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안정성

Search Result 465, Processing Time 0.05 seconds

The effect of Sandal and balance convergence exercise on static balance and proprioception on patient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만성 발목 불안정성 환자들에 대한 샌들과 균형 융합 운동이 정적균형 및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효과)

  • Lee, Eunsang;Lee, Seungw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9
    • /
    • pp.143-148
    • /
    • 2018
  •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he effects of balance training using sandals on the balancing and propriocep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CAI). A total of 36 patients with CAI were assigned to sandal exercise(SE), balance training(BT), and control groups(CG). The groups were assessed for static balancing and proprioception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SE performed using balance sandals, while BT performed balance training. Intervention comprised a 30minute session. 3 times a week for 8 weeks. The SE showed significant effect in static balance, as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p<.001), whereas proprioception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eversion (p<.001). Therefore, balance training using sandals can be a positive intervention method for prevention of falls in elderly as well as chronic ankle instability patients.

Electrohydrodynamic Instability at Surface of Block Copolymer/Titania Nanorods Thin Film (타이타니아 나노막대가 포함된 블록 공중합체 박막 표면의 전기장하에서의 불안정성 거동 연구)

  • Bae, Joonwo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7 no.2
    • /
    • pp.205-209
    • /
    • 2016
  • The influence of titania nanorods with an average diameter of 10 nm and an average length of 30 nm on the electrohydrodynamic instability of block copolymer (polystyrene-b-poly(2-vinylpyridine)) thin film was investigated in this article. The presence of titania nanorods increased the dielectric constant of the film, which resulted in a systematic reduction in the wavelength of the surface instability. Cross-sectional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igration/aggregation of titania nanorods did not occur as a result of the applied electric field. This work can provide a simple route to the pattern formation using electrohydrodynamic instability with an aid of nanoparticles.

A Geostatistical Study Using Qualitative Information for Tunnel Rock Binary Classification 1. Theory (이분적 터널 암반 분류를 위한 정성적 자료의 지구 통계학적 연구 -1. 이론)

  • 유광호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9 no.3
    • /
    • pp.61-66
    • /
    • 1993
  • In this paper, the incorporation of qualitative(or soft) data, such as outputs of geophysical tests or construction experience which has so far been cumulated, was discussed for rock classsification. Geostatistics wart used for this research since the parameters for the design of tunnels are spatially correlated. In particular, indicator kriging technique, which is one of non -parametric approaches, was used. As a selection criteria for an optimal classification, the cost of errors was adopted and the binary classes were only considered for rock classification. In future, incorporating an appreciable amount of available qualitative data will be necessary in tunnelling projects in which quantitative data are scarce.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is of great significance.

  • PDF

Generation of fault diagnosis knowledge base using dynamic simulation (동적 모사를 이용한 이상 진단 지식 모델 합성)

  • 윤여홍;윤인섭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3.10a
    • /
    • pp.570-575
    • /
    • 1993
  • 화학 공정에서의 이상 진단 시스템 개발 및 응용에 대한 연구는 지난 5년간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화학 공정의 본질적인 특성으로 대형 시스템, 비선형 특성, 모델링 자체의 어려움, 공정 변수의 large dead time 및 복잡한 인과 관계등을 들수 있으며,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적절한 이상 진단 시스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초기에는 주로 rule-based approach가 도입되어 현장에서의 조업에 많은 도움을 주었었다. 그러나 개발 기간의 단축화, 개발 과정의 표준화 뿐 아니라 개발된 시스템 자체의 일관성 등을 위하여 체계적인 접근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그중 지식 베이스 합성 문제는 그 동안 활발하게 연구되어 오고 있는 분야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호화된 정성적인 정보를 얻기위한 기존의 실험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동적 모사를 이용하여 정량적인 정보로부터 정성적인 정보를 생성시키는 방법론에 대해 연구하였다. CSTR(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에서 나타날수 있는 이상의 종류에 대한 동적 모사를 수행하여 이상 진단 시스템을 위한 지식이 생성되는 과정을 보였다.

  • PDF

EFFECT OF MAGNETIC FIELD STRUCTURE NEAR CATHODE ON THE ARC SPOT STABILITY OF FILTERED VACUUM ARC SOURCE OF GRAPHITE (자장 여과 진공 아크 소스에서 음극 부근의 자기장에 따른 아크 스팟 안정성 연구)

  • 김종국;이광렬;은광용;정기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38-138
    • /
    • 1999
  • 자장 여과 진공 아크법(Filtered Vacuum Arc :FVA)에 의해 증착된 비정질 다이아몬드 박막은 기계적, 광학적 특성이 매우 우수하여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러나 아크의 불안정성은 자장 여과 아크 소스의 연속적인 운전을 제한하고, 결과적으로 낮은 생산성을 가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음극의 형태 및 음극 부근에서의 자기장의 구조를 음극 부식 거동의 관점에서 수치모사 및 실험을 통해서 조사하였다. 소스 전자석과 인출 전자석의 자극 방향이 평행하게 된 구조에서 (magnetic mirror configuration), 음극 후면에 반대 방향의 자극을 가지는 영구자석을 돔으로서 아크 불안정성을 억제할 수 있었다. 또한 소스 전자석에 진동하는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아크 스팟의 운동 면적을 효과적으로 확장할 수 있었다. 시간 변화에 따른 빔 전류의 변화로부터 테이프형 음극이 우물형 음극에 비하여 더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진동하는 소스 전자석의 전류와 직경 80mm의 테이퍼형 음극을 사용하여, 아크 전류 60A에서 약 2000분 동안 사용하였으며, 이때 부식된 부피는 사용 가능한 음극 부피의 약 90%였다. 그리고 약 350mA의 안정한 빔 전류를 현재의 조건에서 얻었다.

  • PDF

저궤도 위성 지상기능시험 결과분석을 통한 별추적기 건정성 확인

  • Kim, Yeong-Yun;Jo, Seung-Won;Heo, Yun-Gu;Chae, Dong-Cheol;Choe, Jong-Ye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72.1-172.1
    • /
    • 2012
  • 위성은 발사 후 임무수행을 위하여 필수적인 자세정보를 획득해야 한다. 별 추적기는 궤도상에서 별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대적인 위성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에 사용하는 감지기이다. 별 추적기는 태양, 지구, 달 등의 광원으로부터 오는 빛을 차단해 주는 시야각제한기(baffle), 광학계소자(CCD) 및 렌즈, 열제어소자(cooler) 그리고 전원 및 전자박스 등으로 구성된다. 위성은 발사 전 조립시험 기간 동안 전자파, 진동, 열/진공 등의 환경시험 통하여 수차례의 성능 유무를 확인한다. 이 환경시험 전과 후에는 위성의 모든 전장품의 기능시험을 수행하여, 각 전장품의 환경영향 유무를 판별한다. 특히 벌 추적기 관련시험으로, 광학계 성능 검증을 위한 광학적 자극시험과 전자박스의 구동확인을 위한 전자박스 점검시험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상에서 수행한 별 추적기의 기능시험 결과를 분석하여 건정성 동향을 분석하였다.

  • PDF

정박 중 준해양사고 원인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연구

  • No, Beom-Seok;Kim, Tae-Hun;Gang, Seo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44-146
    • /
    • 2018
  • 준해상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준해양사고 등을 분석하여 사고 예방에 활용하였다. 하지만 준해양사고 건수가 많은 대신 주내용이 정성적이기 때문에 다양한 정량적 데이터로 분석하기에는 현실적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 장단점을 고려하여 준해양사고에 대해서 그동안 단순한 내용 검토 방식에서 통계적 분석과 이를 통한 객관적 결과 토출이 가능한 빅데이터 기법를 적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10,000여건의 준해양사고 보고서를 전처리 작업을 통해 통일된 양식으로 정리하였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1차로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해 정박 중 준해양사고 발생 원인에 대한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주요 키워드에 대해 2차로 시계열 및 클러스터 분석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준해양 사고 상황에 대한 경향 예측을 도출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정성적 자료인 준해양사고 보고서를 빅데이터 기법을 활용하여 정량화된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통계적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빅데이터 기법을 통해 차 후 발생할 수 있는 준해양사고 객관적인 경향을 파악함으로써 예방 대책에 대한 정보 제공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rmal Decomposition Energy of Liquid Crystalline Epoxy (열경화성 액정 에폭시 수지의 열분해 활성화에너지)

  • Seung Hyun Cho
    • Composites Research
    • /
    • v.37 no.1
    • /
    • pp.1-6
    • /
    • 2024
  • A liquid crystalline thermosetting epoxy was synthesizes with DGE-DHMS and 1-Methyl Imidazole. To investigate thermal stability, activation energies for thermal decomposition were calculated via Flynn-Wall-Ozawa method and Kissinger method with the data obtained from TGA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rmal decomposition behavior between liquid crystalline phases and isotropic phase and also the same thermal decomposition mechanism was applied to the entire process.

The Effect on Trunk Forward Flexion Motion of Thoraco-Abdominal Breathing Pattern Correction for Life Care Promotion in Lumbar Instability People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한 흉·복부 호흡패턴교정이 요추부 불안정성자들의 몸통 전방 굴곡 동작에 미치는 영향)

  • Ki, Chul;Heo, Myoung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4 no.8
    • /
    • pp.245-253
    • /
    • 2020
  • This study h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mobility of the three thoraco-abdominal lines(TAMs) during breathing and in the thoracic and lumbar spine mobility(TSM, LSM) during trunk forward flexion, after breathing pattern correction. The 30 subjects with lumbar instability(LI) have divided into the breathing pattern correction exercise(BPC) group of 15 subjects and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LSE) group of 15 subjects and performed each exercise for 40 minutes at one session, and a total of 18 sessions were applied for 6 weeks. As a result, The BPC group during breathin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TAMs(p<.001) and in the TSM(p<.001) than the LSE group. Besides, had a more decrease in the LSM than the LSE group(p<.001). The BPC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s with TAMs(rest: r=.868, forced: r=.870) and the TSM(r=.672) and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SM(r=-.420). Based on this result of the study, the authors believe that the BPC in LI people could decrease the lumbar flexion mobility when they have motion of trunk forward flexion with promotions in the thoracic spine and rib joint mobility by improvements in relative mobility of thoraco-abdominal lines.

Thermal Stability and Cure Behavior of Waterborne Phenol-Formaldehyde Resin (수용성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의 열안정성 및 경화거동)

  • Yoon, Sung Bong;Kim, Jin Woo;Cho, Donghwan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 /
    • v.7 no.1
    • /
    • pp.16-22
    • /
    • 2006
  • In this work, the effect of cure temperature and time on the thermal stability and the exothermic cure reaction peak of a waterborne resol-type phenol-formaldehyde resin, which may be used for preparing phenolic sheet molding compounds (SMC), has been investigated using a thermogravimetric analyzer and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The weight loss of waterborne phenol-formaldehyde resin was mainly occurred at three temperature stages: near $200^{\circ}C,\;400^{\circ}C$, and $500^{\circ}C$. The carbon yield at $750^{\circ}C$ for the cured resin was about 62%~65%. Their thermal stabil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cure temperature and time. Upon cure, the exothermic reaction was taken placed in the range of $120^{\circ}C{\sim}190^{\circ}C$ and the maximum peak was found in between $165^{\circ}C$ and $170^{\circ}C$. The shape and the maximum of the exothermic curves depended on the given cure temperature and time. To remove $H_2O$ and volatile components, the uncured resin needed a heat-treatment at $100^{\circ}C$ for 60 min at least prior to cure or molding. Curing at $130^{\circ}C$ for 120 min made the exothermic peak of waterborne phenol-formaldehyde resin completely disappeared. And, post-curing at $180^{\circ}C$ for 60 min further improved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cured res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