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적지도정보

Search Result 107, Processing Time 0.068 seconds

A Hybrid Schema Matching Method for Integrating Geographic Information (지리정보 통합을 위한 하이브리드 스키마 매칭 방법)

  • Lee, Jiyoon;Lee, Sukhoon;Kim, Jangwon;Jeong, Dongwon;Baik, Do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272-1275
    • /
    • 2011
  • 네이버, 다음, 구글 등의 웹 상에서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와 KML, GML, GeoRSS와 같은 기술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위치 정보로 통합한 지리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연구들은 현재까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위치 정보만 통하여 줄 뿐 의미 정보까지 통합하여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해주지 못한다. 이 논문에서는 KML, GML, GeoRSS 등으로 표현된 풍부한 지리정보들을 통합하여 웹 기반 지도 서비스에 제공해주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또한 지리정보들의 스키마 통합을 위해 어댑터 기반 의미 처리 방법과 정적/동적 의미 관리 기반 접근 방법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스키마 매칭(Hybrid Schema Matching, HSM) 방법을 제안하고, 제안 시스템의 평가를 위해 스키마 매칭을 위한 4가지 접근 방법과 비교 평가를 수행한다. 평가의 결과로 제안 시스템은 의미 해석에 대한 신뢰성이 보장되고 시스템 구축 비용과 데이터 통합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특징을 지닌다.

A Voice Boundary Detection Method Using Dynamic Parameters Based On Neural Network (신경망 기반의 동적 파라미터들을 이용한 음성 경계 추출)

  • 마창수;김계영;최형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616-61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음성인식 성능을 높이기 위한 기본적 단계인 음성과 비음성 부분의 경계를 추출하는 음성 경계 추출 방법을 제안한다. 음성경계 추출을 위한 특징들로는 시간영역 분할 파라미터인 ZCR, MA를 사용하고 주파수 영역 분할 파라미터로 주파수 대역 파워 에너지 (Frequency band power energy), 포만트 계수 (Formant coefficient)를 사용하였고 각 파라미터들을 이용하여 음성 경계를 결정할 때 경험에 의해 임계치를 결정하는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서 신경망을 이용한다. 신경망의 가중치와 임계치들은 지도 학습을 통해 최적화 되고, 학습을 통해 구성된 망을 음성과 비음성의 경계치 구분에 사용한다.

  • PDF

SOM-based Combination Method of OVA SVMs for Effective Fingerprint Classification (효과적인 지문분류를 위한 SOM기반 OVA SVM의 결합 기법)

  • Hong Jin-Hyuk;Min Jun-Ki;Cho S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622-624
    • /
    • 2005
  • 대규모 지문인식 시스템에서 비교해야할 지문의 수를 줄이기 위해서 지문분류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최근 이진분류기인 지지 벡터 기계(Support Vector Machine: SVM)를 이용한 지문분류 기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중부류 지문분류에 적합하도록 자기 구성 지도(Self-Organizing Map:SOM)를 이용하여 OVA(One-Vs-All) SVM들을 결합하는 지문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SOM을 이용하여 OVA SVM들을 동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결합 지도를 생성하여 지문분류 성능을 높인다. 지문분류에 있어 대표적인 NIST-4 지문 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Jain이 구축한 FingerCode 데이터베이스에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1.8\%$의 거부율에서 $90.5\%$의 분류율을 획득하였으며, 기존의 결합 방법인 승자독식(Winner-takes-all)과 다수결 투표(Majority vote)보다 높은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f Web map investigation for the risk recognition (위험 인지를 위한 웹 지도 탐색 연구)

  • Park, Sangjoon;Lee, Jongc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9.05a
    • /
    • pp.171-172
    • /
    • 2019
  •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dynamic method for the searching development of Web map to the monitoring object in the risk environments. It is to recognize the real-time detection to the risk situation based on the location monitoring mechanism of management to the object movement.

  • PDF

A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odel of Location Referencing Systems for ITS (ITS용 위치참조체계의 모델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최기주;이광섭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191-191
    • /
    • 1998
  • ITS를 구성하는 서비스나 기능이 대부분 동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어, 앞으로는 이를 효율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공간데이터(Spatial Data)가 필요하다. 특히, 대부분의 ITS서비스와 기능이 정보의 신속한 전달을 위해서 유무선통신을 사용할 것이다. 또한, 최정 사용자서비스와 응용분야가 공간데이터라는 기본적인 정보를 공유하므로써 위치에 대한 정적·동적교통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정보사용자가 사용하는 공간데이터가 상이하다면, 정보의 공유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정확하게 제공되지 않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이유는 정보사용자가 자신들의 정보수집, 정보전달, 정보분석 등의 목적에 적합한 공간데이터를 제작하여 유지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정보의 공유를 위해서는 상이한 공간데이터들 간에 동일한 교통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조작이나 방법이 필요하다. 서로 다른 원본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통합하고 이를 ITS서비스와 기능을 위한 각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수준을 가지고 있는 공간데이터(수치지도 데이터)의 해상도, 위치정확도, 속성정확도, 정밀도, 범위 등과 같은 문제들이 최종 응용시스템에 적용되어져야 하고, 이를 통해 공간적인 위치와 수치지도를 구성하는 각종 엔터티가 참조되어야 할 것이다. 이뿐 아니라, 향후 데이터 공유의 방법에 있어서도, 각종 무선통신의 발달과 인터넷과 같은 정보전달매체의 대중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정보의 공유가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주도로 제작된 전국범위의 수치지도를 하여, ITS용 네트워크데이터구성을 위한 기능분석과 사양을 제시를 함으로써, 이에 대한 프로파일 개발한다. 정보공유를 위한 위치참조모델(LRM)과 프로파일을 ITS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위치참조모델의 기능과 적용성을 평가한다.키기 위한 향후의 연구과제를 제시한다.Si결정의 크기를 비교하였을 때 45$\mu\textrm{m}$ 이하의 분말을 섞어 압출하였을 때 가장 작은 초정 Si입자 크기를 얻음 을 볼 수 있었다. 주의 Fairfax County에 소재한 주간 고속도로 66번(I-66)과 인접 교통망의 교통자료를 사용하여 각종 돌발교통 혼잡 상황을 전제로 한 Traffic Simulation과 정보제공시나\리오를 INTEGRATION Model을 이용해 실행하였다. 그 결과 적응형 알고리즘이 개개인의 최단시간 경로를 제공하는 사용자 평형 경로안내전략에 비해 교통혼잡도와 정체시간의 체류정도에 따라 3%에서 10%까지 전체통행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출발참, 구성대외개방선면축심, 실현국제항선적함접화국내항반적전항, 형성다축심복사식항선망; 가강기장건설, 개피포동제이국제기장건설, 괄응포동개발경제발전적수요. 부화개시일은 각 5월 26일과 5월 22일이었다. 11. 6월 중순에 애벌레를 대상으로 처리한 Phenthoate EC가 96.38%의 방제가로 약효가 가장 우수하였고 3월중순 및 4월중순 월동후 암컷을 대상으로 처리한 Machine oil, Phenthoate EC 및 Trichlorfon WP는 비교적 약효가 낮았다.>$^{\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추공 내 물리검층과 정압주입시험에서도 확인된다.. It was resulted from increase of weight of single cocoon. "Manta"2.5ppm produced 22.2kg of cocoon. It

  • PDF

Trends on High-Precision Digital Map for Autonomous Driving Services (클라우드 연계 자율주행 맵 시스템 기술동향)

  • Choi, J.D.;Min, K.W.;Sung, K.B.;Han, S.J.;Lee, D.J.;Park, S.H.;Kang, J.G.;Jo, Y.W.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4
    • /
    • pp.40-47
    • /
    • 2017
  • 자율주행 맵은 도로의 주행환경 정보(차로, 도로 마크, 신호등의 위치 등)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동적 주행환경 정보(장애물 출현, 일시적인 통행제한, 긴급한 도로 복구, 교차로 교통혼잡 등)로 구성된다. 자율주행 맵 생성 및 갱신 기술은 차로 구분선이나, 도로 교통과 관련된 실시간 갱신 주기 측면에서 더욱 세밀하고, 정확한 위치 정보가 요구되며, 또한, 최신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러한 고정밀 지도의 세밀함과 정확성, 최신성은 자율주행 서비스를 위해 요구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클라우드와 연계하여 생성되는 자율주행 맵은 차량 운행 시 수집되는 정보를 클라우드에 축적하여 가공함으로써, 시간과 인력 투입을 통해 데이터를 취득하고 지도를 구축하는 면에서 작업 품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유지와 보수 측면에서는 정기적으로 또는 신속하게 갱신하여 최신의 정보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본고에서는 자율주행 맵을 생성하고 갱신하는 클라우드 연계 플랫폼과 연구 결과 일부를 소개한다.

The development of photo navigation app uses gps (사진의 GPS를 활용한 네비게이션 앱 개발)

  • Jang, Eun-Gyeom;Seo, Eun-Bok;Choi, D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07a
    • /
    • pp.203-204
    • /
    • 2016
  • 본 프로젝트는 Tmap을 사용해서 사진의 GPS 정보를 활용한 네비게이션 App이다. 프로젝트의 핵심 기능 및 환경은 GPS가 탑재된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의 GPS를 활용한 사진 촬영의 경우, 사진에 포함된 경/위도 위치 값을 활용한 네비게이션 기능이다. 인터넷 및 디지털 사진의 경우 멋진 풍경이나 맛집, 행선지 등의 사진을 보고 장소가 어디인지? 또는 가보고 싶은 장소가 있다. 이러한 사진의 촬영 장소는 GPS 정보를 포함하는 사진의 경우, 정적인 위치가 지도상에 표시만 된다. 이렇게 정적인 지도의 위치 값을 네비게이션 기능을 활용하여 동적으로 쉽게 사진 속 장소를 쉽게 찾아 갈 수 있도록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약속장소를 잘 못 찾을 때 현재의 네비게이션 주소를 알면 상대가 기존 네비게이션을 활용하여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주소나 상점 등위치 정보를 모를 때 상대에게 약속 장소의 위치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문제는 현재 위치를 사진을 찍어 전송하면 그 사진에 포함된 경/위도 위치 값을 활용한 길 안내와 실제 촬영한 이미지를 함께 보면서 약속 장소를 찾아가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 PDF

A Multi-Resolution Database Model for Management of Vector Geodata in Vehicle Dynamic Route Guidance System (동적 경로안내시스템에서 벡터 지오데이터의 관리를 위한 다중 해상도 모델)

  • Joo, Yong-Jin;Park, Soo-H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8 no.4
    • /
    • pp.101-107
    • /
    • 2010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me up with a methodology of constructing an efficient model for multiple representations which can manage and reconcile real-time data about large-scale roads in Vector Domain. In other words, we suggested framework based on a bottom-up approach, which is allowed to integrate data from the network of the lowest level sequentially and perform automated matching in order to produce variable-scale map. Finally, we applied designed multi-LoD model to in-vehicle applic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formation Assistant Systems in Ubiquitous Computing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정보보조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 Chun, Hong-Jun;Lee, Sang-Hoon;Suh, Il-H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07d
    • /
    • pp.2550-2552
    • /
    • 2004
  • 표지판이나 지도, 안내책자 같은 매체들은 사용자에게 여러 정보(위치정보, 부가정보)를 제공한다. 이런 매체를 통한 위치정보와 부가정보는 직관적이고 간결하며 정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그리고 정보제공의 형태를 보면 사용자가 정보를 취득해 가야 하는 점에서 수동적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정보 욕구가 증가할수록 정적인 정보보다는 동적인 정보를 요구하고, 수동적인 정보제공 방법보다는 능동적인 정보제공 방법을 선호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정보보조시스템(IAS)은 기존의 IAS 시스템과 달리, 직관적이고 간결한 정보 전달의 수단으로 증강현실 기술을 사용하고, 능동적 정보제공의 방법으로 에이전트 시스템을 사용한다. 실제 구현 과정에서 성능 향상을 위한 아이디어를 추가하여, 제안하는 방법들의 효용성을 검증한다.

  • PDF

A Study on the Heuristic Search Algorithm on Graph (그라프에서의 휴리스틱 탐색에 관한 연구)

  • Kim, Myoung-Jae;Chung, Tae-Choong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4 no.10
    • /
    • pp.2477-2484
    • /
    • 1997
  • Best-first heuristic search algorithm, such as $A^{\ast}$ algorithm,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techniques used to solve many problem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 common feature of heuristic search is its high computational complexity, which prevents the search from being applied to problems is practical domains such as route-finding in road map with significantly many nodes. In this paper, several heuristic search algorithms are concerned. A new dynamic weighting heuristic method called the pat-sensitive heuristic is proposed. It is based on a dynamic weighting heuristic, which is used to improve search effort in practical domain such as admissible heuristic is not available or heuristic accuracy is poor. It's distinctive feature compared with other dynamic weighting heuristic algorithms is path-sensitive, which means that ${\omega}$(weight) is adjusted dynamically during search process in state-space search domain. For finding an optimal path, randomly scattered road-map is used as an application a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