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동선

Search Result 1,16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the Efficient Flow of Health Examinees (건강검진 수검자의 동선 효율화에 관한 연구)

  • Park, Il-Su;Kim, Jin-Soo;Kim, Sung-Soo;Kim, Eun-Ju;Choi, Hyun-Sook;Kang, Sung-H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2
    • /
    • pp.379-38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ptimize the patient(examinee) flow in a health examination center via a simulation model and to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Two experimentation scenarios were implemented into the simulation model to determine which proposed scenario provides better improvement in terms of the following performance measures: LOS(Length of Stay), staff utilization, and occupancy level. The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results of two scenarios. Although the original motivation of this study was suggest optimal policy for a patient(examinee) flow, the insight into applying simulation in efficiently managing hospital operations is of more value. Simulation approach is a powerful technique that supports efficient decision-making compared to traditional healthcare management approach based on past experience, feelings, and intuition. Therefore, the proposed experimentation model has wide applicability in healthcare systems.

Analysis of Factors on Pedestrian Path Choice in Shopping center - Focused on Customer circulation system - (쇼핑센터의 경로선택 요인 분석 - 고객 회유동선을 중심으로 -)

  • 박순주;임채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Conference
    • /
    • 2001.05a
    • /
    • pp.157-162
    • /
    • 2001
  • This Research analyzed with itinerary tracking : two of each other shopping sit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oint. Analyzing the result, pedestrian path choice is affected by direction of escalator, visual information of the object, plain form of passage, presence and absence of companion and proportion of spatial knowledge from experience. The factors affecting pedestrian path choice a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the effects from the environment,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 PDF

소형 다동체 레저낚시어선의 선형설계에 관한 연구

  • Lee, Seung-Hui;Lee, Yeong-Gil;Gang, Dae-Seo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v.16
    • /
    • pp.38-52
    • /
    • 2004
  • 쌍동선이나 삼동선과 같은 다동체를 가진 선박의 선형과 유체 동력학적 특징들에 대하여는 실험과 동시에 수치적으로 널리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소형 다동체 레저낚시어선의 선형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모형실험은 인하대학교 선형시험구조에서 수행되었으며 수치계산은 Euler 방정식의 유한차분해법이 이용되었다.

  • PDF

APT 규제자 고위포럼

  • Korean Associaton of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 정보화사회
    • /
    • s.150
    • /
    • pp.66-69
    • /
    • 2001
  • 지난 5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의 일정으로 APT 규제자 고위포럼이 APT 규제가 고위포럼이 APT와 세계은행(World Bank) 공동 주최하에 개최되어 31개 회원, 국내 통신위원회 및 정보통신정책부처의 고위급 인사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막되었다.이번 회의는 규제관련 이슈만을 주제로 아/태 지역에서는 최초로 개최되는 것으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우리나라는 APT측의 초청에 따라 참석한 김동선 정보통신부차관을 포함, 정부대표 5명, 민간업체 및 연구소 3명 등 8명의 대표단이 참가했다.회의 내용 요약 및 김동선 차관의 기조 연설을 정리, 싣는다.

  • PDF

User Satisfaction by Letters Input UI of cellular Phone (휴대전화기의 문자 입력 UI에 따른 사용자 만족도 조사)

  • 권영경;문남미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798-801
    • /
    • 2004
  • 본 연구는 휴대전화기의 문자메시지 전송UI가 사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의 문자메시지 전송UI은 한글, 영문, 숫자, 특수문자, 기능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연구결과 사용자 만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한글 모음 입력임이 입증되었다. 가장 만족도가 높은 모음 입력방식은 점과 선을 이용하여 모음을 조합하는 방식이며, 짧은 동선과 그로 인한 입력시간 단축이 주요인이었다. 조사방법은 사용자 대상 설문조사를 사용하였고, 연구 방식은 문장을 입력할 때의 각 휴대전화 문자입력 UI의 동선과 버튼을 누르는 횟수를 비교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국립등대박물관 상설전시실 현황과 전시구성

  • 김송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3-25
    • /
    • 2022
  • 국립등대박물관은 1985년에 포항시 영일만에 있는 호미곶등대 옆에 건립되었다. 이후 몇 차례 확장을 했고, 2여년에 걸쳐 전시관을 신축하면서 유물관을 리모델링하고 2022년 7월 1일 재개관식을 개최했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등대박물관의 핵심건물인 전시관의 상설전시공간의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국내 유일한 등대박물관으로의 역할과 발전방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기존 상설전시실이 위치하던 유물관의 복잡한 동선체계를 개선하고 패널과 일반 모형 중심의 연출을 벗어나 이용객 지향적인 동선과 체험물을 활용했다. 앞으로도 전시공간 매치, 연출 및 그래픽 체계, 영상매체 등의 미디어를 활용해 관람객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공간을 구축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