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동물플랑크톤

검색결과 390건 처리시간 0.032초

낙동강 하구역의 동물플랑크톤 군집 분포특성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mesozooplankton community in Nakdong river estuary)

  • 강정훈;김민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11
    • /
    • 2020
  • 2015년 평수기인 5월과 태풍 "두쥐안"이 통과한 직후인 10월 초에 낙동강 하구역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과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10월에 출현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우점종은 따개비 유생, 유공충류와 야광충이었고, 환경특성은 낙동강 하굿둑 수문개방에 의한 담수유입, 난류수 유입과 태풍통과에 의한 수괴혼합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반면 평수기인 5월에는 모든 정점에서 저염분 해수가 강하게 분포하여 담수 기인 지각류(Evadne nordmanni, Podon polyphemoides)가 우점하여 분포하였다. 모든 시기에 울타리 섬을 기준으로 내측에서 표층염분이 가장 낮았고, 외측으로 가면서 증가하였다. 10월의 표층과 저층 평균수온이 동일하여, 수괴혼합이 활발함을 지시했고, 부유물질 평균농도는 5월보다 10월에 높았다. 5월의 영양염 농도가 엽록소-a 농도와 함께 10월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동물플랑크톤 총 평균 개체수는 엽록소-a 농도와 관련된 시기적 차이가 없었으며, 집괴분석결과 동물플랑크톤 분포특성은 모든 시기에 염분분포와 관련되어 세 그룹(울타리 섬 내측, 중간측, 외측)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조사시기동안 낙동강 하구역에서 관찰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기적 분포특성이 상향적 조절(영양염-엽록소-a 농도-동물플랑크톤)보다 수문개방에 의한 담수유입, 난류수 유입정도 그리고 태풍통과 기인 수괴혼합과 관련있음을 지시하였다.

울산-감포 해역의 냉수 출현과 동물플랑크톤 분포 (Appearance of Cold Water and Distribution of Zooplankton off Ulsan-Gampo area, 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 이창래;박철;문창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9권2호
    • /
    • pp.51-63
    • /
    • 2004
  • 여름철 울산-감포 연안 해역은 냉수대가 출현하는 지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지역에 출현하는 냉수대와 동물플랑크톤 분포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01년 7월 중순부터 8월 초까지 연안과 외양 4개, 총 8개 정점에서 약 2 주간의 간격으로 세 차례에 걸쳐 채집을 실시하였다. 여름철 냉수대가 출현한 울산-감포 해역에서 동물플랑크톤은 약 195개 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출현 분류군 수와 동물플랑크톤 개체수의 채집 시기에 따른 차이는 유의적이지 않았지만(ANOVA, p>0.05), 분류군 수는 외양역에서, 총 개체 수는 연안역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수온 변화에 따른 변동에서는 출현 분류군 수는 수온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지만(p<0.05), 출현 개체 수는 수온과의 관계가 유의적이지 않았다(p>0.05). 비슷한 시기에 계절 변동에 준하는 큰 수온 변동이 있었음에도 생물량과 수온 관계가 유의적이지 않고 연안 정점들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생물량이 나타났다. 용승에 의한 냉수의 출현은 연안역에 풍부한 영양염을 공급하고 이로 인해 높은 생산력이 유지되어 동물플랑크톤에 풍부한 먹이를 제공함으로써 많은 동물플랑크톤 생물량을 초래할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 지역 동물플랑크톤의 분포는 큰 수온 변동에도 불구하고 수온보다는 먹이 조건이 더 큰 분포의 영향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황해 소난지도 인근해역에서 조류(潮流)에 따른 요각류 개체수의 변화 (Variation in Copepod Abundance Due to Tidal Current Near Sonanjido (Is.) in the Yellow Sea)

  • 김웅서;장민철
    • 환경생물
    • /
    • 제19권2호
    • /
    • pp.137-145
    • /
    • 2001
  • 조류는 동물플랑크톤 분포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황해처럼 조류가 빠른 곳에서 동물플랑크톤 분포를 조사하는 경우에도 조류의 영향을 무시하고 하는 경우가 많았다. 뿐만 아니라 황해에서 조류의 영향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개체수 변화 자료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강한 조류의 영향을 받는 소난지도 인근해역에서 시간에 따라 동물플랑크톤 가운데 우점하는 Acartia, Calanopia, Calanus, Centropages, Corycaeus, Labidocera, paracalanus, Tortanus 속에 속하는 요각류의 개체수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조석 변화에 따른 조류의 유속은 요각류 개체수의 최대 3.5배 차이를 유발하였으며, 대체로 유속이 가장 빠른 저조나 고조 2-3시간 후 채집된 요각류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 PDF

WASP7.2를 이용한 낙동강의 수질모의 및 민감도분석 (Water Quality Simulation and Sensitivity Analisys in Nakdong River Using WASP7.2 Model)

  • 최정민;이상호;전태수;주기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63-1367
    • /
    • 2007
  • 낙동강 하류지점인 물금은 2003년${\sim}$2005년의 대부분이 부영양화의 기준을 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WASP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 하류에서 부영양화의 주요원인이 되는 영양물질과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Chl-a 농도변화를 모의하였다. Chl-a의 농도모의를 위한 주요 입력자료로서 측정된 동물성 플랑크톤의 개체수가 입력되었다. 선정된 수질조사 지점은 낙동강 본류(왜관, 고령, 적포, 남지, 하남, 낙동강 하구둑)와 지류인 금호강, 회천, 황강, 남강, 밀양강이다. 수질모의 구간은 낙동강 본류(왜관${\sim}$낙동강 하구둑)와 지류인 금호강, 회천, 황강, 남강, 밀양강을 포함한 총 72개의 구간이다. 모형의 모의시간과 출력시간은 각각 1일로 하였다. 2003년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된 수질 매개변수들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2004년${\sim}$2005년의 수질자료와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입력된 매개변수와 기상 입력자료(유량, 수온, 일사량, 일조율)의 값을 중심으로 10% 씩 상하로 변화시켰을 때의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Chl-a는 민감도분석결과 Chl-a의 성장률과 동물성 플랑크톤의 섭식률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인은 Chl-a에 영향을 주었지만 질소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기상자료의 민감도분석결과 유량, 수온, 일조율, 일사량의 순서로 민감하게 모의 되었다. WASP 모형에서 동물성 플랑크톤 개체수의 입력 유 무에 따른 수질모의결과는 동물성 플랑크톤을 입력했을 때가 더 정확히 모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여름철 광양만 소형동물플랑크톤의 출현량과 종조성 (Abundances and Species Composition of Microzooplankton during Summer in Kwangyang Bay, Korea)

  • 차성식;박광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61-366
    • /
    • 2000
  • 광양만에서 여름철 자어의 먹이생물이 되는 소형동물플랑크톤의 출현량과 종조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1995년 5월 22일부터 8월 3일까지 2주 간격으로 조사하였다. 우점종은 유종섬모충류의 Tintinnopsis spp., Codonellopsis sp., 요각류의 난과 nauplius 유생으로 전체 소형동물플랑크톤의 $83.3{\%}$를 차지하였다. 소형동물플랑크톤은 조사가 시작된 5월 22일에 374.6 ind./l가 출현하였다. 6월에는 1,276.0 ind./l와 1,234.9 ind./l로 증가하였다가, 7월과 8월에는 $528.2{\~}6.908 ind./l$로 감소하였다. 소형동물플랑크톤의 출현량과 종조성은 자어에 의한 포식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동.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빛 : 영양염 비의 영향 (Effect of Light : Nutrients Ratio on the Zooplankton and Phytoplankton Community)

  • 전만식;유광현;김문숙;박주현;박제철
    • 생태와환경
    • /
    • 제42권3호
    • /
    • pp.295-30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동물플랑크톤 증식 및 먹이망 구조에 미치는 빛 : 영양염 비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조건은 빛 에너지의 강약과 동물플랑크톤 유무(약광 LL, 약광+동물플랑크톤 LLZ, 강광: HL, 강광+동물플랑크톤: HLZ)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조절하였다. 배양시간에 따른 식물플랑크톤의 총 현존량을 모든 배양조건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종조성은 배양조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녹조류(Staurastrum spp., S. dorsidentiferum, Coelastrum cambricam, Chlorella sp., Krichnerialla sp.)는 강광의 조건에서, 규조류(Melosyra granulata, Synedra acus, Fragilaria arotonensis)는 약광의 조건에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남조류(Phormidium sp.)는 포식자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강광 조건에서의 평균 POC 농도(20일 이후)는 약광의 조건보다 약 2배 높은 농도를 보였다. 반면에 seston의 P/C비는 약광의 조건이 강광의 조건보다 높게 나타났다. 배양시간에 따른 동물플랑크톤의 총 현존량은 강광의 조건이 약광의 조건보다 높게 나타났다.

동물플랑크톤 Daphnia magna와 Moina macrocopa에서 유도된 분비물질에 의한 Scenedesmus dimorphus의 형태변화 (Growth and Morphological Changes in Scenedesmus dimorphus Induced by Substances Released from Grazers, Daphnia magna and Moina macrocopa)

  • 장민호;주기재;;하경
    • 생태와환경
    • /
    • 제34권4호통권96호
    • /
    • pp.285-291
    • /
    • 2001
  • 상위포식자에 의해 유도되는 Scenedesmus dimorphus (T$\ddot{u}$rpin) K$\ddot{u}$tzing의 군체형성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동물플랑크톤 Daphnia magna (300 ind./L)와 Moina macrocopa (500 ind./L) 배양한후, $0.1\;{\mu}m$ (millipore)로 여과하여 얻어낸 용액 (ZFW)을 S. dimorphus가 1.8 ($10^5\;cells/ml$까지 자란 처리군에 첨가하여, ZFW를 넣지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대조군에 비해 두 동물플랑크톤 처리군에서 S. dimorphus의 군체형성의 유도가 뚜렷이 관찰되었다. 이 현상은 M. macrocopa 보다는 D. magna처리군에서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며, 첨가해준 ZFW의 양이 증가할수록 particle당 세포수도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ZFW처리군에서 1군체당 세포수(cells/colony)와 평균체적 (mean particle biovolume)은 $24{\sim}72$시간 사이에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S. dimorphus의 군체형성현상은 동물플랑크톤 D. magna와 M. macrocopa의 분비물에서 유도되는 화학물질의 영향으로 보이며, 이와 같은 형태변화현상은 동물플랑크톤의 포식에 대한 방어기작으로 작용하게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여수 금오열도 연안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 변동 (Seasonal Changes of Zooplankton Communities along the Coast of Geumo Arichipelago, Yeosu)

  • 오현주;문성용;서호영
    • 환경생물
    • /
    • 제31권3호
    • /
    • pp.192-203
    • /
    • 2013
  • 금오열도 연안에서 출현하는 동물플랑크톤 계절별 군집의 변동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 그들의 출현 양상과 환경인자를 2003년 8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계절별로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모두 44개 분류군이 출현하였고, 출현 개체수는 15~$28,183inds.\;m^{-3}$의 범위를 보였으며, N. scintillans가 가장 우점 하는 분류군이었다. 동물플랑크톤 주요 분류군은 N. scintillans를 포함하여 P. parvus s. l., A. omorii, Oithona spp., Aidanosagitta crassa, 십각류 유생, 요각류 전기유생, 요각류 후기유생이었다. 종 다양도 지수는 여름철과 봄철에 낮게 나타난 반면에 가을철과 겨울철에는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금오열도 연안의 동물플랑크톤 출현양상이 계절에 따른 수온, 염분, Chl. a 농도와 함께 일부 내만종들에 기인하여 변동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북한 신포지구의 기수호 I. 동물플랑크톤 (Brackish Lakes in Shinpo District, North Korea. I. Zooplankton)

  • 강연식;김세화
    • 생태와환경
    • /
    • 제36권2호통권103호
    • /
    • pp.215-220
    • /
    • 2003
  • 북한 신포지구에 위치하는 3개 호수는(호만포호, 현금호, 대인호)동물플랑크톤 출현 결과와 염분도로 (현금호는 2002년 5월과 10월에 2.8ppt와 0.8ppt, 대인호는 1.5ppt와 0.5ppt) 보아 기수호임이 밝혀졌다. 3개 호수에서 출현한 34종류의 동물플랑크톤 중 요각류와 윤충류가 각각 15종과 7종 동정되었으며 34종류 중 담수종은 24종, 기수종과 해산종은 각각 6종과 4종이었다. 기수성 요각류인 Pseudodiaptomus와 Sinocalanus tenellus는 3개 호수에 모두 분포하고 있었으며 3개 호수 모두에서 기수종과 해산종의 출현양이 동물플랑크톤 출현양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5월에 현금호에서 S. tenellus가 입방미터당 59,000개체로 대량 출현하여 이때 기수종과 해산종의 출현양은 전체 동물플랑크톤 출현양의 99%를 넘었다. 연구 지역의 기수호를 보호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장기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위적인 동물플랑크톤 첨가에 따른 중형 폐쇄생태계 내 플랑크톤 변동 (The Effect of Enhanced Zooplankton on the Temporal Variation of Plankton in a Mesocosm)

  • 강정훈;김웅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9-119
    • /
    • 2006
  • 2001년 가을철 대발생 시기에 인위적으로 상승 첨가된 동물플랑크톤이 식물플랑크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중형폐쇄생태계를 이용한 연구가 남해안의 장목만에서 연구되었다. 2500리터 용량의 폴리에틸렌 백 4개에 현장 해수를 채운 후, 현장에서 플랑크톤 네트(망목: $300{\mu}m$)로 수직 예인하여 얻은 동물플랑크톤 시료를 이용하여 실험 구가 대조구보다 6배 높도록 조성하였다. 연구기간동안 대조구와 실험구 폐쇄생태계 간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one-way ANOVA, p>0.05). 대조구와 설험구에서 배양 초기 높은 값을 나타낸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및 엽록소-a는 실험 종료시까지 급속히 감소하였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대표한 우점 분류군은 규조류로서 Skeletonema costatum, Pseudo-nitzschia seriata, Chaetoceros curvisetus, Ch. debilis, Cerataulina pelagica, Thalassiosira pacifica, Cylindrotheca closterium과 Leptocylindrus danicus로 구성되었다. 배양 10일째에 대조구와 실험구에서 최대를 나타낸 야광충은 중형동물플랑크톤 총 개체수 변화를 주도한 최 우점종 이었고, 다음으로 우점한 분류군으로 배양 7일째에 최대를 나타낸 요각류였다. 배양초기에는 인위적 첨가로 인해 실험구안의 요각류 개체수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나, 이후에는 실험 종료 시까지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젤라틴성 동물플랑크톤의 조절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며, 실험구내의 유즐동물과 메듀사의 개체수와 길이분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던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그런데 초식자인 요각류의 개체수가 상위포식자에 의해 감소한 후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다시 증가하는 연쇄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주요 초식자인 요각류 Acartia erythraea가 식물플랑크톤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그 이유로 A. erythraea의 낮은 초식률, 식물플랑크톤의 빠른 침강으로 인한 조우 기회 감소, 그리고 질소결핍 환경으로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