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적지도정보

Search Result 107, Processing Time 0.058 seconds

Design of the Dynamic Sketch Map Generation Methods for the Mobile Map Services (무선 지도 서비스를 위한 동적 약도 생성 기법의 설계)

  • 김미란;최진오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25-27
    • /
    • 2001
  •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급소간 발전으로 이동 매체를 통한 정보 서비스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 중에서 이동 매체를 통한 전자 지도 서비스는 전송 정보의 용량이 크고 출력 장치의 resource를 많이 요구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무선 지도 서비스 환경의 bandwidth 제약 조건과 resource 제약 조건을 새로이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는 동적 약도 생성 기법을 소개한다. 본 논문은 resource 제약 조건을 해결하기 위해 지도 정확성의 기준을 완화하여 재 정의한 generalization 기법을 도입하며, bandwidth 제약 조건을 해결하기 위해 설정된 threshold 값을 만족하는 filtering 기법을 제안 및 설계 구현한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ynamic Electronic Map Creation System for Mobile Phone Map Service Using Raster Method (라스터 방식을 이용한 모바일 전화기용 지도 서비스를 위한 동적 전자 지도 생성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Jung Young-Jin;Lee Jeong-Bae;Suh Il-Soo;Nam In-Gil;Kim Mi-Ran;Choi Jin-O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627-63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무선 데이터베이스에 사용하도록 무선 지도를 간략화하는 동적 생성 매커니즘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 매커니즘은 generalization, filtering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개발된 기술은 무선 지도 서비스의 기능을 향상시킬수 있는데, 전송 지도 데이터를 이미지 방식으로 전송하는 래스터 데이터(raster data) 지도 방식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기술을 통해 무선 지도 데이터의 전송 속도 향상이 가능하고 동적 전자 약도 생성도 가능하다.

  • PDF

A Study on Dynamic Map Data Provision System for Automated Vehicle (자율주행을 위한 동적지도정보 제공에 관한 연구)

  • Yang, Inchul;Jeon, Woo Hoon;Lee, Hyang Mi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6 no.6
    • /
    • pp.208-218
    • /
    • 2017
  •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Vehicle Local Dynamic Map (V-LDM) and demonstrate its performance for providing dynamic map data efficiently to the vehicle control module. Firstly, the concept of the in-vehicle LDM has been established and then the system has been carefully design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s. The high-precision digital map embedded in LDM has been designed to incorporate the lane-level information of road network, and the Dynamic Map protocol (DM protocol) which is a message protocol including the road data with dynamic traffic event data has been defined. The performance test of the proposed system has been conducted in the uninterrupted road section of Kyungbu expressway, showing that both of the data size and the elapsed time to finish the process are almost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length of target road. Finally, it is recommended that the length of target road for DM protocol be less than 250m.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Rate of Handwritten Digits by Combining Multiple Dynamic Topology-Preserving Self-Organizing Maps (다중 동적 위상보존 자기구성 지도의 결합을 통한 필기숫자 데이타의 분류율 향상)

  • Kim, Hyun-Don;Cho, Sung-Bae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8 no.12
    • /
    • pp.875-884
    • /
    • 2001
  • Although the self organizing map (SOM) is widely utilized in such fields of data visualization and topology preserving mapping, since it should have the topology fixed before trained, it has some shortcomings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practical problems, and classification capability is quite low despite better clustering performance. To overcome these points this paper proposes the dynamic topology preserving self-organizing map(DTSOM) that dynamically splits the output nodes on the map and trains them, and attempts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capability by combining multiple DTSOMs K-Winner method has been applied to combine DTSOMs which produces K outputs with winner node selection method. This produces even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combining methods such as majority voting weighting, BKS Bayesian, Borda, Condorect and reliability sum. DTSOM remedies the shortcoming of determining the topology in advance, and the classification rate increases significantly by combing multiple maps trained with different features. Experimental results with handwritten digit recognition indicate that the proposed method works out to problems of conventional SOM effectively so to improve the classification rate to 98.1%.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Dynamic Electronic Map Creation System for Mobile phone Map Service Using Raster Method (래스터 방식을 이용한 모바일 전화기용 지도 서비스를 위한 동적 전자 지도 생성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Seo Ii-Soo;Nam In-Gil;Lee Jeong-Bae;Choi Jin-Oh;Kim Mi-Ram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2D no.1 s.97
    • /
    • pp.151-158
    • /
    • 2005
  • In order to use the existing map data base in the mobile phone, the dynamic creation technique of the radio map which will be able to be converted into the raster image and transmitted was proposed. We transferred the client module functions such as the coordinate conversion, data compression and decoding to server, and made driving of JAVA browser in the mobile phone which has the restricted resources possible for the dynamic creation of the radio map. We made the radio electronic map service possible without map data base for the mobile phone use only by performing the general work of the map at the sever. And we guaranteed the client waiting time less then the limit time by performing the filtering work of the map at the server also. After we input the keyword at the user interface for searching the region or facility, and verifi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echnique by confirming that the raster electronic map usable at the mobile phone was created dynamically.

A Dynamic Spatial Indexing Structure for Map browsing on PDA (PDA 지도 브라우징을 위한 동적 공간 색인 구조)

  • 김은영;전봉기;서영덕;홍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96-198
    • /
    • 2001
  •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발달은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을 일반 PC의 수준으로 끌어올리며 휴대 단말기의 보급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지도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요구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지도 서비스에 필수적인 기존의 공간색인은 서버나 PC와 같은 저장용량이 크고 연산처리속도가 높으며 유선망을 통해 다른 서버와 통신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므로 PDA로 대표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적용하기에는 부적할하다. 또한 휴대용 기기의 이동성을 고려할 때, 질의 수행 시 저장되지 않은 지도 데이터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전송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새롭게 전송된 지도 데이터를 기존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에 삽입하기 위해서 색인 재구축 비용이 발생한다. 즉, 서버와 무선통신을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도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휴대 기기에 적합한 데이터 저장 및 색인구조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무선단말기 특히 PDA 환경에서의 벡터지도시스템을 위해 공간 데이터의 최적화된 저장구조와, 비연속적인 다양한 지역에 대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통합.관리하는 동적색인구조를 제시한다.

  • PDF

항만용 자율협력주행 동적지도(LDM) 및 관제용 위치인식 설계 방안 연구

  • Kim, Gil-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0.11a
    • /
    • pp.157-158
    • /
    • 2020
  • 항만용 자율주행 야드트럭운행 환경은 무신호교차로 주행, 낮은 GPS정확도, 악천후상황주행, 이송 컨테이너 위치변경등과 같이 일반 도로의 센서기반의 자율주행차량 운행과 다르게 매우 복잡하다. 이를 위해서는 항만내 특성을 반영한 실시간 위치, 속도 등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중요한 요소이다. 이를 위해서 센서융합과 V2X기반의 복합적인 항만용 실시간 로컬 동적지도 (Local Dynamic Map) 생성 및 V2X기반의 협력측위를 통하여서 기존의 독립적인 자율주행차량의 위치 인식보다 더 개선된 고정밀 위치 인식 정보추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적인 항만용 동적지도 생성관리시스템의 설계 방안 및 협력측위 기술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한 항만 구역내 자율주행차량 및 모든 화물 이송장비들의 실시간 위치 인식뿐만 아니라 이동체의 사전 충돌예측 및 비상정지 안전 제어 가능한 V2X 기반의 인텔리젼스 한 3차원 관제시스템 설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Framework for Calculating the Spatiotemporal Activation Section of LDM-Based Autonomous Driving Information (동적지도정보 기반 자율주행 정보의 시공간적 활성화 구간 산정 프레임워크)

  • Kang, Chanmo;Chung, Younshik;Park, Jaehy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4
    • /
    • pp.519-526
    • /
    • 2022
  • Basically, autonomous vehicles drive using road and traffic information collected by various sensors. However, it is known that there is a limitation to realizing fully autonomous driving with only such technologies and information. In recent,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ensor-based autonomous driving, and efforts are also underway to utilize more specific and accurate road and traffic information, called local dynamic map (LDM). However, LDM-related data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have not yet been sufficiently verified, and research on the spatiotemporal scope of LDM during autonomous driving is extremely limited. Based on this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se limitations through an analysis of previous LDM-related studies and to present a framework for calculating the spatiotemporal activation section of LDM-based road and traffic information.

Dynamic Generation Methods of the Wireless Map Database using Generalization and Filtering (Generalization과 Filtering을 이용한 무선 지도 데이터베이스의 동적 생성 기법)

  • Kim, Mi-Ran;Choe, Jin-O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8D no.4
    • /
    • pp.367-376
    • /
    • 2001
  • For the electronic map service by wireless, the existing map database cannot be used directly. This is because, the data volume of a map is too big to transfer by wireless and although the map is transferred successfully, the devices to display the map usually don’t have enough resources as the ones for desktop computers. It is also not acceptable to construct map database for the exclusive use of wireless service because of the vast cost. We propose new technique to generate a map for wireless service dynamically, from the existing map database. This technique includes the generalization method to reduce the map data volume and filtering method to guarantee that the data volume don’t exceed the limit of bandwidth. The generalization is performed in 3 steps :ㅁ step of merging the layers, a step of reducing the size of spatial objects, and a step of processing user interface. The filtering is performed by 2 module, counter and selector module. The counter module checks whether the data blume of generated map by generalization, exceeds the bandwidth limit. The selector module eliminates the excess objects and selects the rest, on the basis of distance.

  • PDF

Dynamic Path Generator Using Line Segment Based Map (선분지도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동적 경로 생성)

  • Kwon, Seok-Geun;Hong, Hyun-Ju;Ro, Young-Shick;Yi, Un-K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d
    • /
    • pp.2368-2371
    • /
    • 2003
  • 알려지지 않은 환경에서 이동로봇이 목표점까지 이동하기 위해서는 외계센서를 이용하여 장애물을 인식하여 충돌 없이 주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하고 또한 인식된 장애물을 지도정보로 저장하여야 한다. 이렇게 생성된 지도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경로를 실시간으로 계획하면서 목표점까지 도달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초음파 센서로 알려지지 않은 환경을 인식하여 선분지도를 생성하면서 생성된 선분지도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최적의 경로계획을 위한 경로생성에 대하여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실내 환경에서 모의실험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경로계획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