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적인 응답

Search Result 1,33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Modeling for Vibration Serviceability Evaluation (교량의 진동사용성 평가를 위한 모델링에 관한 연구)

  • Lee, Hu-Seok;Ha, Sin-Yong;Hwang, In-Ho;Lee, Jong-Seh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39-42
    • /
    • 2010
  • 최근 보행자가 교량의 진동에 의한 불안감을 느끼는 경우가 발생되면서 설계 단계에서 진동에 대한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설계자는 범용유한요소프로그램에 이동하중을 적용하여 동적응답해석을 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그 결과 Meister감각곡선에 의한 진동사용성 평가도 정확히 수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자들이 수행하는 교량의 진동사용성 평가방법의 간편한 적용을 위하여 이동하중모델 생성툴을 연구하였으며, 범용유한요소프로그램으로 모델링 된 교량의 매개변수를 변화해가며 진동사용성 평가를 수행하였고 연구 결과 중 매개변수의 하나인 보요소의 길이에 따른 진동사용성 평가결과만을 작성하였다. 평가결과 보요소의 길이에 따라 교량에 발생되는 진동과 가속도의 응답치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발생되는 주요주파수 범위도 다르게 해석되었다. 이러한 동적응답의 결과가 다르게 해석되면서 Meister 감각곡선에 의한 평가등급이 차이도 발생되었다. 따라서 정확한 진동사용성 평가를 위해서는 동적응답해석 시 다양한 매개변수에 의한 동적응답의 결과에 대한 연구는 물론 다양한 교량 형식과 그에 맞는 모델링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ediction of Dynamic Response of Structures Using CMAC (CMAC을 이용한 구조물의 동적응답 예측)

  • Kim, Dong Hyawn;Kim, Hyon Taek;Lee, In 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2 no.5 s.48
    • /
    • pp.605-615
    • /
    • 2000
  • Cerebellar model articulation controller (CMAC) is introduced and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structural dynamic model. CMAC has fascinating features in learning speed. It can learn structural response within a few seconds. Therefore it is suitable for the real time identification structures. Real time identification is required in the control of structure which may be damaged or undergo severe change in mechanical properties due to shrinkage or relaxation etc. In numerical examples, it is shown that CMAC trained with the dynamic response of three-story building can predict responses under not trained earthquakes with allowable error. Finally, CMAC has great potential in structural and control engineering.

  • PDF

Transient Response Analysis of Linear Dynamic System with Random Properties (확률론적 특성을 갖는 선형 동적계의 과도 응답 해석)

  • 김인학;독고욱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0 no.3
    • /
    • pp.125-131
    • /
    • 1997
  • Most dynamic systems have are known to various random properties in excitation and system parameters. In this paper, a procedure for response analysis is proposed for the linear dynamic system with random properties in both excitation and system parameters. The system parameters and responses with random properties are modeled by perturbation technique, and then response analysis is formulated by probabilistic and vibration theories. And probabilistic FEM is also used for the calculation of mean response which is difficult by the proposed response model. As an applicative example, the transient response is considered for systems of single degree of freedom with random mass and spring constant subjected to stationary white-noise excitation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to those of numerical simulation.

  • PDF

Improved Distribution of Seismic Forces for Evaluation of Nonlinear Seismic Response of Building Structures (건축구조물의 비선형 지진응답 평가를 위한 개선된 지진하중 분배방법)

  • 이동근;최원호;안지희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5 no.2
    • /
    • pp.33-47
    • /
    • 2001
  • 성능에 기초한 내진설계에서는 구조물이 보유하고 있는 능력을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비선형 정적 해석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선형 정적해석은 고차모드에 대한 효과를 고려하지 못함으로써 고층구조물이나 비정형 구조물과 같은 경우에는 정확한 비선형 지진응답의 산정과 내진성능을 평가하는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구조물의 선형 및 비선형 지진응답 평가를 위하여 응답 스펙트럼해석을 통하여 얻어지는 층전단력으로부터 층하중을 산정하는 유사동적해석법이 적용되었다. 제안된 방법을 비선형 정적 해석에 적용하여 구조물의 비선형 자동응답을 비선형 시간이력해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기존의 층분포하중에 의한 비선형 지진응답과 비교하였으며, 제안된 방법에 의한 지진 응답이 구조물의 비선형 거동특성을 가장 정확하게 표현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여 비선형 정적 해석을 수행한다면 비교적 명확한 건축물의 비선형 거동특성과 내진성능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ree Field Response Analysis Using Dynamic Fundamental Solution (다층반무한 기본해를 이용한 자유장응답해석)

  • 김문겸;임윤묵;김민규;이종우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5 no.2
    • /
    • pp.83-9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2차원 평면상에서 자유장응답 해석을 위하여 유한요소-경계요소 조합에 의한 수치해석기법을 개발하였다. 전체 계를 외부영역과 내부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외부영역은 동적 다층반무한 기본해를 이용한 경계요소로 모형화되고 내부영역은 유한요소로 모형화하여 조합하였다. 다층지반의 외부에서 입사하는 지진에 의한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동적기본해를 이용한 자유장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지진응답해석에서는 지반의 전단병형률에 따라 변화하는 비선형특성을 모형화하기 위해 등가선형화기법을 적용하였다. 지진응답해석의 검증에 의하여 해석결과를 상용프로그램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지진응답해석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치해석기법을 개발하였고 구조물이 있는 경우로의 확장돠 가능하게 되었다.

  • PDF

A Dynamic ACK Regeneration Scheme to Improve TCP Performance over Asymmetric Networks (비대칭 망에서 TCP 성능 향상을 위한 동적 응답 패킷 재생성 기법)

  • Ahn, Joon-Chul;Lee, Ji-Hyun;Lim, Kyung-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562-564
    • /
    • 2005
  • 비대칭 율이 높은 비대칭 망에서 동작하는 TCP의 성능은 상향 링크의 혼잡 발생 여부에 좌우된다. 상향 링크에 실리는 응답 패킷 트래픽이 링크의 대역폭을 넘어서게 되면 응답 패킷이 손실되거나 전송 지연이 길어져서 성능을 저하시킨다. 상향 링크의 혼잡 문제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응답 패킷 필터링/재생성 기법을 들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당 기법의 문제점을 해결한, 송신측 TCP의 상태에 따라 응답 패킷 재생성 작업을 수행하는 동적 패킷 재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정확한 응답 패킷을 재생성하고, 이를 순서 뒤바뀜 없이 송신측에 전송하도록 하여 혼잡 제어 구간에서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 TCP가 혼잡 제어 상태에 있는 동안에만 응답 패킷 재생성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응답 패킷 트래픽과 패킷 재생성에 드는 부하를 줄인다.

  • PDF

Statistical Space-Time Metamodels Based on Multiple Responses Approach for Time-Variant Dynamic Response of Structures (구조물의 시간-변화 동적응답에 대한 다중응답접근법 기반 통계적 공간-시간 메타모델)

  • Lee, Jin-Min;Lee, Tae-He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4 no.8
    • /
    • pp.989-996
    • /
    • 2010
  • Statistical regression and/or interpolation models have been used for data analysis and response prediction using the results of the physical experiments and/or computer simulations in structural engineering fields. These models have been employed during the last decade to develop a variety of design methodologies. However, these models only handled responses with respect to space variables such as size and shape of structures and cannot handle time-variant dynamic responses, i.e. response varying with time. In this research, statistical space-time metamodels based on multiple response approach that can handle responses with respect to both space variables and a time variable are proposed. Regression and interpolation models such as the response surface model (RSM) and kriging model were developed for handling time-variant dynamic responses of structural engineering. We evaluate the accuracies of the responses predicted by the two statistical space-time metamodels by comparing them with the responses obtained by the physical experiments and/or computer simulations.

A Study on Dynamic Response of Truss Bridge due to Moving Train Loads (열차하중의 주행에 의한 트러스교의 동적응답에 관한 연구)

  • Chang, Dong Il;Choi, Kang Hee;Lee, Jong Deu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9 no.2
    • /
    • pp.1-10
    • /
    • 1989
  • In this paper, dynamic response of a truss bridge due to constantly moving train loads is analysed. Dynamic response of the bridge is found by the mode superposition method with the solution of the eigenvalue problem by Householder transformation and QL algorithm.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procedure, the response due to a very slowly moving load is compared with the result from the static analysis program, and the dynamic response is also compared with the result from the direct integration method. Based upon this, the variation of dynamic amplification factors is investigated by changing the train types and speeds, and the result is compared with the code specified impact factor. From this study, it was known that the dynamic amplification factor is not quite different by train types in low speeds but in high speeds it is, and in the case of electric car and U. I. C. loads the factor could exceed the code specified impact factor depending upon the speed.

  • PDF

Modified Earthquake resistant design for a concrete bridge in the Low to moderated seismic Region (중약진지역에 위치한 콘크리트교량의 수정내진 설계)

  • 국승규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4 no.3
    • /
    • pp.11-21
    • /
    • 2000
  • 구조물에 내진설계를 적용하는 목적은 지진에 노출되는 구조물에 안전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파괴메카니즘을 부여하는 것이다. 내진설계에 보편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응답스펙트럼해석법은 선형해석법으로 구조물의 비선형 동적거동에 의한 영향은 특정 계수로 반영한다. 그러나 기존의 내진설계시방서들이 강진지역에 있는 나라들에 의해 제정 및 개정되어 왔기 때문에 응답스펙트럼 해석법 뿐만 아니라 기타의 적용규정이 강진지역에 위치한 구조물의 상황만을 고려하여 제시되었다. 따라서 중약진지역에 위치한 구조물의 내진설계에 대한 별도의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약진지역에 위치한 콘크리트 교량을 선정하여 비선형 동적거동을 반영하는 계수를 결정하고 응답스펙트럼 해석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바탕으로 중약진지역의 교량에 대해 내진설계의 목적을 만족하는 개선된 내진설계 절차를 제시하였다.

  • PDF

Scaling and Dynamic Effects on the Plate Cutting Response (판의 찢김 응답에 대한 치수 및 동적 효과)

  • 백점기;이탁기
    •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 /
    • v.33 no.3
    • /
    • pp.48-55
    • /
    • 1996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caling and dynamic erects on the plate cutting response. A series of cutting tests for unstiffened and longitudinally stiffened steel plate specimens in a quasi-static condition were carried out, varying the plate thickness. Based on the previous as well as the present test results, the scaling effect of Plate thickness on the cutting response is investigated. Dynamic erects are also clarified from the devious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The Cowper-Symonds constitutive equation originally derived for mild steel is modified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strain-rate sensitivity on yield strength of high tensile ste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