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아시아지역

Search Result 74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ssessing the skills of CMIP5 GCMs in reproducing spatial climatology of precipitation over the coastal area in East Asia (CMIP5 GCM의 동아시아 해안지역에 대한 공간적 강우특성 재현성 평가)

  • Hwang, Syewoon;Cho, Jeapil;Park, Cha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0-360
    • /
    • 2018
  •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특성의 변화는 다양한 기상이변과 극한사상의 발현으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슈이다. 일반적인 기후변화 연구는 전지구 기후 모델 (GCM, General Circulation Model) 산출물에 기반하여 생산된 미래 기상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최근 국내 연구에서 주로 활용되는 자료는 IPCC 5차보고서(AR5)의 과학적 기반자료로 활용되는 CMIP5(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 GCM 산출물이다. 수자원, 농업, 경제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후변화 영향평가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미래기간에 대한 GCM 산출물에 대한 신뢰성에 대한 평가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모델의 신뢰성은 산출물의 실제 현상에 대한 재현성을 평가함으로서 가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지역에 대한 전지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아시아 지역의 격자단위 관측자료를 수집하여 과거기간(1970~2005)에 대한 강우특성 공간분포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GCM 산출물의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위도와 경도에 따른 강우특성의 공간적 변동성에 대한 GCM 결과의 상관성과 평균/절대오차를 산정하여 29개 CMIP5 GCM의 순위를 결정하여 제시하였다. 이 분석은 동아시아 해안지역과 한반도 지역을 구분하고 다양한 강우특성에 대한 재현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오차 통계와 대상지역에 따라 GCM 순위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공간분포의 패턴과 절대적 오차를 기준으로 판단한 GCM 순위가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대체로 Hadley Centre 계열 모델의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강우특성 재현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한반도 지역만을 대상으로 평가했을 때 MPI_ESM_MR과 CMCC center 계열 모델의 재현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한반도 지역의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가중있게 고려되어야 할 GCM의 선정과 GCM 성능고려에 따른 기후변화 예측 불확실성 평가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영향평가 연구결과의 신뢰도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쌀의 역사와 식미

  • 김성곤
    • Proceedings of the EASDL Conference
    • /
    • 2003.04a
    • /
    • pp.24-48
    • /
    • 2003
  • 인류는 수렵시대를 거쳐 기르고 가꾸는 법을 터득하면서 농경시대를 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인류는 특정한 지역에서만 잘 자라는 작물이 있음을 알게 되고 이들 작물은 그 지역 인류에게 먹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여왔다. 이러한 인류의 먹이에 대한 취사선택 과정에서 식문화라고 하는 독특한 문화의 갈래가 나타나게 되었다. 주식의 생산과 이용에 따라 보면 동남아 지역은 쌀, 북미, 호주와 옛 소련지역은 감자, 밀, 고기, 멕시코와 아프리카 동부는 잡곡, 남미와 아프리카 중부는 서류와 과실, 지중해 연안은 밀과 채소를 중심으로 하는 식문화를 이루고 있다.(중략)

  • PDF

Multilateral Nuclear Cooperation in East Asia; The First Step Toward the Formation of a New Cooperation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다자간 원자력 협력 방안: 새로운 원자력 협력체제 결성을 위한 첫 번째 제안)

  • Hwang Yong-Soo;Kwon Eun-Ha;Seo Eun-Jin;Whang Joo-ho
    •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JNFCWT)
    • /
    • v.3 no.3
    • /
    • pp.167-176
    • /
    • 2005
  • Demand on the nuclear energy in East Asian countries has been grown rapidly to support economic development. After 9.11, nuclear security has become the world wide issue. In addition, unlike to other region, some countries are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To meet the challenges a new regional multilateral nuclear approach is proposed aiming at assurance of supply and non -proliferation. The new proposal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confidence building, volunteering, and incentives. The step wise approach is recommended to implement the multilateral system in East Asia.

  • PDF

Mutation of Flows of FDI and Labour within East Asia (동아시아 자본 및 노동이동의 구조적 변화)

  • Moon, Nam-Che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2 no.2
    • /
    • pp.215-228
    • /
    • 2006
  • Because of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of information-communication, the liberalization of world trade and the intensification of regionalisation, the world economic space is in progress of globalization that is not only a product but also a capital, technology and labour move freely over the countries. In the globalized economic space, the multinational finns accelerate a globalization of capital and labour by exporting the capital to the peripherals countries for the low cost of production and importing the low wage labour from the peripherals countries. East Asia which appeared one of the world triad economic axis with a rapid regional economic growth after 1980's intensifies the regionalisation of capital and labour. As the increase of gap in cost of production and income level among the countries, not only the direction of flows of capital and labour but also the traits of migrant labour also changes remarkably.

  • PDF

An inter-comparison of satellite-based soil moisture over East Asia (동아시아 지역 토양수분 산출 위성 평가)

  • Kim, Hyunglok;SunWoo, Wooyeo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87-187
    • /
    • 2015
  • 인공위성을 이용한 토양수분의 측정은, 범지구적인 물순환 분석에 있어서, 수문학적인 인자들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예측, 분석하는데 있어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제안되어왔다. 현재 국/내 외 적으로 사용하는 토양수분 위성은 Soil Moisture and Ocean Salinity (SMOS), Advanced SCATerometer (ASCAT)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더불어 일본에서 최근에 발사 된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ter 2 (AMSR2) 센서를 통한 토양수분도 데이터도 적극 활용 되고 있다. 각 위성은 토양수분을 산출 하는 알고리즘, 파장대 그리고 위성 통과 시간 등이 각기 다르므로, 이러한 위성의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점 데이터와의 검증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이에따라 본 연구에서는 위성 데이터와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와의 비교를 통해 각 위성데이터의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효용성을 평가하였다. 동아시아의 건조한 지역에서는 SMOS가 가장 좋은 토양수분 데이터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다른 많은 지역에서는 ASCAT이 우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한반도 지역의 특정 지역에서는 AMSR2의 토양수분 값이 ASCAT을 뛰어넘는 좋은 결과를 보여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추가적으로, SMOS의 경우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의 영향으로 한반도지역 토양수분을 측정하는 것에는 많은 무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East Asian Regional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Coordinating Center Establishment Strategy (동아시아 전자해도 지역 공급센터 구축방안 연구)

  • Kim, Ho-Yoon;Oh, Se-Woong;Shim, Woo-Sung;Suh, Sa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8 no.3
    • /
    • pp.213-220
    • /
    • 2012
  •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mad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Life at Sea to require all ships to carry official charts, both paper and electronic, and is especially encouraging the use of 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ECDIS). Recently, the argument that all Electronic Charts(ENC) displayed in ECDIS should be distributed through Regional ENC Coordinating Center is being raised within the IHO. The use of ECDIS was generalized, but the existing two RENCs in Europe are thought to be not enough. Especially, East Asian region, due to its rapid growth in economy and marine traffic, RENC is found necessary. This research establishes the legitimacy and strategy of East Asian RENC by defining the roles of RENC based on the IMO ECDIS Mandatory Carriage Requirement and RENC operation status through suggesting a "Phase-In" RENC model, which was built upon the strategy of East Asian Hydrographic Commission(EAHC).

Observational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Monsoon during the Summers of 1993 and 1994 (1993, 1994년 여름철 동아시아몬순의 관측 특성)

  • Kim, Baek-Jo;Ryu, Chan-Su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3 no.4
    • /
    • pp.369-379
    • /
    • 2002
  •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circulation associated with the cool and wet summer of 1993 and the warm and dry summer of 1994 a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atmospheric circulations features in the upper and lower troposphere and by examining the global SST and associated tropical convective precipitation fields. The negative geopotential height anomalies at 500 hPa and 200 hPa in 1993 over East Asia, the central North Pacific, and the western United States were replaced by positive ones in 1994. In addition, the 200 hPa zonal wind anomaly averaged over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region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Korean summer temperature anomaly. The subtropical jet stream in 1993 was displaced into the central part of Korea well south of its normal position. The western Pacific subtropical high was shifted southward, and the East Asian summer rainfall and temperature was above-normal and below-normal, respectively due to the southwestward extension of a cold and dry polar airmass from the Sea of Okhotsk to the Est Sea. In contrast, the subtropical jet stream in 1994 was displaced well north of its normal position. The abrupt northward shift of the western Pacific subtropical high was accompanied with the rapid northward movement of the rain band of the East Asian summer monsoon rainfall. The anomaly patterns of the East Asia summer rainfall and temperature were opposite to those of 1993. Large 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ies of opposite signs existed in the tropical Pacific with a mature El $Ni{\~{n}o$ in 1993 and a weak La $Ni{\~{n}a$ condition in 1994. The role of the anomalous convective precipitation in the western Pacific and the Indian Ocean related with the variations in the low-level cross-equatorial flow along the northwestern periphery of the Australian high and the Mascarene high is probably to influence a large-scale atmospheric circulation over the East Asia during both the years.

Application of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in East Asia using Satellite-Based Rainfall Products (위성영상 기반 강수량을 활용한 동아시아 지역의 기상학적 가뭄지수 적용)

  • Mun, Young-Sik;Nam, Won-Ho;Kim, Taegon;Svoboda, Mark D.;Hayes, Michael J.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23-123
    • /
    • 2019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중국, 한국, 일본, 몽골 등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은 태풍, 가뭄,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중국의 경우 2017년 극심한 가뭄으로 1,850만 (ha)의 농작물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몽골 또한 2017년 4월 이후 극심한 가뭄으로 사막화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위성 기반의 강우 자료는 공간과 시간 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지상관측소 강수량 자료의 대체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limate Hazards Groups InfraRed Precipitation with Station (CHIRPS), Precipitation Estimation From Remotely Sensed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Climate Data Record (PERSIANN-CDR), Global Precipitation Climatology Centre (GPCC) 강우 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표준강수지수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를 산정하였다. 시간 해상도는 월별 영상을 기준으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지난 10년간의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각각 격자가 다른 위성영상을 기존 기상관측소와 비교하였다. 피어슨 상관계수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를 활용하여 강우 위성 영상과 지상관측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평균절대오차 (Mean Absolute Error, MAE), 평균제곱근오차 (Root Mean Square Error, RMSE)를 통해 통계적으로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인공위성 강수량 자료는 미계측 지역이 많은 곳이나 측정이 불가능한 지역에 효율성 측면에서 중요한 이점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in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otal Precipitable Water and Extreme Precipitation: Analyzing Variations in 3-Hour to 10-Day Events (총가강수량과 극한 강우사상의 연관성: 3시간에서 10일 강우사상까지의 변동 분석)

  • Seokhyeon Kim;Hyunsu Park;Su Yeon Park;Dae Heon H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13-113
    • /
    • 2023
  • 기후변화로 인한 온도 상승이 대기 중 수분량을 증가시키면서 극한 강우가 전 세계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규모 홍수 피해가 지속적으로 초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으로, 대기 연직 기둥 내 총 수분량을 나타내는 총가강수량(Total Precipitable Water, TPW)과 극한 강우사상(Extreme Precipitation, EP) 간의 연관성이 강우지속기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하였다. 관측 및 재해석(reanalysis) 데이터를 활용하여 동시극한지수(Concurrent Extremes Index, CEI, 0~1, 1에 가까울수록 강한 연결)로 두 변수 간의 정량적 연결 강도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CEI의 지속 시간에 따른 변동 경향성은 지역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지중해와 중앙아시아와 같은 대부분의 중위도 지역에서는 강우의 지속 기간이 길어질수록 CEI 값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은 중위도임에도 불구하고 긴 지속 기간의 강우 사상에서도 높은 수준의 CEI 값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동아시아 지역의 경향성은 열대지역과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동아시아 지역의 극한 강우 증가가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