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식물성 유지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Biodiesel Production from Waste Oils Mixed with Animal Tallows and Vegetable Oil by Transesterification Using Ultrasonic Irradiation (초음파를 이용한 동식물성 혼합 폐유지로부터 바이오디젤 제조)

  • Chung, Kyong-Hwan;Park, Byung-Geo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1 no.4
    • /
    • pp.487-492
    • /
    • 2013
  • Transesterifications of waste oils mixed with animal tallows and vegetable oil by ultrasonic energy were examined over various catalysts for biodiesel production. Reaction activities of the transesterification were evaluated to the ultrasonic energy and thermal energy.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eedstock and products were also investigated to the biodiesels produced from the oils in the reaction using ultrasonic energy. The highest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yield was obtained on the potassium hydroxide catalyst in the transesterification by ultrasonic irradiation. The effective reaction conditions by ultrasonic energy were 0.5 wt% catalyst loading and 6:1 molar ratio of methanol to the mixed oils. The reaction rate of the transesterification by ultrasonic energy was faster than that by thermal energy. The highest yields of FAME were obtained as 80% in 5 min and the reaction equilibrium reached at that time.

Trend on the Recycling Technologies for Used Fat and Vegetable Oil as Monomers by the Patent and Paper Analysis (특허(特許)와 논문(論文)으로 본 동식물폐유지(動植物廢油脂) 모노머화 재활용(再活用) 기술(技術) 동향(動向))

  • Kim, Young-Wun;Yoon, Byung-Tae;Cho, Bong-Gyoo;Cho, Young-Ju
    • Resources Recycling
    • /
    • v.22 no.1
    • /
    • pp.72-79
    • /
    • 2013
  •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to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friendly products related global environment and health issue and it is very important technology for recycling contained hazardous substance that occur due to oxidation during used oils and fats of vegetable and animal to eco-friendly products. In this study, papers and patents for recycling technologies of used fat and vegetable oil as monomers were analyzed. The range of search was limited in the open patents of USA (US), European Union (EP), Japan (JP), Korea (KR) and SCI journals from 1976 to 2012. Patents and journals were collected using key-words searching and filtered by filtering criteria. The trends of the patents and journals were analyzed by the years, countries, companies, and technologies. Such pretreatment purification, polymerization for monomer, and polymer manufacturing technology were ahead of the United States.

Characteristics of the Graded Wildlife Dose Assessment Code K-BIOTA and Its Application (단계적 야생동식물 선량평가 코드 K-BIOTA의 특성 및 적용)

  • Keum, Dong-Kwon;Jun, In;Lim, Kwang-Muk;Kim, Byeong-Ho;Choi, Yong-H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40 no.4
    • /
    • pp.252-260
    • /
    • 2015
  • This paper describes the technical background for the Korean wildlife radiation dose assessment code, K-BIOTA, and the summary of its application. The K-BIOTA applies the graded approaches of 3 levels including the screening assessment (Level 1 & 2), and the detailed assessment based on the site specific data (Level 3). The screening level assessment is a preliminary step to determine whether the detailed assessment is needed, and calculates the dose rate for the grouped organisms, rather than an individual biota. In the Level 1 assessment, the risk quotient (RQ)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actual media concentration with the environmental media concentration limit (EMCL) derived from a bench-mark screening reference dose rate. If RQ for the Level 1 assessment is less than 1,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ecosystem would maintain its integrity, and the assessment is terminated. If the RQ is greater than 1, the Level 2 assessment, which calculates RQ using the average value of the concentration ratio (CR) and equilibrium distribution coefficient (Kd) for the grouped organisms, is carried out for the more realistic assessment. Thus, the Level 2 assessment is less conservative than the Level 1 assessment. If RQ for the Level 2 assessment is less than 1,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ecosystem would maintain its integrity, and the assessment is terminated. If the RQ is greater than 1, the Level 3 assessment is performed for the detailed assessment. In the Level 3 assessment, the radiation dose for the representative organism of a site is calculated by using the site specific data of occupancy factor, CR and Kd. In addition, the K-BIOTA allows the uncertainty analysis of the dose rate on CR, Kd and environmental medium concentration among input parameters optionally in the Level 3 assessment. The four probability density functions of normal, lognormal, uniform and exponential distribution can be applied.The applicability of the code was test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IAEA EMRAS II (Environmental Modeling for Radiation Safety) for the comparison study of environmental models comparison, and as the result, it was proved that the K-BIOTA would be very useful to assess the radiation risk of the wildlife living in the various contaminated environment.

Microbial oil의 개발 현황

  • 윤석후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4 no.2
    • /
    • pp.26-29
    • /
    • 1988
  • 미생물을 이용한 유지의 생산은 동식물 유지의 대체자원으로써의 가능성 때문에 1910년대 독일에서 연구가 시작되어 현재에 이르기까지 계속되어 왔으나 현재까지의 미생물 생산공정으로는 값싼 식물성유지에 비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공업적인 생산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들어 미생물유지, 즉 단세포 유지(Singl Cell Oil) 생산에 관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몇가지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로는 전세계의 우지생산이 미주, 지중해 연안국및 동남아 몇개국에 국한되어 세계적인 유통이 때로는 원할치가 않아 수급과 가격의 변동이 심하고, 둘째로는 생물공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좀더 경제적인 방법으로 단세포유지를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증대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단세포유지는 단세포단백질과는 달리 식용, 사료용이외에 공업용 원료로도 사용될 수 있으므로 소비자들의 선호도, 법적 규제등의 문제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도 한 이유가 될 것이다. 본 소고에서는 유지의 종류, 유지생합성및 축적 메카니즘, 단세포유지 발효공학및 유지추출, 단세포유지의 경제성, 단세포유지에 관한 최근의 연구동향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 PDF

Optimization of Ion exchange Catalyst for Free Fatty Acid in used oil (폐유지로부터 이온교환수지 촉매에 의한 유리지방산 전환 최적화)

  • Chang, Duk-Rye;Kim, Min-Ky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260-262
    • /
    • 2008
  • 최근 고유가의 지속과 국제적인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환경친화적인 대체연료의 개발이 시급한 가운데 재생가능한 동식물성 유지로부터 생산되는 바이오 디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자원 재활용 및 에너지 생산관점에서 폐유지로부터 바이오디젤 원료로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폐유지로부터 바이오디젤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폐유지내 함유되어 있는 유리지방산을 전처리공정에서 산촉매에 의한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전환제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폐유지내 함유된 유리지방산 전환제거에 효과적인 불균일계 이온교환수지 촉매를 이용하여 공정변수 즉 사용된 촉매의 양, 반응온도, 유리지방산 농도에 따른 유리지방산 전환제거특성을 조사해 보았다. 또한 각각의 반응조건에서 속도상수를 계산하여 이온교환수지 촉매를 사용한 유리지방산 전환 제거에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 값을 구하였다.

  • PDF

Evaluation of Catalyst for Free Fatty Acid in used oil (폐유지로부터 유리지방산 제거용 MFI 제올라이트 촉매에 대한 특성)

  • Chang, Duk-Rye;Jeong, Eun-Young;Lee, Jeong-H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666-668
    • /
    • 2007
  • 에너지 사용량의 증가와 국제적인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환경친화적인 연료의 개발이 시급한 가운데 재생가능한 동식물성 유지로부터 생산되는 바이오 디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자원 재활용 및 에너지 생산관점에서 폐식용유로부터 바이오디젤 원료로 사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폐식용유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에서 폐식용유내 함유된 유리지방산 및 수분에 의해 효율적인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이 어렵기 때문에 이를 전처리 단계에서 제거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폐식용유내 유리지방산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회분식 반응기에서 MFI 제올라이트 촉매를 이용하여 Si/Al 몰비에 따른 산세기 및 산량의 변화에 따른 유리지방산 제거 특성을 조사해 보았다.

  • PDF

A Study on the Storage Stability and Malodor of Bio-Fuel oil (바이오중유의 저장안정성 및 악취특성 연구)

  • JANG, EUN-JUNG;PARK, CHEON-KYU;LEE, BONG-HEE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28 no.6
    • /
    • pp.712-720
    • /
    • 2017
  • As Korean government has activated the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since 2012, producers have been seeking and using the various renewable resources to meet the RPS quota. One of these efforts, Power Bio-Fuel oil demonstration project is being conducted to check the operability and compatibility with fossil fuel, Fuel oil (B-C) from 2014. The oil is a mixture of vegetable oil and animal fat or fatty acid ester of them and should satisfy some specification to use the power generation. The oil's quality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rom conventional oil, Fuel oil (B-C) in current power plant facility. In this study, it was investigated the storage stability and malodor intensity of Bio-Fuel oil.

Analysis of Discharge Variation considering Water Balance Method in Mountain Wetland (물수지 방법을 고려한 산지습지 유량변동 분석)

  • Oh, Seung Hyun;Kim, Jung Wook;Kim, Jae Ge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74-174
    • /
    • 2017
  • 습지는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이며 범람원, 수문저장, 오염원의 분해 및 침전의 기능과 동시에 동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인간의 복지에 매우 유용한 자연공간이다. 습지의 생태적, 수문학적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습지 내 유량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습지를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유량 변동을 분석하여 유량 변동에 따른 습지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산지습지는 주변과 고립되어 있어 외부의 위협에 민감하고, 특이하며 다양한 생물상이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어 생태학적 가치가 매우 크다. 특히 양산지역 산지에는 고산습지가 많아 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희귀동물이 살고 있는 청정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야생생물이 분포하는 보전가치가 높은 산지습지인 경남 양산 장군습지를 대상으로 습지 내 유량 변동에 따른 습지 유지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습지유역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과 유출되는 물의 양의 차이를 분석하는 물수지 방법을 적용하여 습지 내의 유량 변동을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for Blended Power Bio-Fuel Oil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혼합비율에 따른 배출가스 특성 연구)

  • HA, JONG-HAN;JEON, CHEOL-HWAN;KWON, YONG-CHAI
    • Transactions of the Korean hydrogen and new energy society
    • /
    • v.26 no.5
    • /
    • pp.484-492
    • /
    • 2015
  • As our government is actively introducing the 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as a national renewable energy obligation policy, power producers are using the various renewable energy to meet the RPS supply quota since 2012. Recently, it is appling to use power bio-fuel oil in bio-fuel oil demonstration project with power companies. In general, power bio-fuel oils are composed of mixture products of vegetable oil, animal fat, fatty acid ester and waste oil. It is already developing for a power plant as a renewable energy abroad. In Korea, it is studying a 100% combustion and blended combustion of heavy fuel oil and bio-fuel oi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fuel characteristics of mixed power bio-fuel oil and its emission performance. Especially, it was reduced emissions of bio-oil in industrial boilers due to bio-fuel properties as compare with fuel oil.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Restoration Method of Waterside Ecosystem by Mattress/Filter (Mattress/Filter를 이용한 수질개선 및 수변생태계 복원기법)

  • Ko, Jinseok;Park, Kibum;Lee, Seungyun;Jee, Hong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90-139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하천구조물에서 자연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생물과 공생을 목표로 한 다양한 접목시도를 통해서 Mattress/Filter시스템을 이용한 하천 본래의 기능인 환경생태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생태기능이 저하된 하천의 생태계 질을 향상시켜 건전한 하천생태계를 복원시키는 Mattress/Filter의 수질개선시스템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수변생태계 복원을 고려한 Mattress 시스템의 설계는 주위의 경관과 조화를 배려하여 도입을 결정하고, 법면구배 변화점의 모서리가 완만하도록 Mattress의 배치 및 크기를 결정하여 식생에 의한 피복이 가능토록 설계해야 한다. 이 치수 기능을 유지하면서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한 대안으로 생태복원구조물인 친환경 Mattress/Filter 의한 수질개선시스템을 개발하여 기존하천에 초본식물들이 식생됨으로써 수질이 개선되어 하천 본래의 생태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늪지 조성, 하천의 친수성 확보, 수변식물에 의한 동식물의 서식처 제공 및 수변경관이 보전된 식생 수변공간에 조성에 필요한 기법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