder concrete using copper slag. So, various RPC containing copper slag were made by replacement ratio of copper slag and different the curing condition and their mechan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slump flow using copper slag tends to increase with replacement ratio. And also, 30% of copper slag with quartz sand was found to have a compressive strength superior to that of plain.

  • PDF

동제련 슬래그를 활용한 R.P.C.(Reactive Powder Concerete)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Reactive Powder Concrete Using copper slag)

  • 이용무;신상엽;김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3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4-75
    • /
    • 2013
  • The paper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reactive powder concrete using copper slag. A change in the replacement ratio s of copper slag was measured compressive strength and slump flow. As a results, slump flow using copper slag tend to increase slump flow with replacement ratio. As the concrete with a replacement ratio of copper slag up to 30% was found to have a compressive strength superior to that of pl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