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작지능

Search Result 66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ognitive Profile of Children with Williams Syndrome: Comparison with Children with Prader-Willi Syndrome and Down Syndrome

  • Yim, Shin-Young;Cho, Kye-Hee;Kim, Hyon-J.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v.7 no.1
    • /
    • pp.45-52
    • /
    • 2010
  • Purpose: The objectives were to examine following 2 questions related to cognitive profile for the children with Williams syndrome (WS); 1) Is there a significant advantage for verbal IQ over performance IQ in WS?; 2) Is there selective impairment in visuospatial ability in the children with WS? Materials and Methods: Five children with WS with the age of $90.86{\pm}20.73$ months were compared with 12 children with Prader-Willi syndrome (PWS) or Down syndrome (DS) with comparable age and IQ. Results: All 5 children with WS showed intellectual disability whose mean scaled scores were $15.71{\pm}9.27$ in verbal subtests and $14.29{\pm}7.50$ in performance subtests, which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um of scaled scores of verbal subtests among WS, PWS and DS. There was no selective impairment in subtests which represented visuospatial tasks for the children with WS. However, the scaled score of object assembly was significantly lower in WS ($2.29{\pm}0.95$) compared to that of PWS ($4.75{\pm}2.77$; P <0.05). Conclusion: The general notion that the children with WS would be relatively strong in verbal function when compared with their overall cognitive function was not observed in this study. The verbal function of the children with WS was not better when compared to the children with DS or PWS. There was no selective impairment of visuospatial function in the children with WS at this age. However, the visuospatial function was significantly low in the children with WS only when compared to the children with PWS.

Oper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3-Phase 3300/220V 6kVA Bidirectional Intelligent Semiconductor Transformer (3상 3300/220V 6kVA 양방향 지능형 반도체 변압기의 동작과 성능 분석)

  • Kim, Do-Hyun;Kim, Jae-Hyuk;Han, Byung-M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11a
    • /
    • pp.58-59
    • /
    • 2013
  • 본 과제에서는 3.3kV/220V, 6kVA 용량의 양방향 지능형 반도체 변압기의 새로운 회로 구성을 제안하고 그 동작과 성능을 분석하였다. 제안하는 3상 반도체변압기는 1.9kV/127V 단상 반도체 변압기 모듈 3대를 Y-결선으로 구성하였으며, 각 단상 반도체 변압기는 고압 고주파 AC-DC 정류기와 저압 양방향 DC-DC-AC 컨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제안하는 3.3kV/220V, 6kVA 3상 반도체변압기를 제작하고 실험을 통해 그 동작과 성능을 검증하였다. 먼저 1차적으로는 3상 반도체변압기의 정상동작에 대해 실험을 실시하고 그 후에는 3상 입력전압에 외란이 발생하였을 때 보상성능을 순방향 조류와 역방향 조류 2가지 경우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제안하는 반도체변압기는 양방향 전력흐름이 가능하고 입력전압에 Sag가 발생한 경우에도 이를 보상하여 수전단이나 부하에 전력공급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ower flow control and Input voltage Sag compensation Analysis of Bidirectional Intelligent Semiconductor Transformer (양방향 지능형 반도체 변압기의 조류제어와 입력전압 Sag 보상 특성분석)

  • Kim, Do-Hyun;Lee, Byung-Kwon;Han, Byung-Moon;Lee, Jun-Young;Yoon, Young-Doo;Choi, Nam-Sup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345-34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단상 1.9kV/127V, 2kVA 용량의 양방향 지능형 반도체 변압기의 시작품을 제작하고 그 동작특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제작한 반도체 변압기는 3대의 LLC 컨버터를 입력 측은 직렬로 결합하고 출력 측은 병렬로 결합한 AC-DC 컨버터와 1대의 하드스위칭 양방향 2-Stage DC-AC 컨버터가 직렬로 결합되어 있다. 제안하는 반도체변압기의 회로적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PSCAD/EMTDC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고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하드웨어 시작품을 제작하고 다양한 실험을 통해 그 동작과 성능을 검증하였다. 먼저 1차적으로는 정상동작에 대해 실험을 실시하고 얻은 결과를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2차적으로는 전력의 흐름에 따른 동작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후에는 입력전압에 외란이 발생하였을 때 보상성능을 순방향 조류와 역방향 조류 2가지 경우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제안하는 반도체변압기는 양방향 전력흐름이 가능하고 입력전압에 Sag가 발생한 경우에도 이를 보상하여 수전단이나 부하에 전력공급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단상 반도체 변압기 2대를 더 제작하여 3상 3.3kV/380V, 6kVA 용량으로 확대하여 실험을 실시할 예정이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ieldbus Data Link Layer Protocol for Intelligent Sensor (지능형 센서용 필드버스 데이터링크계층 프로토콜 설계 및 구현)

  • Kim, Yu-Chul;Hong,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9.07b
    • /
    • pp.945-947
    • /
    • 1999
  • 첨단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각 필드기기에서 생산되는 정보들을 적절한 형태로 가공하여 적시에 필요한 공정으로 제공하여 줄 수 있는 지능형 센서 및 필드기기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필드기기들이 유기적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하기 위해서는 통신망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필드버스는 자동화 및 분산 제어 시스템의 컴퓨터 통신망 계층구조에서 최하위 계층 기기들 간에 실시간 통신을 제공하는 산업용 통신망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신용 프로세서인 Mc68360을 기반으로 하여 필드버스의 일종인 Profibus의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계층 프로토콜을 구현하였다. 물리계층은 프로세서의 UART 통신 기능과 RS-485칩을 사용하여 구현하고, 데이터링크계층 프로토콜은 프레임 분석과 송수신, 에러처리, 흐름제어, 매체접속권한 관리 등의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구현하였다. 또한 지능형 센서 본래의 목적중의 하나인 원격관리 기능을 위하여 각 필드기기의 노드 주소, 타이머 값 등의 통신 파라미터를 원격 마스터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관리계층의 기능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 하나의 노드기능을 담당하는 여러 개의 보드들로 구성된 testbed를 구축하고, 다양한 통신환경에서 초기화, 정상, 비정상 상태 등의 동작을 실험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지능형 센서용 필드버스의 데이터링크계층 프로토콜이 정상적으로 동작됨을 확인하였다.

  • PDF

소프트웨어 로봇 연구용 테스트베드

  • Kim In-Chul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3 no.3 s.262
    • /
    • pp.28-35
    • /
    • 2006
  • 소프트웨어 로봇들은 시뮬레이트된 센서와 실행기들을 가지고 가상 환경 안에서 자율적으로 동작하는 지능형 가상 에이전트로 볼 수 있다. 지능형 가상 에이전트 연구용 테스트베드들은 에이전트들의 성능 평가를 위해 표준화된 작업들을 구현할 수 있고, 환경이나 실험 에이전트들을 제어할 수 있는 도구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RoboCup 축구 시뮬레이션시스템, Gamebots 시스템, USARSim 시스템 등과 같은 지능형 가상 에이전트와 멀티 에이전트시스템 연구를 위한 대표적인 테스트베드들을 간략히 소개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User Interface with Data glove (데이터 글로브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 김선태;마평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474-477
    • /
    • 2002
  • HMD를 연결한 지능정보단말을 휴대하여 이동 중이거나 작업 중에 유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를 편리하게 획득하기 위해서는 보다 손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데이터 글로브를 이용한 촉각 인터페이스는 지능정보단말상에서 구현되는 웹 브라우저의 네비게이션이나 미디어 재생기의 명령어 제어를 기존의 PC상의 키보드나 마우스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인터페이스이다. 지능정보단말상에서의 데이터 글러브를 이용하여 각각의 손 동작에 대응하는 적절한 제어 신호를 정의함으로써, 웹 브라우징이나 미디어 재생기의 기본적인 제어를 사용자가 마치 마우스를 사용하듯이 이동 중이거나 작업 중에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다비이스 드라이버 상에서 구현한다.

  • PDF

Development of an Intelligent Hexapod Walking Robot (지능형 6족 보행 로봇의 개발)

  • Seo, Hyeon-Se;Sung, Young-Whe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4 no.2
    • /
    • pp.124-129
    • /
    • 2013
  • Hexapod walking robots are superior to biped or quadruped ones in terms of walking stability. Therefore hexapod robots have the advantage in performing intelligent tasks based on walking stabi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hexapod robot that has one fore leg, one hind leg, two left legs, and two right legs and can perform various intelligent tasks. We build the robot by using 26 motors and implement a controller which consists of a host PC, a DSP main controller, an AVR auxiliary controller, and smart phone/pad. We show by several experiments that the implemented robot can perform various intelligent tasks such as uneven surface walking, tracking and kicking a ball, remote control and 3D monitoring by using data obtained from stereo camera, infrared sensors, ultra sound sensors, and contact sensors.

User Needs Analysis for Intelligent Jacket Design (지능형 자켓 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요구 분석)

  • 육형민;전명훈;노윤진;성지하;이희승;손영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131-113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지능형 자켓을 디자인하고 평가하는 인구의 첫 단계로 사용자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인지 지능형 자켓에 대한 사용자들의 태도 및 요구를 파악하는 사용자 그룹 인터뷰가 실시되었다. 인터뷰 참가자 집단은 도전감(challenge)을 준거로 신기술을 받아들이는 태도에 따라 얼리어댑터(early adaptor)와 래가드(laggard)로 나뉘어 졌으며 각각의 그룹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능형 자켓의 중요 요소는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얼리 어댑터의 경우 컴퓨터의 연장선상에서 기능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래가드의 경우 옷의 연장선상에서 심미성과 즐거움의 요소를 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능형 자켓의 초기 디자인 컨셉 방향은 얼리 어댑터와 래가드가 요구하는 각각의 요소에 대응하는 주제로 건강과 오락을 선정한 후, 이 주제에 맞는 구체적인 어플리케이션 아이디어를 사용자 인터뷰 및 아이디어 서술을 통해 수집하였다. 건강과 관련해서는 사람의 생체신호를 체크하는 기능이 운동복 및 잠옷의 결합된 형태로, 오락의 관련해서는 사람의 동작이나 자세를 교정하는 기능이 운동복 및 잠옷과 결합된 형태로 디자인된 지능형 자켓에 대한 요구가 수집되었다.

  • PDF

Study of Intelligent Home Robot based on Home Network (홈 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흠 로봇의 연구)

  • 정병찬;박진현;최동석;김훈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231-23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지능형 홈 로봇의 구현에 대한 내용을 논의하였다. 기존의 로봇들은 대부분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형태의 로봇이 주류를 이루었다. 현재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홈 네트워크는 가정 내 장치들이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로봇을 홈 네트워크 환경과 결합함으로 더욱 지능적이며, 다양한 기능을 구현 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로봇이 모든 일을 처리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네트워크를 이용한 작업의 분산이라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계속적으로 추가되는 가정의 장치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됨으로 로봇은 이들 장치에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향후에는 다양한 방식의 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로봇이 행동하는 지능형 공간 (Smart Space)의 형태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흠 서버, embedded robot,지능형 로봇으로 구성된 흠 네트워크 기반의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